'-적' 없애야 말 된다
단선적
단선적 사고 → 얕은 생각 / 짧은 생각
단선적으로 처리할 일이 아니다 → 가볍게 다룰 일이 아니다
‘단선적(單線的)’은 “매우 단순한”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단순하다(單純-)’는 “1.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다 2. 외곬으로 순진하고 어수룩하다”를, ‘간단하다(簡單-)’는 “1. 단순하고 간략하다 2. 간편하고 단출하다 3. 단순하고 손쉽다”를 가리킨다고 하니 돌림풀이인데, 뜻이나 쓰임새를 헤아리면 ‘단선적’은 ‘얕은’이나 ‘얄팍한’이나 ‘짧은’이나 ‘가벼운’으로 손볼 만하구나 싶습니다. 때로는 ‘쉽게’로 손보아도 됩니다. ㅅㄴㄹ
너무 단선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 너무 얕게 본다
→ 너무 얄팍히 생각한다
→ 너무 짧게 헤아린다
→ 너무 가볍게 다룬다
《미완의 귀향과 그 이후》(송두율, 후마니타스, 2007) 116쪽
이런 점에서 살롱사진이라는 명칭으로부터 비롯된 예술사진에 대한 단선적인 이해를 넘어 다양한 예술사진의 생산 맥락을 밝히는 작업이 요구된다
→ 이리하여 살롱사진이라는 이름에서 비롯한 예술사진을 보는 얄팍한 눈을 넘어 예술사진으로 가는 여러 길을 밝히는 일을 해야 한다
→ 이리하여 살롱사진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예술사진을 보는 얕은 눈을 넘어 이제는 예술사진을 펴는 여러 길을 밝히는 일을 해야 한다
《카메라당과 예술사진 시대》(이경민, 아카이브북스, 2010) 11쪽
많은 농부들이 훨씬 덜 단선적인 사고를 하고 있고
→ 많은 흙지기가 훨씬 덜 짧은 생각을 하고
→ 많은 흙지기가 훨씬 덜 가볍게 생각을 하고
《땅이 의사에게 가르쳐 준 것》(대프니 밀러/이현정 옮김, 시금치, 2015) 20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