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사사 師事


 김 선생에게서 사사하였다 → 김 선생한테서 배웠다

 그 어른을 사사하였다 → 그 어른을 스승으로 모셨다


  ‘사사(師事)’는 “스승으로 섬김. 또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스승으로 섬기다”나 “스승으로 모시다”로 손봅니다. 흐름을 살펴 ‘배우다’나 ‘가르치다’로 알맞게 손보아도 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사사’를 스물여덟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내어도 됩니다.



사사(士師) : 1. [기독교] 구약 시대에, 유대 민족을 다스리던 제정일치의 통치자  ≒ 판관(判官) 2. [역사] 고대 중국에서, 법령과 형벌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재판관

사사(司事) : 여러 관청의 서기관(書記官)

사사(司事) : [역사] 중국에서, 농공의 일을 맡아보던 벼슬

사사(四史) : [가톨릭] = 사성사

사사(四史) : [책명] 《사기》, 《전한서》, 《후한서》, 《삼국지》의 네 가지 중국 역사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사사(四司) : [역사] 고려 충렬왕 원년(1275)에 6부(六部)를 개편한 네 관아

사사(四事) : [불교] 1. 수행하는 승려가 일상생활에 필요한 네 가지 물건. 침구, 의복, 음식, 탕약(湯藥)이다 2. 공양하는 데 쓰는 네 가지 물건. 의복, 음식, 산화(散華), 소향(燒香)이다

사사(四絲) : 네 가닥의 실이나 노끈을 꼬아서 만든 끈. 대님, 허리띠, 주머니 끈 따위로 썼다

사사(寺社) : = 절

사사(死士) : 죽기를 각오하고 나선 군사

사사(些些) : 하잘것없이 작거나 적음

사사(些事) : 조그마하거나 하찮은 일 ≒ 소사(小事)

사사(私事) : = 사삿일

사사(邪事) : 바르지 못한 일

사사(邪思) : = 사념(邪念)

사사(邪師) : 세상에 해를 끼치는 사교(邪敎)를 설교하는 사람

사사(邪辭) : 간사한 말

사사(事事) : 이 일 저 일이라는 뜻으로, 모든 일을 이르는 말

사사(使事) : 1. 시키는 일 2. 사신으로서의 일

사사(社史) : 회사의 역사. 또는 그런 기록

사사(社祠) : 땅을 주관하는 귀신. 또는 그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사당

사사(斜射) : 1. 햇빛이나 그림자 따위가 비스듬히 비침 2. [군사] 대각선 쪽에 있는 목표를 향하여 비스듬히 쏘는 사격 ≒ 측사(側射)

사사(蛇師) : [동물] = 도롱뇽

사사(奢肆) : = 사자(奢恣)

사사(賜死) : [역사] 죽일 죄인을 대우하여 임금이 독약을 내려 스스로 죽게 하던 일

사사(謝詞) : = 사사(謝辭)

사사(謝辭) : 1. 고마운 뜻을 나타내는 말 ≒ 사사(謝詞) 2. 사죄하는 말 3. 예를 갖추어 사양함. 또는 그런 뜻을 나타내는 말

사사(辭謝) : = 사퇴(辭退)



사사받고 있는 분의 권유로 도예를 시작해 실력을 쌓아 왔습니다

→ 스승 어른이 얘기해서 그릇빚기를 하며 솜씨를 쌓았습니다

→ 가르치는 분이 말씀해서 그릇빚기를 하며 솜씨를 쌓았습니다

《맛의 달인 48》(테츠 카리야·아키라 하나사키/김미정 옮김, 대원, 2000) 187쪽


선생님에게 사사하고 싶은데 어떻게 생각해?

→ 선생님한테서 배우고 싶은데 어떻게 생각해?

→ 선생님으로 모시고 싶은데 어떻게 생각해?

《피아노의 숲 26》(이시키 마코토/양여명 옮김, 삼양출판사, 2016) 204쪽


어머니가 한국 무용을 하시는데, 대학교 때 사사한 분이 최승희 춤을 계승하셨거든요

→ 어머니가 한국 춤을 하시는데, 대학교 때 스승이 최승희 춤을 물려받으셨거든요

→ 어머니가 한국 춤을 하시는데, 대학교 때 가르친 분이 최승희 춤을 이으셨거든요

《통일교육 어떻게 할까》(김현희와 다섯 사람, 철수와영희, 2016) 11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