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소한의 교양 과학과 미술
노인영 지음 / 문예출판사 / 2024년 10월
평점 :
미술과 과학은 그리 잘 어울리는 한쌍은 아닌 것 같지만 이전에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와 '화학자 2'를
읽어 봐서 자세히 보면 미술과 과학도 공통 분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과학과 미술의 흐름을
시대순으로 소개하면서 그 사이의 접점을 기가 막히게 찾아내는데 둘 사이에도 나름의 연관성이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총 52개의 테마라 일년 동안 한 개씩 읽어도 될 것 같았는데 먼저 회화의 기원으로 포문을 연다. 회화의
기원이라면 '너무 재밌어서 잠 못 드는 미술 이야기'에서처럼 구석기시대 동굴벽화까지 거슬러 올라갈
것 같지만 이 책에선 진정한 르네상스인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나르키소스에서 찾은 점을 언급한다.
수면 위에 비친 나르키소소의 환영이 '그림'의 본질과 같다는 것으로 곧 예술의 전당에서 만날 바로크의
대표 화가 카라바조의 '나르키소스'를 보여준다. 비례와 관련해 다빈치와 피타고라스를 엮고 유클리드
기하학을 기반으로 성장한 원근법과 관련해 마사초를 소환하며 원근법이 오히려 유클리드 기하학을
무너뜨리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출발점으로 작용했음을 르네 마그리트의 '유클리드의 산책'을 통해
보여준다. 예술과 과학의 쓸모에 관한 흥미로운 얘기들을 거쳐 고흐, 카라바조, 렘브란트의 작품들에서
천문학 얘기를 꺼내든다.
다른 책에서도 종종 등장하는 사과를 연결고리로 한 세잔과 뉴턴의 얘기와 같이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부분들도 많았지만 뒤로 갈수록 점점 난해해지는 현대과학과 현대미술이 만나면서 책장을 넘기는 속도가
더뎌졌다. 모네와 특수상대성이론, 피카소와 양자역학, 고갱과 힉스입자와 같은 식으로 미술계의 대가와
과학을 연관지으니 결코 쉽지는 않지만 대략 어떤 의미인지는 막연하게나마 이해할 수 있었다. 과학의
윤리 문제로 마무리하는데 살바도르 달리의 '비키니섬의 세 스핑크스'는 핵폭탄을 찬미했다는 달리의
시선을 잘 보여주었다. 이렇게 과학과 미술을 넘나드는 이 책은 서로 거리가 멀 것 같은 두 분야가 잘 찾아보면 서로 통하는 부분이 있고 이를 통해 두 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