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정오 正午


 정오 뉴스 → 낮 소식

 정오 음악회 → 한낮 노래잔치

 정오 가까운 한여름의 열기로 → 한낮 가까운 한여름 더위로

 정오의 데이트 → 낮에 만나요 / 낮에 만나기


  ‘정오(正午)’는 “낮 열두 시. 곧 태양이 표준 자오선을 지나는 순간을 이른다 ≒ 상오(?午)·오정(午正)·오중(午中)·정오(亭午)·정중(正中)·탁오(卓午)”를 가리킨다고 합니다만, ‘한낮’이나 ‘낮’으로 고쳐씁니다. 한국말사전에 비슷한말을 잔뜩 싣습니다만 모두 털어낼 노릇입니다. 이밖에 한자말 ‘정오’도 네 가지 더 싣지만 다 털어낼 노릇이에요. 바로잡을 적에는 ‘바로잡기·바로잡다’를 쓰면 됩니다. 2018.4.7.흙.ㅅㄴㄹ



정오(正誤) : 1. 바르고 그른 것 2. 잘못된 글자나 문구를 바로잡음

정오(亭午) : = 정오(正午)

정오(庭午) : [북한어] 해와 달이 정남방인 중천에 이른 때

정오(停午) : 해가 정남쪽인 오방에 멎는다는 뜻으로, ‘정오(正午)’를 달리 이르는 말



결국 정오가 다 되어서야

→ 끝내 한낮이 다 되어서야

→ 그래 낮이 다 되어서야

《똥교회 목사의 들꽃피는마을 이야기》(김현수, 청어람미디어, 2004) 22쪽


정오쯤에 원추리 꽃들이 흘러내리고

→ 한낮쯤에 원추리 꽃들이 흘러내리고

→ 낮쯤에 원추리 꽃들이 흘러내리고

《저물지 않는 탑》(이성의, 문학의전당, 2015) 22쪽


정오, 햇볕이 좋아서 밖으로 나왔다

→ 한낮, 햇볕이 좋아서 밖으로 나왔다

→ 낮, 햇볕이 좋아서 밖으로 나왔다

《위로의 정원, 숨》(휘리, 숲속여우비, 2016) 56쪽


정오의 햇살이

→ 한낮 햇살이

→ 낮햇살이

《꽃보다 먼저 다녀간 이름들》(이종형, 삶창, 2017) 60쪽


정오에 돌아다니는 공포도

→ 한낮에 돌아다니는 두려움도

→ 낮에 돌아다니는 두려움도

《레딩 감옥의 노래》(오스카 와일드/김지현 옮김, 쿠쿠, 2018) 20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