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비폭력이 뭐예요? - 내 아이에게 들려주는 비폭력 이야기
자크 세믈렝 지음, 민들레 그림, 이주영 옮김 / 갈마바람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책과 함께 살기 139


폭력에 평화와 사랑으로 맞서는 비폭력
― 아빠, 비폭력이 뭐예요?
 자크 세믈렝/이주영 옮김
 갈마바람, 2018.5.25.


반응과 질문의 대부분은 두 딸의 일상과 관련된 것이었다. “누가 시비를 걸면 어떻게 해야 해요?” “학교에서 돈을 뺏기면 어떻게 해야 하죠?” “성폭행을 당하면요?” “청소년 폭력은요?” “인종차별은요?” 두 딸이 쏟아내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그동안 해오던 소중한 연구를 잠시 접고, 책을 쓰기 시작했다. (6쪽)


  어느 날 문득 아이들이 묻습니다. “아버지, 벼락은 뭐예요?” 벼락이 무엇인지 묻는 아이들 곁에서 아버지로서 다른 일을 하다가도 멈추면서 가만히 생각합니다. 이러고서 벼락이 무엇인지 이야기를 들려주고, 아이들한테 되물어요. “그런데, 너희는 벼락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어느 날 불쑥 아이들이 묻습니다. “아버지, 평화가 뭐예요?” 평화가 무엇인지 묻는 아이들 곁에서 어버이로서 여러 일을 하다가도 접고서 곰곰이 헤아립니다. 이러고서 평화가 무엇인지, 또 평화와 맞물리는 민주나 평등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평화나 민주나 평등하고 어긋나는 삶터 얼거리는 무엇인지, 평화나 민주나 평등을 지키거나 가꾸려고 사람들이 어떤 길을 걸었는가를 살펴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러다가 또 아이들한테 되물어요. “그나저나, 너희는 평화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그럼, 비폭력이 뭐예요?]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가운데 갈등 상황에 대처하는 태도이자 행동 방식이야. (11쪽)

마틴 루터 킹은 이런 말도 했단다. “백인들을 존중합시다. 그러면 백인들도 우리를 존중하는 법을 배울 겁니다.” (21쪽)


  《아빠, 비폭력이 뭐예요?》(자크 세믈렝/이주영 옮김, 갈마바람, 2018)는 무척 뜻깊으면서 살뜰한 책이지 싶습니다. 글쓴이는 두 딸아이가 묻는 말에 곰곰이 생각해 보고 이야기를 들려주다가 다른 바쁜 일을 한동안 접기로 했다고 합니다. 다른 바쁜 일도 틀림없이 크거나 대수로울 테지만, 이보다는 두 딸아이가 코앞에서 닥치며 오늘 바로 학교나 마을이나 집에서 맞닥뜨려야 할 ‘비폭력·폭력’ 실마리를 함께 풀어야겠다고 느꼈다고 해요.

  폭력에는 폭력으로 맞서야 한다고 여기는 두 딸아이를 보면서, ‘아니, 이는 아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지만, 이 생각보다는 ‘그래, 다른 어린이나 푸름이 못지않게 우리 어린이나 푸름이도 비폭력·폭력이 무엇인가를 살갗으로 느끼도록 제대로 배우지 못할 수 있겠구나’ 하고 느꼈대요. 이리하여 글쓴이는 두 딸아이하고 비폭력을 놓고서 이야기를 조곤조곤 펴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비폭력이란 무엇인지 찬찬히 캐고, ‘폭력에 맞서는 비폭력’도 아니요 ‘폭력을 이기려는 폭력’도 아닌 ‘평화를 바라보고 꿈꾸는 평화’를 찾아나서려고 합니다.


두려움을 마음속에 꼭꼭 숨겨두는 것은 잘못된 일이야. 마음속에 숨겨둔 두려움은 큰 해를 끼칠 수 있거든. 두려워하는 것은 정상적인 감정이야. 그러니 그냥 두려움을 다스리는 법을 배우면 돼.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고통을 덜어내려면, 용기를 내서 큰소리로 너의 진심을 말해야 한단다. (44쪽)


  《아빠, 비폭력이 뭐예요?》는 비폭력이란 ‘폭력 아닌 몸짓’이라고 밝히지 않습니다. 이 책은 비폭력이란 ‘서로 아끼거나 섬기거나 사랑할 줄 아는 몸짓’이라고 밝힙니다. 그저 주먹질을 안 하기만 할 적에 비폭력이 아니라고 밝힙니다. 참다운 모습으로 비폭력이 되자면, 입으로든 마음속으로든 거친 말이나 미워하는 말이나 시샘하는 말이 흐르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고 밝힙니다.

