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삼키는 가장 완벽한 방법 - 읽어도 기억에 안 남는 사람들을 위한 독서법!
김세연 지음 / 봄풀출판 / 2016년 7월
평점 :
<비판적 책읽기>의 개정판이다. 제목과 표지를 좀 더 산뜻하게 바꿔서 나왔다. 책 내용은 원제 그대로이다. 비판적으로 독서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그리고 그것(비판적 독서법)이 개정판의 제목대로 책을 삼키는 가장 완벽한 방법이다.
일단 독서를 할 때는 기본적으로 책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야 한다. 글과 책에 대한 이해도 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비판이란 어불성설이다. 이해하지 못한 것을 비판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위이다. 책을 이해한 후에는 저자의 의견과 근거를 비판적으로 바라봐야한다. 권위에 짓눌려 혹은 맹신에 눈멀어서는 안된다. 오로지 논리와 이성을 바탕으로 저자의 글을 판단해야 한다.
책을 읽기 위해서는 호기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해를 잘하려면 읽은 내용을 요약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해서 어떤 책인지 이야기를 할 수 없다면 아마도 그 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리라.
이 책은 비판적 독서법을 다룬다. 기본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몇몇 부분에서 저자의 말에 딴지를 걸고 싶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좋은 책이다.
'나는 과연 비판적인 독서, 사고를 하고 있는가?' 라는 의문이 든다. 매우 어려운 질문이다. 자기 자신을 가장 잘 모르는 것은 자기 자신이 아닐까? 일단 나는 권위를 인정하는 편이다. 인정은 하고 들어가지만 거기에 매몰되진 않는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어디까지나 이건 내 생각일 뿐이다.) 권위라는 것은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특히나 한 분야의 권위자는 그 분야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다. 물론 그 권위자의 뒤에 이해관계가 도사리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나는 권위는 인정한다. 대체로 세계적인 권위자들은 나를 실망시키지 않는다. 물론 권위자의 글이라도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때도 있다. '저자가 바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곰곰이 생각해볼 때 나의 비판은 감정에 기초하는 것 같다. 호불호에 따라서 태도가 많이 바뀐다. 누구나 비판의 여지는 있고, 어떤 의견, 생각, 관점이든 비판의 여지는 있을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작가는 옹호하고 싶고, 내가 싫어하는 작가는 작은 흠이라도 비판하고 싶다. 너무 째째하게 따지고 들면 비판을 위한 비판이 된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가끔 다른 서친들의 작가나 책에 대한 비판 글을 읽으면 거기에 대한 반박글을 달고 싶을 때가 많다. 생각만 하고 글을 쓰지는 않는다. 어차피 소모적인 논쟁이 되거나 감정적이 되거나 그렇게 중요한 사안들도 아니기 때문이다. 허심탄회하게 비판적인 토론을 나누고 싶은데, 온라인 상에서든 오프라인 상에서든 쉽지 않다. 인간은 신념과 감정에 기초한 동물이기 때문이다. 나또한 마찬가지임을 너무 잘 알기 때문에 섣부른 비판은 삼간다.
자신의 편견과 고정관념, 권위에 대한 옹호, 오류, 섣부른 판단 등을 깨닫는 것은 어렵다. 어렵기 때문에 세상에 이토록 편견과 고정관념이 횡행하고 엉망진창인 것이다. 때문에 나는 나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주는 책들을 좋아한다. 그런 책들을 만나는 것은 크나큰 기쁨이다. 우리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또한 그렇다. 잘못된 믿음, 신념 등은 스스로 깨닫기는 힘들다. 때문에 자주 거울을 들여다봐야한다. 거울이 없으면 우리는 우리의 모습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책은 거울 역할을 해준다. 책에서 자신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발견하는 것은 감사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