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대량 大量


 대량 고용 → 많이 고용 / 많이 뽑기 / 많이 뽑아쓰기

 대량 주문 → 잔뜩 주문 / 많이 주문

 대량으로 생산하다 → 잔뜩 만들었다

 대량으로 구입하였다 → 많이 사들였다


  ‘대량(大量)’은 “1. 아주 많은 분량이나 수량 2. = 대도(大度)”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 뜻처럼 ‘많이’로 손질하면 됩니다. 때로는 ‘잔뜩’으로 손질할 수 있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대량(大樑)’을 “[건설] = 대들보”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내 줍니다. 2018.7.7.흙.ㅅㄴㄹ



인구가 집중되고 대량으로 소비하며 대량의 쓰레기를 발생시키는 대도시야말로 리사이클의 효과가 가장 크지만

→ 사람이 몰리고 많이 쓰며 쓰레기를 많이 내보내는 큰도시야말로 되살림 효과가 가장 크지만

《환경가계부》(혼마 미야코/환경운동연합 환경교육센터 옮김, 시금치, 2004) 139쪽


또 기계를 써서 대량생산을 할 정도로 손님이 많지도 않다

→ 또 기계를 써서 많이 뽑아낼 만큼 손님이 많지도 않다

→ 또 기계를 써서 잔뜩 빚어낼 만큼 손님이 많지도 않다

《농담하는 카메라》(성석제, 문학동네, 2008) 193쪽


백조나 쇠기러기의 대량 폐사 이전에도 물새들의 죽음은 얼마든지 있었을 것이다

→ 고니나 쇠기러기가 잔뜩 죽기 앞서도 물새들은 얼마든지 죽었을 터이다

《숲속 수의사의 자연일기》(다케타즈 미노루/김창원 옮김, 진선books, 2008) 240쪽


컨베이어벨트에서 대량 생산되는 소모품에 지나지 않는다

→ 컨베이어벨트에서 잔뜩 뽑아내는 소모품에 지나지 않는다

《사진가로 사는 법》(이상엽, 이매진, 2010) 63쪽


넓은 땅에 대량으로 포도를 키운 뒤

→ 넓은 땅에 포도를 많이 키운 뒤

→ 넓은 땅에 포도를 한가득 키운 뒤

《수다로 푸는 유쾌한 사회》(배성호, 책과함께어린이, 2016) 131쪽


침이 대량으로 나오는 경우에는

→ 침이 많이 나오면

→ 침이 잔뜩 흐르면

→ 침이 줄줄 흐르면

《반려견 응급처치 매뉴얼》(사토 타카노리/김주영 옮김, 단츄별, 2017) 63쪽


경제성을 고려한 여러 요인 때문에 양떼는 대량으로 키울 수밖에 없다고 한다

→ 돈을 비롯해 여러 가지를 따져 양떼는 몰아서 키울 수밖에 없다고 한다

→ 돈이며 여러 가지를 따지면 양떼는 한꺼번에 키울 수밖에 없다고 한다

→ 돈이나 여러모로 따지면 양떼는 잔뜩 키울 수밖에 없다고 한다

《소의 비밀스러운 삶》(로저먼드 영/홍한별 옮김, 양철북, 2018) 3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