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기 2018.4.21.


《ぼおるぺん 古事記 1 天の卷》

 こうの史代(코노 후미요) 글·그림, 平凡社, 2011.5.25.



말을 알 수 있으면 더 많이 보고 배운다. 말을 알 수 없으면 코앞에서 보더라도 못 느끼거나 못 배우기 일쑤이다. 삶이나 살림은 말이랑 함께 보고 들으면서 배운다. 말이 없이는 삶하고 살림을 못 보거나 못 들으면서 못 배우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어떤 말을 익혀서 어떤 삶하고 살림을 찬찬히 익힐 적에 즐거울까? 《ぼおるぺん 古事記 1 天の卷》을 읽는다. 아니, 한자하고 히라가나를 살피고, 그림을 훑으며, 둘째 권하고 셋째 권도 이렇게 돌아본다. 이 책이 그림 아닌 글만 있다면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는지 거의 모를 텐데, 그림이 있기에 어렴풋이 어림한다. 그러나 글을 낱낱이 짚지 않으면 그림으로 들려주는 이야기를 한결 깊거나 넓게 받아먹을 수 없다. 일본 학자 倉石武四郞(구라이시 다케시로) 님이 쓴 《한자의 운명》이 1974년에 한국말로 나온 적 있다. 이 책을 읽으며 권력자가 일부러 어려운 글을 내세워 사람들을 억누르고, 이 글힘으로 새로운 생각을 가로막았구나 하고 느꼈다. 하늘이란 뭘까? 하늘을 읽는 책이란 뭘까? 하늘을 누가 어떻게 읽어 말이나 글로 어떻게 아로새길 만할까? 하늘을 ‘하늘’이라 하지 않고 온갖 한자를 끌어들일 적에 우리 생각은 얼마나 하늘로 뻗을 만할까?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