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인문학자 - 루브르를 거닐며 인문학을 향유하다 미술관에 간 지식인
안현배 지음 / 어바웃어북 / 201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동안 '미술관에 간 ~' 시리즈 중 '물리학자'편과 '화학자 2'편을 봤는데 미술관에 있는 작품들을 과학의

측면에서 바라봐서 몰랐던 신선한 관점을 가질 수 있었다. 아직 시리즈 중 봐야 할 여러 책들이 있는데

마침 회사 도서실에 이 책을 발견해서 어서 데려왔다.  


앞서 봤던 책들은 특정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작품들을 바라봤다면 이 책은 인문학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그보다 대상 작품들이 모두 루브르 박물관 소장품이라는 게 더 특색일 것 같다. 이전에

루브르 박물관만 집중적으로 다룬 '63일 침대맡 미술관'과 '90일 밤의 미술관 : 루브르 박물관'을 통해

루브르 박물관의 주요 작품들을 살펴본 적이 있는데 인문학의 관점에서 루브르의 핵심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니 너무 기대가 되었다. 이 책에선 크게 '신화와 종교', '역사', '예술', '인간'이란

네 가지 테마에 따라 네 개의 챕터로 나누고 있는데 첫 테마인 '신화와 종교'의 첫 번째 작품은 안토니오

카노바의 '프시케를 깨우는 큐피드의 키스'였다. 작품마다 대부분 2장씩을 할애하면서 설명을 하는데

(들라크루아의 '사르다나팔 왕의 죽음'은 3장) 특히 루브르 박물관의 작품 설명 내용 중 일부를 그대로 

소개하는 부분이 다른 책들과 차이가 있었다. 루브르를 대표하는 작품을 단 하나만 꼽으라면 당연히

선택을 받을 '모나리자'가 독자적으로 다뤄지지 못하는 이변(?)을 낳았는데(다빈치의 '사례자 성 요한'의

들러리로 등장) 또 다른 인기작인 다비드의 '나폴레옹의 대관식'은 아예 소개조차 되지 못한 불운(?)을

겪었다. 총 67점의 작품 중 대부분 친숙한 작품이 많았지만 무리요의 '천사들의 부엌'이나 샤르댕의

'원숭이 화가', 브누아의 '흑인 여인의 초상' 등 이 책에서 처음 본 듯한 작품들도 간혹 있었다. 프랑스

최초의 누드화라는 장 쿠쟁의 '에바 프리마 판도라' 등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도 적지

않았는데 역시 그림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새삼스레 확인시켜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