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3.17.

오늘말. 땋다


집안일은 혼자하지 않습니다. 함께하는 집안일입니다. 어머니 아버지가 나란히 하고, 아이들도 서로돕기로 합니다. 가만 보면, 돕는 일이기에 앞서 모둠일입니다. 두런두런 이야기하고 둥그렇게 어울리면서 누리는 두레일이기도 합니다. 한집안을 이루는 모든 사람이 한동아리로 어깨동무하면서 다같이 하고 쉬고 나누고 펴고 베풀고 즐기면서 가꾸어 가는 집일입니다. 집일을 여미다 보면, 물결처럼 일어나는 살림이로구나 싶어서 ‘집살림’이라는 이름을 새로 붙여요. 하나하나 땋습니다. 조금씩 엮습니다. 알뜰살뜰 째요. 걸상이나 옷칸을 짜고, 구멍난 겉옷을 꿰맵니다. 우리가 품은 살림은 이웃하고 나눕니다. 굳이 이웃돕기라고 하지는 않아요. 한마음이요 한마을이니, 함께짓는 하루입니다. 오늘도 해가 솟고 바람이 일렁이다가 땅거미가 내리더니 별이 돋습니다. 너랑 내가 같이 걸어가는 길입니다. 팔짱을 끼다가 입을 맞추듯 말을 섞다가, 한넋으로 속삭이면서 풀벌레와 노래하는 삶이에요. 품앗이처럼 같이짓기를 해요. 둥글둥글 맞잡으면서 모둠짓기를 해요. 버거운 큰일이라면 이웃마을하고 울력을 할 만합니다. 곰곰이 이으면서 한빛으로 피어납니다.


같이짓다·함께짓다·같이하다·함께하다·나눔일·울력·일나눔·품앗이·다같이·다함께·-랑·-과·-와·-하고·어깨동무·팔짱·팔짱꽃·한동아리·한울·한울타리·한뜻·한넋·한마음·한얼·한빛·한빛깔·한빛살·도와주다·돕다·두레·두레일·모둠일·모둠짓기·모둠쓰기·맞잡다·마주잡다·서로돕다·서로이웃·손잡다·꿰맞추다·꿰매다·낳다·땋다·여미다·엮다·짜다·째다·이웃하다·이웃돕기·이어가다·잇다·입맞춤·혀맞춤 ← 공동작업


겉옷·겉겉옷·바람막이 ← 잠바(ジャンパ-), 점퍼(jumper)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3.17.

오늘말. 저희


처음 ‘사람’이라는 말을 듣던 날을 떠올려 봅니다. “다 같은 사람들”이나 “다 다른 우리”라는 말을 곱씹습니다. 아이가 먼저 말소리를 내지는 않습니다. 함께 살아가는 둘레 어버이하고 어른이 아이를 바라보면서 문득 이름을 붙이고, 가만히 이름길을 열어요. 살내음이 깃든 마음씨를 이름꽃으로 읽고, 살갑게 주고받는 말이 어떤 이름빛으로 퍼지면서 온숨으로 환한지 느낍니다. 즐겁게 어울리니 서로 이름씨입니다. 안 즐겁다면 안 어우러지고, 낯짝부터 안 볼 테지요. 그나저나 왜 그놈이라든지 놈팡이라고 읊으면서 깎으려 할까요? 미움을 품은 말씨는 남에 앞서 저희를 먼저 갉고 좀먹을 뿐인걸요. 녀석을 나무랄 일이 없습니다. 나부터 살림빛을 일구고 삶빛을 깨워서 아름내기로 하루를 열면 되어요. 너도 나도 아름꽃입니다. 우리도 너희도 아름빛입니다. 찰랑찰랑 차오르는 참빛으로 마주합니다. 참하게 가라앉아서 차분하게 반짝이는 바다빛으로 맞아들입니다. 우리 몸은 넋이 깃드는 집입니다. 우리 마음은 넋이 가꾸는 밭입니다. 바람이 가벼이 드나드는 숨길을 헤아리면서, 별빛이 흘러드는 숨결을 생각합니다. 모든 곳이 곰곰이 곱습니다.


