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기 2018.9.5.
《어머니 여신의 천》
지그디쉬 치타라 지음/이상희 옮김, 보림, 2017.4.27.
어제는 자전거로, 오늘은 택시로 바다에 간다. 어제오늘 모두 썰물인 바다를 누린다. 밀물하고 다른 썰물은 우리를 먼바다로 끌어당기는 듯하지만, 밀고 당기고를 늘 되풀이한다. 물살에 몸을 맡기면 이리저리 물처럼 흐르면서 아늑하다. 바닷물에 잠겨서 놀다 보면 왜 바다를 어머니로 빗대어 이야기하는지 느낄 수 있다. 모래밭에 서서 햇볕을 쬘 적에는 해님이 아버지 같구나 하고 느낀다. 몸을 감싼 옷을 문득 만져 본다. 몸을 어루만지는 옷이란, 천이란, 어머니 손길일까 하고 생각한다. 그러면 아버지 손길은 또 어디에 있으려나? 《어머니 여신의 천》을 열흘쯤 앞서 보았다. 한국에서는 꼭 200권만 찍었다고 한다. 종이가 아닌 천으로 빚은 책이란다. 천을 알 수 있도록 천으로 빚은 책. 그러네, 천을 알려면 천을 만져야겠지. 천을 짜야겠지. 천으로 거듭난 풀줄기를 어루만져야겠지. 천으로 거듭난 풀이 자란 흙을 보살펴야겠지. 천으로 거듭난 풀을 키운 바람하고 해하고 빗물을 느껴야겠지. 온누리 뭇숨결은 두 어버이 손길을 고이 받아서 태어나고 자란다. 풀도 사람도, 새도 벌레도, 따사롭고 넉넉히 품는 손길을 누리면서 꿈을 키운다. 꿈을 키우기에 삶이고, 꿈에서 사랑을 피워올리기에 살림이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