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New 다이제스트 100 시리즈 2
손주영.송경근 지음 / 가람기획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4대 문명의 발생지 중 하나인 이집트에 대해선 고대 시절에 대한 간략한 역사 이후에는 뭔가

뚜렷한 역사적인 발자취를 알지는 못하는 것 같다. 이슬람 세계에 속하지만 아랍과는 사뭇 다른 미묘한

이집트의 역사에 대해 다이제스트 100 시리즈를 통해 제대로 정리할 기회가 생겼다. 이미 다이제스트

100 시리즈로 '세계사 다이제스트100'과 '미국사 다이제스트100', '아일랜드 역사 다이제스트100',  

'러시아 역사 다이제스트 100'을 읽어 봐서 이번 책도 이집트 역사를 100개의 장면으로 잘 보여줄 거라

기대가 되었다.


이 책에선 이집트의 역사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한다. 고대 이집트 시대(BC 3000년 ~ BC 341년), 

그리스, 로마 시대(BC 322년 ~ AD 641년), 이슬람 시대(641년 ~ 1798년), 현대 이집트(1798년 ~ 현재)로

구분하는데 이집트의 역사도 외세의 침략에 시달리는 역사라 할 수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고대 이집트 시기는 이집트의 최전성기(?)라고도 할 수 있었다. 고대 이집트의 유물들은

여전히 세계 박물관들의 대표 유물들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고 피라미드와 스핑크스는 많은 관광객을

이집트로 끌어들이고 있다. 고대 이집트 문자에 히에로글리프, 히에라틱, 데모틱의 세 가지가 있다거나

수염을 달고 이집트를 지배한 남장 여왕 하트셉수트 등 그동안 몰랐던 흥미로운 얘기들을 많이 만날 

수 있었다. 고대 이집트 시대에도 힉소스족의 침입 등이 있었지만 알렉산더 대왕이 이집트를 정복하면서

서양문명과의 접촉이 본격화된다. 이후 그리스계인 알렉산더의 부하 프톨레마이오스가 즉위하면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시작되는데 가장 유명한 사람은 역시 클레오파트라일 것이다. 이집트를 지키기

위한 그녀의 몸부림도 실패로 끝나고 결국 로마의 속주 시대를 거쳐 641년이 아랍, 이슬람군이 이집트를

정복해 이슬람 시대가 열린다. 이후 독립왕조를 형성한 툴룬 조를 필두로 파티마 조, 아이유브 조, 

맘루크국이 차례로 이집트를 지배하는데 그나마 친숙한 이름의 왕조들이었다. 비록 80일이지만 술탄

자리에 오른 최초의 무슬림 여왕 샤자르 알 두르, 노예 출신 술탄들이 통치한 맘루크국에서 노예들에게

결혼, 재산축적, 신앙의 자유가 인정되었다는 점, 세계를 두려움에 떨게 한 몽골군을 물리친 아인 잘루트

전투 등 역시 새롭게 알게 된 내용들이 적지 않았다. 현대 이집트는 나폴레옹이 이집트를 침공했던 

1798년을 기점을 삼는데 이후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들의 침략에 시달리다 1922년 얼떨결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된다. 이후 아랍의 맏형 노릇을 하지만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연이어 패배하는

등 체면을 구기다가 2대 대통령 사다트가 느닷없이 이스라엘과 평화협정을 체결한 후 암살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마지막 사다트의 암살이 1981년이어서 40년도 훨씬 전의 일로 마무리해서 이후의 격동의

역사를 다루지 않아 아쉽지만 부록처럼 수록된 이집트 역사 연표에선 2014년까지 다뤄 조금은 아쉬움을

달랬다. 방대한 이집트 역사를 100가지 장면으로 정리하는 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 같은데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잘 몰랐던 이집트 역사에 대해 큰 줄기를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