ㅅㄴㄹ


사람·사람들·우리·저희·살갑다·살내음·곁·살림빛·삶빛·삶·살다·숨·숨결·숨꽃·숨빛·숨통·숨붙이·숨길·마음·마음결·마음새·마음밭·마음보·마음빛·마음씨·넋·얼·모습·결·빛·됨됨이·이름·이름값·이름길·이름꽃·이름빛·이름씨·이름줄·아름꽃·아름빛·몸·몸값·몸뚱이·몸으로·몸짓·몸새·온길·온꽃·온넋·온숨·온빛·참·참꽃·참것·참길·참빛·얼굴·얼굴빛·낯·낯짝·낯바닥·어우러지다·어울리다·얼크러지다·놈·이놈·저놈·그놈·놈팡이·녀석·-내기·-짜리·이·치 ← 인적(人的, 인간(人間)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3.17.

오늘말. 도드람


모든 아이는 어른으로 자라고, 모든 어른은 아이다운 첫빛을 건사하면서 슬기롭게 반짝입니다. 몸을 입은 사람은 힘을 훌륭하게 쓰기도 하고, 마음을 참하게 펴기도 하고, 서로 돕고 이바지하면서 하루를 맞이합니다. 밤하늘 별님도 빛접고, 낮하늘 해님도 빛납니다. 온누리에서 저마다 어울리는 우리는 다 다르게 빛사람입니다. 오늘은 내가 앞장섭니다. 모레는 네가 이끕니다. 으뜸이나 버금을 가르지 않습니다. 첫봉우리도 높고, 첫꽃도 아름다운데, 막내봉우리도 대단하고, 막내꽃도 눈부십니다. 겨루거나 다툴 적에는 누가 가장 애썼는지 따집니다. 나누거나 베풀 적에는 서로 도드람이고 두드럼입니다. 어느 하나만 머드러기이지 않아요. 우듬지에 짓는 둥우리도 살갑고, 풀숲이나 처마밑에 트는 둥지도 살뜰하거든요. 두몫이나 석몫을 할 수 있지만, 한몫만 해도 반갑습니다. 두가닥이나 석가닥까지 해도 빼어나되, 한가닥만 해도 즐겁습니다. 소꿉순이로 놀던 아이가 빛순이에 꽃순이로 큽니다. 소꿉돌이로 뛰던 아이가 빛돌이에 꽃돌이로 서요. 둘은 나란히 서면서 곁바라지입니다. 둘은 둥그렇게 두레를 이루면서 부축합니다. 새가 날며 노래합니다.


ㅅㄴㄹ


으뜸별·으뜸꽃·으뜸이·으뜸꾼·으뜸빛·첫별·첫꽃·첫님·첫봉우리·첫빛·첫지기·첫째가다·꼭두봉우리·꼭두갓·꼭두메·꼭두꾼·꼭두지기·꼭두빛·눈부시다·대단하다·도드라지다·두드러지다·빼어나다·도드람·두드럼·돋보이다·뛰어나다·머드러기·가장 잘하다·가장 훌륭하다·가장 애쓰다·가장 힘쓰다·가장 낫다·빛·빛나다·빛접다·빛나리·빛님·빛둥이·빛사람·빛지기·빛순이·빛돌이·빛아이·하나·한가닥·한몫·거들다·곁들이다·곁바라지·부축하다·이바지하다·아름힘·앞·앞꽃·앞장서다·엄청나다·훌륭하다·크다 ← 수훈, 수훈선수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3.17.

