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의사가 쓴 책이다. 고혈압에 대해 기존의 상식과 다른 사실들을 알려준다. 혈압 때문에 걱정하는 분이시라면 한 번 읽어보시길 권해드린다.
2000년까지의 고혈압 기준치는 수축기 180mmHg였다. 그런데 이것이 점점 낮춰져 2008년에는 130mmHg가 되었다.
위는 일본 기준이다. 일본은 2011년에 147/94 로 완화했다고 한다. 한국, 유럽, 일본은 140/90 미국은 130/80 이 기준인 거 같다. 아무튼 고혈압 기준은 점차 낮아졌다. 과거에는 나이+90이란 기준이 있었는데 요즘은 그런 이야기도 거의 들리지 않는다. 나이가 많아지면 혈압이 높아지는 것은 자연적인 인체의 반응이다. 과연 이를 낮추는 게 정말 도움이 될까? 우리 몸의 진화 시스템을 무시하는 처사가 아닐까?
이 책은 이런 관점에서 현재 고혈압 기준에 대해 비판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고혈압이나 고콜레스테롤 등의 가이드라인을 만든 276명 가운데 87%에 해당하는 240명이 제약회사로부터 기부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p45
일본에서 고혈압 지침 작성에 관여한 의사는 제약회사에게 거액의 기부금을 받는다. 2004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사람이 22억, 다음이 9억, 그 다음이 8억 등이다. 고혈압 약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리는 약 중 하나이다. 고혈압 진단 기준이 낮아지면 누가 이득을 보는가? 제약회사다. 그 기준을 낮추는 건 의사다. 그리고 그 의사에게 기부금을 주는 것은 제약회사다. 이정도면 삼척동자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과연 정당하고 공정한 기준을 정할 수 있을까?
기준치를 '160/95' 에서 140/90' 으로 바꾸는 가이드라인은 1999년 2월 4일 런던에서 발표했다.
발표 몇 시간 전에는 WHO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WHO와 관계가 없다. WHO의 동의 없이 스폰서인 제약회사가 결정한 것이다" 라는 내용의 보도 자료를 기자들에게 돌렸다. 그런데 다음 날 WHO는 이 성명을 취소하고 새로운 기준치를 인정해버린 것이다. -p51
하루 아침에 역사가 바꼈다. 1999년 2월 4일. 전 날 까지만 해도 WHO는 제약회사의 가이드 라인을 반대했다. 하지만 다음 날 행보가 바꼈다. 하루 동안 무슨 일이 있었을까? 제약회사 만세.
WHO는 예산 70%를 제약회사의 기부금에 의존한다. -p52
2009년 WHO는 신형 인플루엔자의 유행에 대해 "모든 인류가 위협받고 있다"며 팬데믹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일반 인플루엔자와 별 차이가 없었다. 이 오보 또한 백신을 판매하는 제약회사와의 유착 대문이라는 말이 나돌고 있다. -p53
2009년 저 사건을 나는 기억하고 있다. 당시 한의사 선배님께서 열변을 토하며 비판했었기 때문이다. 결국 신형 인플루엔자의 공포는 소리없이 지나갔고 제약회사는 많은 백신을 팔아치웠다.
도카이 대학 의학부 명예교수인 오구시 요이치의 연구에 따르면, "혈압약을 먹은 사람은 먹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경색 발생률이 두 배" 라고 한다. -p71
필자는 "혈압약은 절대 안 된다" 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혈압을 낮추면 뇌일혈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뇌경색을 일으킬 확률 역시 높아진다. -p73
혈압약을 먹으면 뇌경색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니?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반대이다.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 뇌졸증은 뇌경색, 뇌일혈, 지주막하출혈로 나눌 수 있다. 통계를 보니 시간이 지나면서 뇌졸중의 비율은 낮아졌다. 특히 뇌일혈이 감소하고 뇌경색은 증가했다. 과연 고혈압은 정말 뇌졸중의 위험을 낮췄을까? 이에 대해 신뢰할만한 증거는 없다는 것을 어느 책에서 본 거 같다.
후생성(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이 주도한 실험에서 1992년부터 7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 2000명을 추적 조사했다. 1998년에 일부 언론의 비난 때문에 실험이 중단되었다. '고혈압 환자에게 가짜 약을 사용하는 건 문제' 라는 비난이었다. 제약회사에게 불리한 결과가 나오자 이런 비난이 생겨났다. 아래는 조사 결과이다.
그 결과, 혈압약을 사용한 사람과 사용하지 않은 사람의 사망률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뇌졸증이나 심근경색의 발병률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고령자에게 혈압약은 아무 효과가 없음을 뜻한다. 그런데 문제는 암 발생률이 혈압약을 투여한 그룹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p77
혈압약을 먹으면 암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 이득은 없었다.
칼슘 통로는 혈관뿐만 아니라 몸속의 모든 세포에 있다. 따라서 혈압약이 모든 세포의 칼슘 통로를 막아버리면, 세포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생기는 가장 큰 폐해는 면역세포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일이다. -p79
1993년 이바라키 현의 조사에 따르면, 혈압약을 복용한 사람은 복용하지 않은 사람과 비교했을 때,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가 1.14배였다. 더욱이 남성에만 한정할 경우 1.3배나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면역력 저하는 암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질병까지 발생시킨다.
이런 사실들로 미루어볼 때, 혈압약 사용은 될 수 있으면 삼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p81
아직 책을 다 읽지 못했다. 오늘 마저 읽고 도서관에 반납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