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치유 治癒


 째든 자르든 치유가 가능할 것이 아닌가 → 째든 자르든 고칠 수 있지 않은가

 치유를 위해서는 → 고치려면 / 다스리려면

 치유되었다 → 나았다 / 고쳤다 / 씻었다

 영혼을 치유하다 → 넋을 달래다 / 넋을 다스리다

 병을 치유하다 → 병을 고치다 / 아픈 곳을 다스리다


  ‘치유(治癒)’는 “치료하여 병을 낫게 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그러면 “낫게 하다”로 손볼 만하고, ‘고치다’나 ‘다스리다’나 ‘달래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치유되었다’ 꼴은 ‘나았다’로 손보면 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치유하다(稚幼-)’를 “= 유치하다”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2018.5.24.나무.ㅅㄴㄹ



일 때문에 지친 마음을 치유해 주는 바다의 선물

→ 일 때문에 지친 마음을 달래 주는 바다라는 선물

→ 일 때문에 지친 마음을 다독여 주는 바다 선물

→ 일 때문에 지친 마음을 다스려 주는 바다 선물

《와카코와 술 2》(신큐 치에/문기업 옮김,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5) 26쪽


나에게는 내 안의 지성과 접촉하고 그것을 통해서 내 마음으로 내 몸을 치유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었다

→ 나는 내 슬기로운 넋을 마주하면서 마음으로 몸을 달래는 길이 가장 대수로웠다

→ 나는 슬기로운 넋을 마주하면서 마음으로 몸을 다스리는 길이 가장 대수로웠다

《당신이 플라시보다》(조 디스펜자/추미란 옮김, 샨티, 2016) 27쪽


사람은 사람에게 치유받는다

→ 사람은 사람한테서 사랑받는다

→ 사람은 사람이 달래 준다

→ 사람은 사람이 다독여 준다

→ 사람은 사람이 보듬어 준다

→ 사람은 사람이 품어 준다

《행복한 타카코 씨 2》(신큐 치에/조아라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7) 90쪽


치유는 매일 해야 하는 일과다

→ 다독이기는 날마다 해야 한다

→ 타이르기는 늘 해야 한다

→ 다스리기는 언제나 해야 한다

《해와 그녀의 꽃들》(루피 카우르/신현림 옮김, 박하, 2018) 11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