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학, 예술작품을 해부하다
문국진 지음 / 이야기가있는집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읽은 '최소한의 교양 과학과 미술'이란 책처럼 미술과 다른 분야를 함께 다루는 책들을 종종

만날 수 있다. 대표적인 시리즈가 '미술관에 간 ~' 시리즈로 '물리학자', '화학자 2', '인문학자'편을

읽어봤는데 미술과 다른 분야의 절묘한 조화가 이뤄져 두 분야를 함께 배우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사실 회사 도서실에서 '미술관에 간 ~' 시리즈 중 '의학자'편을 대출하려다가 책을 찾지 못하고

우연히 발견하게 되어 데려오게 되었다. 알고 보니 저자가 대한민국 1호 법의학자 문국진 교수라고 

하니 범죄소설을 즐겨 읽는 입장에서 더욱 흥미로운 얘기들을 만날 수 있을 것 같았다. 


총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법의학으로 예술작품의 불가사의를 해부하고(파트1), 예술작품 속 권리

침해의 억울함을 가려내며(파트2), 예술작품을 해부해 죽음의 원인을 밝혀내고 있다(파트3). 먼저 파트1

에선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살아돌아온 이들의 임사체험을 다루는데 히에로니무스 보수의 '가장 

높은 하늘로의 승천' 중 '천국으로의 승천'을 보여준다. 흔히 간질이라 불리는 뇌전증을 앓은 유명인 

중 잔 다르크와 도스토옙스키와 관련된 얘기가 연이어 등장하고 조만간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에서 만나게

될 에곤 실레와 클림트 등이 여성의 신체 변화와 관련한 내용에서 언급되고 르네상스의 3대 거장은

어머니를 사모하는 작품이란 공통점으로 묶였다. 호들러는 병든 아내 발렌틴이 서서히 죽어가는 모습을

차례로 담아 묘한 울림을 주었다.


파트2는 스탕달 신드롬의 주인공 베아트리체 첸치로 포문을 연다. 옷을 입고 벗은 두 버전이 있는

고야의 그림 속 '마하'의 실제 주인공이 알바 부인과 페피타 투도 중 누구인지를 놓고 법의학을 활용해

얼굴 비교검사 등을 실시해 페피타 투도가 좀 더 가깝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부분이 압권이라

할 수 있었다. 감정에 휘둘려 진실을 외면한 배심원 재판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채플린의 친자

확인 사건, 다윗과 밧세바를 그린 그림들에서 밧세바를 요부로 보는지 숙명의 여인으로 보는지 시선이

엇갈렸는데 여기서 공포 배란 현상이란 것도 알게 되었다.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도 대표적인 악처로

악명이 높은데 이 책에선 언니와의 관계 등 나름의 사유와 모차르트 사후의 행동 등 다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직전에 읽은 '불멸의 화가 반 고흐'에서도 고흐의 죽음에 대한 미스터리를 다루었는데 이 책에선 고흐의 '도비니의 정원'이란 작품 속 검은 고양이에 관한 해석을 통해 자살설이 그림으로 입증

된다고 하면서 저자 스스로 고흐에 대한 사망진단서(사체검안서)까지 작성해 보여준다. 클레오파트라의

자살과 관련해서도 독사를 이용했다는 설이 친숙한데 이 책에선 두 몸종의 동시 죽음으로 보면 일산화

탄소를 이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차이콥스키(사약설), 나폴레옹(비소 중독)의 죽음, 예수의

심장이 오른쪽에 있음을 시사하는 그림들, 논개가 알고 있는 인물은 주논개로 원래 기생이 아니라 숙부에 의해 팔려간 자신을 구해준 현감에게 자진해서 시중을 들었다는 얘기, 모 미군 부대 뒷산에서

발견된 강간치사 변사체의 범인으로 체포된 흑인이 흑인은 손톱이 자라지 않는다는 황당한 변명으로

풀려났다는 얘기 등 법의학자가 들려주는 얘기는 확실히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흥미진진했다.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고 법의학자의 시선에서 본 예술작품에는 일반인이 모르는 비밀과 진실이 담겨

있음을 재밌고 친절하게 가르쳐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