  ‘네가 날 때렸으니 나도 널 때릴게’ 하는 마음은 바로 폭력이라고, ‘네가 날 때렸으니 너는 값을 톡톡히 치러야 해’ 하는 마음도 폭력이라고 밝혀요.

  그러면 이러한 마음을 아이들이 쉽게 받아들일 만할까요? 오늘날 이 삶터에서 아이들은 폭력에 비폭력으로 마주할 만할까요? 학교폭력이 감돌고, 따돌림이나 괴롭힘이 판치는 곳에서 아이들이 비폭력으로, 서로 섬기거나 아끼는 마음이 되어 저 스스로 돌보는 길을 찾을 수 있을까요?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닌 사랑하는 마음으로 평화와 민주와 평등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요?


이 문제는 물건을 뺏긴 그 아이만의 문제가 아니란다. 그런 일이 생기도록 놔둔 주변 사람들 모두의 문제이기도 해. 어른들이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 무언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그건 분명히 어른들의 책임이야. 하지만 너희들의 문제이기도 하고 다른 학생들의 문제이기도 해. (53쪽)


  한국에는 한국 나름대로 아름다운 비폭력 물결이 있습니다. 검은 짓을 일삼은 대통령을 끌어내린 촛불 한 자루가 있지요. 촛불 한 자루를 손에 쥐고 모인 사람들은 말없는 말로 말을 했습니다. 촛불 한 자루를 손에 쥐고 모일 수 없던 사람들은, 그날 그때 우리 삶터를 일구는 일을 하느라 자리를 비울 수 없던 사람들은, 마음으로 촛불을 들면서 한뜻이 되었어요. 이리하여 촛불을 손이나 마음에 든 온 사람들은 어마어마한 평화 물결로, 바로 비폭력 물결로 검은 짓 대통령을 높다란 꼭대기에서 아주 홀가분하게 끌어내릴 수 있었습니다. 피를 흘리지 않고서 민주를 찾았고, 미움으로 삿대질하지 않고서 평화를 찾았으며, 어깨동무하는 손길로 평등을 찾는 길을 걸었어요.


어쩌면 그 두 학생은 사회가 그들을 실패자로 보고 있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어. 어쩌면 그들은 거부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을 수도 있지. 특히 그 학교의 다른 학생들한테 말이야. (65∼66쪽)


  《아빠, 비폭력이 뭐예요?》를 보면 글쓴이는 어버이로서 두 딸아이한테 자꾸 묻습니다. 궁금한 이야기를 풀어 주기를 바라는 아이들더러 스스로 궁금한 대목을 풀어 보기를 바라는 마음을 넌지시 내비춥니다. ‘폭력을 일삼는 사람’은 참으로 어떤 구석에 몰렸기에 이런 짓을 일삼아야 했을는지 생각해 보자고 말을 겁니다. 우리 사회는 얼마나 아름다운가 하고 묻고, 거친 말이나 몸짓을 일삼는 사람들이 그동안 깊디깊이 ‘숨은 폭력에 시달리다’가 그만 길을 잃지 않았겠느냐고 묻습니다. 눈앞에서 벌어지는 폭력도 살필 수 있어야겠지만, 오늘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많은 이들이 아프거나 고단한 삶에 시달렸을는지 함께 돌아보자고 이야기해요.

  비폭력이 ‘폭력을 안 쓰는 몸짓’을 넘어서 ‘서로 아끼며 손을 맞잡을 수 있는 몸짓’이라 한다면, 참다운 비폭력이 되자면 평화롭게 사랑을 이루는 길이 되도록 하자면, 눈을 더 크게 뜨고 마음을 더 크게 열어야지 싶습니다. 넉넉히 품고 따스히 얼싸안을 수 있는 길을 가야지 싶어요.

  다만 늘 말을 해야지요. 바른말을, 곧은말을, 참말을 사랑스러우면서 곱게 들려주어야겠지요. 삿대질이나 마구 내뱉는 말이 아닌, 슬기로운 비폭력 말을 들려주어야겠지요. 2018.6.28.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청소년책 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사나 2018-06-28 0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숲노래님!
안녕하신지요.
글을 다 읽고 나니 ‘이 책 꼭 사서 읽어야겠구나‘ 하는 마음이 듭니다.
고맙습니다.

숲노래 2018-06-29 05:12   좋아요 0 | URL
즐겁게 만나시면서
생각도 삶도 이야기도
새로 지피시기를 바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