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를 보는 책인가



  흔들리는 버스나 전철에서 책을 읽는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제가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입니다. 저는 열일곱 살부터 이런 책읽기를 했습니다. 열일곱 살이던 해에 어버이가 집을 옮기는 바람에 그때부터 고등학교를 두 다리 아닌 버스로 다녀야 했고, 버스로 한 시간 즈음 다녀야 하는 길에 언제나 한 손에 책을 쥐고서 제 마음을 책을 거쳐서 읽으려 했습니다. 흔들리는 곳에서 책을 어떻게 읽을까요? 흔들림에 맞추어 제 몸을 똑같이 흔들기에 얼마든지 읽습니다. 흔들리는 곳에서 제 몸이 안 흔들리도록 하려면 책이며 눈이 다 흔들려서 글씨가 눈에 안 들어옵니다. 그러나 버스나 전철이 흔들리는 결하고 제 몸을 똑같이 맞추어 움직이면(흔들면), 제 눈은 책을 또렷이 바라보고 아무 흔들림 없이 책을 읽습니다. 책을 읽을 적에는 오직 책만 바라봅니다. 다른 것을 바라볼 까닭이 없습니다. 창밖을 본다거나 버스·전철을 탄 다른 손님을 볼 까닭이 없습니다. 사내라는 몸을 입고 태어난 터라, 제 또래는 버스를 타면 으레 ‘가시내라는 몸을 입고 태어난 여학생’을 흘깃거리는데, 저는 그런 흘깃질에 마음이 없었어요. 거꾸로 제 또래는 책읽기에 마음이 없었습니다. 책읽기를 오래 하다 보니, 이제는 1000쪽에 이르는 책도 몇 분이나 몇 초 만에 읽어낼 수도 있습니다. 1000쪽이건 2000쪽이건 이러한 책에 깃든 참거짓도 바로 알아차릴 수 있어요. 무슨 심령술사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가 숲에 깃들어 숲을 늘 마주하면서 숲을 읽으려 한다면, 숲을 척 보아도 숲이 아픈지 튼튼한지 바로 알아챕니다. 저는 책으로 제 마음읽기를 어릴 적부터 했기에, 어느 책을 보든 이 책을 쓴 분이 ‘무엇을 바라보고 바라며 책을 냈는가’를 마음으로 읽습니다. 이를테면, 돈을 바라보았는지, 이름값을 바라보았는지, 교수 자리를 바라보았는지, 티없는 넋으로 이웃한테 앎을 나누려 했는지, 즐겁게 배움길을 걸으며 깨달은 슬기를 벗한테 알려주고 싶은지, 어설피 짚은 헛다리가 헛다리인 줄 모르고 자랑을 늘어놓으려 하는지 …… 들이 책 겉종이만 보아도 한눈에 들어와요. 그런데 퍽 오랫동안 놓친 대목이 있습니다. 책을 보며 책을 읽어낼 줄 아는 눈이라면, 사람을 보며 사람을 읽어낼 줄 아는 눈으로도 옮아 가야 아름답겠지요. 이 눈으로 살림과 삶과 사랑을 읽고 알아내며 즐겁게 꽃피우는 눈으로도 옮겨 가야 기쁘겠지요. 그러니까, 저는 책으로 마음을 읽는 눈을 키우기는 했어도, 그 다음 길을 어떻게 간다든지 새로 지필 만하다는 대목을 못 느끼거나 생각을 않은 채 살았습니다. 열일곱부터 걸어온 이 길이 어느 고비를 맞이한 요즈음 아주 짤막한 말 한 마디가 벼락처럼 가슴으로 스몄습니다. “더 할 수 있습니다”라는 한 마디입니다. 이 말을 들려준 분은 저더러 책을 앞으로 어떻게 읽으라거나, 여러 마음닦기나 몸닦기를 어떻게 다스리라고 이끌거나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그저 다른 여러 이야기를 하다가 문득 이 한 마디 “더 할 수 있습니다”를 들려주었을 뿐입니다. 저는 이 한 마디를 듣고 먼저 물속에서 제 몸을 새롭게 맞추어 보았습니다. 눈을 뜨고 골짝물에 잠겨 숨을 일곱걸음 내뱉아 보았지요. 세걸음 내뱉기까지는 어렵잖이 되는데, 네걸음을 내뱉으려니 문득 숨이 막혀요. 이때에 “더 할 수 있습니다”를 떠올리며 몸에 그렸고, 그 뒤 거침없이 물속에서 숨을 내뱉을 수 있었고, 냇바닥에 착 가라앉아서 달라붙은 제 몸 둘레로 온갖 물고기가 맴돌면서 ‘반가워, 잘 왔어. 우리 같이 놀자.’ 하고 속삭여 주었습니다. 우리 몸에는 끝이 없지만, 우리 몸은 이 몸뚱이에 끝이 있는지 없는지 모릅니다. 우리가 마음으로 끝이 있다는 생각을 씨앗 한 톨로 심으면 몸은 이대로 따라갑니다. 우리가 마음으로 끝이 없다는 생각을 다시 씨앗 한 톨로 심으면 몸은 또 이대로 따라갑니다. 무엇을 먹어야 튼튼해지지 않겠지요. 무엇을 안 먹어야 튼튼해지지 않을 테고요. 먹든 말든, 마음이 기쁨인지 두려움인지 살필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하든 안 하든, 하다가 그치든 끝까지 해보려 하든, 제대로 바라보아야지 싶습니다. 우리는 어디를 보는 책읽기를 할까요? 우리는 무엇을 바라는 마음읽기를 할까요? 우리는 어떤 사랑으로 나아가려는 꿈읽기를 할까요? 길은 늘 우리 마음에 있고, 길을 바라보는 눈은 언제나 스스로 머리를 어떻게 틔워서 가슴을 어떻게 여는가에 달린 노릇이지 싶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