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타임part time
파트타임(part time) : 정규 취업 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정하여 몇 시간 동안만 일하는 방식. 또는 그런 일. ‘시간제 근무’로 순화
part time : 파트타임, 단시간 근무제, 비상근(非常勤)
한국말사전은 ‘파트타임’을 ‘시간제 근무’로 고쳐쓰라고 풀이하지만, 영어사전은 ‘part time’을 그냥 ‘파트타임’으로 풀이하기도 합니다. 사전풀이에서 보듯 어느 시간만 짧게 일할 적에 이 말을 쓰는데, 짧게 또는 살짝 일한다는 결을 살려 ‘살짝일’이라 할 만합니다. 통으로 일하지 않고 어느 시간만 일한다면 시간을 토막으로 내어 몇 토막만큼 일할 테니 ‘토막일’이라 할 만합니다. 짧게 일한다면 틈새에 하는 일이라는 뜻으로 ‘틈새일’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최저임금이 상정하고 있는 것은 주부 파트타임 노동이나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로 버는, 말하자면 ‘용돈’이다
→ 최저임금이 헤아리는 삯은 주부 틈새일이나 학생들 토막일로 버는, 말하자면 ‘푼돈’이다
→ 최저임금이 헤아리는 삯은 살림지기 짬일이나 학생들 토막일로 버는, 말하자면 ‘푼돈’이다
《빈곤에 맞서다》(유아사 마코토/이성재 옮김, 검둥소, 2009) 196쪽
일요일 파트타임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 일요일에 살짝살짝 곁일을 한다
→ 일요일에 살짝 일을 한다
→ 일요일에 틈새일을 한다
→ 일요일에 틈틈이 토막일을 한다
《겨울나기》(이수호, 삼인, 2014) 197쪽
점점 더 많은 미국 어린이들이 17살 이전에 방과후 파트타임이나 방학 기간에 아르바이트로 일을 하기 시작했다
→ 차츰 더 많은 미국 어린이가 17살을 앞두고 방과후 짬일이나 방학에 곁일을 한다
→ 차츰 더 많은 미국 어린이가 17살을 앞두고 방과후 틈새일이나 방학에 토막일을 한다
《인류는 아이들을 어떻게 대했는가》(피터 N.스턴스/김한종 옮김, 삼천리, 2017) 24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