오늘말. 와락


마음을 닫으면 이웃이 아닙니다. 담벼락을 허물고서 새꽃이 피어날 틈을 가꿀 적에 이웃입니다. 깨거나 때리기만 한다면 동무가 아닙니다. 누구를 쳐부수어야 할 일이 없습니다. 흙돌나무를 보듬어 새걸음으로 나아갈 만하고, 빈손으로 새로지으며 느긋합니다. 하나하나 따지니 깐깐할 테고, 모조리 짚으니 까다롭다지요. 너무 어렵게 구는 듯싶지만, 제대로 배워서 살림으로 익히려면, 좀 골아프더라도 두루 받아들일 노릇입니다. 하지 않으면서 하는 체한다면 살림하고 멀어요. 조금 할 줄 안대서 우쭐거리거나 으쓱거려도 살림이 아니지요. 이웃은 서로 콧대를 안 높여요. 동무는 서로 자랑을 안 해요. 나누면서 새롭게 깨어나는 이웃입니다. 베풀면서 와락 껴안을 줄 아는 동무입니다. 바람은 얼핏 확확 부는 듯하지만, 풀잎도 나뭇잎도 개구리도 풀벌레도 파란숨을 나누어 받아요. 빗줄기가 훅훅 듣는 듯한데, 꽃송이도 논밭도 맑은물을 넉넉히 맞이합니다. 오늘 이곳에서 가다듬으면서 짓는 손멋입니다. 어제 두런두런 조촐하게 꾸리면서 편 손길입니다. 겉멋이라면 내려놓아요. 꾸미기만 해서는 살아나지 않아요. 글물이 아닌 글씨 한 자락으로 다듬습니다.


ㅅㄴㄹ


깨다·때리다·무너뜨리다·부수다·허물다·치다·쳐부수다·틀깨기·허물씻이·허물벗기·새·새롭다·새롬빛·새노래·새길·새꽃·새걸음·새그림·새로열다·새로가다·새로서다·새로짓다·새로찾다·새로하다·와락·와르르·우르르·확·훅·휙·휭 ← 전위예술(前衛藝術), 전위적(前衛的)


까다롭다·깐깐하다·어렵다·힘겹다·골아프다·골머리 앓다·골치 아프다·글물·먹물·글뭉치·글조각·배운이·우쭐거리다·으쓱거리다·콧대·콧대높다·자랑·잘난체·잘난척·체하다·척하다·티내다·겉·겉멋·겉치레·겉낯·겉짓·겉으로·멋·멋부리다·꾸미다·치레하다 ← 현학(衒學), 현학적(衒學的)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환호작약



 큰 성공이라며 환호작약한다 → 크게 이뤘다며 반긴다

 속으로 환호작약하더니 → 속으로 기뻐하더니

 승리에 환호작약으로 화답하다 → 이겨서 하하호호 메아리치다


환호작약(歡呼雀躍) : 크게 소리를 지르고 뛰며 기뻐함



  기쁠 적에는 ‘기쁘다·기뻐하다·기뻐날뛰다·자지러지다·즐겁다’나 ‘기쁜낯·기쁜빛·기쁜얼굴·기쁨낯·흐뭇하다’라 하면 됩니다. 기뻐서 웃음을 터뜨린다면 ‘까르르·깔깔깔·하하·하하호호·함박웃음’이나 ‘웃고 자빠지다·웃다·웃음꽃·웃음판·큰웃음’이나 ‘웃음물결·웃음바다·웃음보·웃음집·웃음보따리·웃음주머니’라 하면 되어요. 기쁘고 웃음이 터지니 ‘꽃보라·꽃비·단비’나 ‘봄꽃비·여름꽃비·가을꽃비·겨울꽃비’나 ‘봄단비·여름단비·가을단비·겨울단비’라 할 만합니다. 이때에는 ‘두손들다·손들다·손뼉웃음·활짝’ 같은 몸짓이 나옵니다. ‘내뱉다·뱉다·부르짖다·야호·입을 벌리다’나 ‘목소리·목청·소리·소리치다·외치다·큰소리’처럼 여러모로 소리가 터져나와요. “무척 웃다·매우 웃다·몹시 웃다”로 나타낼 만하고, ‘반갑다·반기다·뿌듯하다·좋아하다’나 ‘신나다·신바람·어깻바람·어화둥둥’으로 나타내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큰 술 또 꺼내놓던 미당의 환호작약!

→ 큰 술 또 꺼내놓고 기뻐하는 미당!

→ 큰 술 또 꺼내놓고 활짝대는 미당!

《앞마당에 그가 머물다 갔다》(강세환, 실천문학사, 2015) 3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