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 어린이를 위한 하종강의 노동 백과 어린이 책도둑 시리즈 1
하종강 지음, 김규정 그림 / 철수와영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책과 함께 살기 135


일하는 보람을 즐겁게 가르칠 학교
―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하종강 글·김규정 그림
 철수와영희, 2018.3.30.


노동자들은 회사의 소유물이 아니라는 점이에요. 기업과 동등한 관계에서 일정한 계약을 맺어 열심히 노동을 하고 임금을 받는 존재라는 거죠. (21쪽)

스웨덴, 핀란드, 네덜란드 같은 유럽 나라들은 수영 코치랑 대학교수 월급이 비슷해요. 벽돌 기술자나 트럭 운전수나 의사 수입이 크게 차이가 안 나요. 자연히 교육 문제로 안달복달하지 않아요. 대학에 안 가도 넉넉하게 살 수 있으니까 입시지옥 따위가 없는 거죠. (28쪽)


  우리는 누구나 일을 합니다. 어른도 어린이도 일을 합니다. 모두 일이지만 어느 일은 일삯을 받고, 어느 일에는 일삯이 없습니다. 이를테면 가게에서 밥을 차리는 일을 하면 일삯이 있어도, 살림집에서 밥을 차리는 일을 하면 일삯이 없어요. 때로는 똑같은 일을 해도 사람마다 일삯이 벌어집니다. 일이란 무엇이고, 일하는 값어치니나 보람이란 무엇일까요?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하종강·김규정, 철수와영희, 2018)는 ‘일이란 무엇인가’를 마흔한 가지 이야기로 들려줍니다. 일하는 사람이란 누구인가를 이야기하고, 일하는 사람이 누리는 보람을 이야기합니다. ‘노동·근로’라는 낱말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고, ‘노동자·노동권·노동법’을 찬찬히 짚습니다. 앞으로 이 삶터에서 씩씩한 일꾼이 될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미리 알아두면 좋을 일 이야기를 다루지요.


다른 나라에서는 학교에서 노동의 가치를 가르쳐요. 그래서 스스로 노동자라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하고, 인류 역사를 발전시켜 온 중요한 힘이 바로 노동이라고 굳게 믿어요. (30∼31쪽)

실업자에게 생계비를 주면서 끊임없이 교육을 하여 우수한 노동 능력을 갖춘 노동자로 거듭나 다시 취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선진국일수록 발달되었어요. 그런 제도를 만들면 나라 경제가 잘 돌아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요. (56쪽)


  다른 나라에서는 학교에서 ‘일하는 값어치와 보람’을 가르친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설마 이를 안 가르칠까요? 어쩌면 이를 가르칠 겨를이 없지는 않을까요?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살피면 입시를 바라보는 곳이 있고, 취업을 바라보는 곳이 있어요. 한쪽은 ‘일하는 보람’을 다룰 틈이 없이 시험문제를 다루기 바쁘다면, 다른 한쪽은 ‘일하는 보람’에 앞서 더 많은 학생이 더 빨리 일자리를 얻도록 애쓰느라 바쁘다고 할 만해요.

  더 낫거나 좋은 일자리가 있을까요? 일자리를 놓고서 이 일이 더 낫다거나 좋다고 갈라도 될까요? 초등학교 교과서라든지, 중·고등학교 취업안내서를 보면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어떤 일이든 즐겁거나 보람차게 맞아들이도록 북돋우지는 못한다고 느낍니다. 도시로 가는 일자리를 다루지요. 산업으로 갈라도 3차 산업에 너무 치우치고, 요새는 나라에서 4차 산업을 외칩니다. 바탕에 있는 1차 산업이나 2차 산업은 뒷전으로 밀려요.

  삶과 삶터가 발돋움한 나라에서는 ‘어느 일자리’를 맞아들이든 일삯이 벌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마 이들 나라에서는 ‘어느 배움끈으로 어느 일자리를 맞아들이’더라도 일삯이 안 벌어질 만해요. 대학교 배움끈을 굳이 붙잡아야 하지 않을 적에는 ‘일하는 보람’을 비롯해서 ‘일해서 받는 일삯으로 손수 지을 삶’에 마음을 기울일 만하지요.


OECD에 가입한 나라 중에서 한국은 저임금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이 가장 높아요. 부끄러운 일이지요. 한국은 연간 노동 시간도 멕시코 다음으로 2위예요. 한국 노동자가 일을 제일 많이 한다는 얘기예요. 성별 임금 격차도 1위예요. 남자가 받는 임금과 여자가 받는 임금의 차이가 가장 크다는 말이지요. 인구 10만 명당 산재 사망자 수도 1위예요. (60쪽)

노동자가 파업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결국 사회에 도움이 되고 사회가 올바로 발전하는 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해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런 사실을 학교에서 제대로 안 가르쳐요. (78쪽)


  한국은 일하는 터전이 매우 나쁘기로 손꼽힌다고 해요. 퍽 오래된 이야기인데 앞으로 좀처럼 나아질 낌새가 없답니다. 이러면서 이주노동자가 무척 많아요. 예전에는 이주노동자가 하나같이 공장노동자였다면, 요새는 시골에서 흙일을 하는 이주노동자가 매우 많습니다. 집을 짓거나 길을 닦는 곳에서도 으레 이주노동자라지요. 바닷가에서 김을 훑거나 김을 다루는 곳에서도 으레 이주노동자입니다. 머지않아 이 땅에서 볍씨를 심거나 나락을 베는 일꾼도 이주노동자가 도맡을 수 있어요.

  우리 어른은 어떤 일을 할 적에 즐겁거나 보람찰까요? 우리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앞으로 어떤 일을 이 나라 어른한테서 물려받아서 할 적에 즐겁거나 보람찰까요?

  일하는 보람이 없이는 일하는 권리를 헤아리기 어렵지 싶습니다. 사람들이 일하는 보람을 누리지 못한다면 삶터도 나라도 넉넉하거나 아름답기 어려울 테고요. 앞으로 우리 삶터하고 나아갈 길이라면, ‘더 많은 일자리’ 아닌 ‘즐거운 일자리’요, 스스로 제 마을이나 고장을 아낄 줄 아는 마음으로 맞아들일 일자리여야지 싶습니다.


노동자가 사람답게 살려고 회사에 뭔가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처음부터 막아 버리는 아주 나쁜 제도가 비정규직 제도예요. (100쪽)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비정규직은 868만 명으로 전체 임금 노동자의 45퍼센트예요. 그런데 골프장 캐디, 택배 기사 등 실질적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통계에서 제외되었으니 비정규직 비율은 50퍼센트가 넘을 거예요. 비정규직 평균 임금은 148만 원으로, 정규직 평균 임금 297만 원의 절반가량이에요. (101쪽)


  학교는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일하는 보람’을 즐겁게 가르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돈을 더 얻는 일자리가 아닌, 스스로 삶을 가꾸는 길에 즐겁게 맞아들일 일이란 무엇인가를 학교하고 마을하고 집에서 배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일하는 보람을 함께 나눌 적에 정규직·비정규직을 가르는 얄궂은 사슬을 푸는 실마리를 찾을 만하지 싶습니다. 일하는 보람을 함께 나누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푸대접이나 따돌림이나 서울바라기를 그치기란 어렵지 싶습니다.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를 우리 어른도 찬찬히 새롭게 새겨서 우리 일터가 아름다울 수 있도록 마음을 기울이면 좋겠어요. 어른부터 보람차게 일하고, 앞날을 일굴 아이들이 아름답고 상냥하며 즐거운 일터·일자리를 물려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18.5.18.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