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만든 책과 기록 우리알고 세계보고 5
김향금 지음, 홍선주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376


《세상을 만든 책과 기록》

 김향금 글

 홍선주 그림

 미래엔

 2016.11.10.



  저는 어릴 적부터 이것저것 모으기를 즐겼습니다. 무엇을 그렇게 모으고 살았나 했더니 모두 ‘꾸러미’였어요. 꾸러미란 종이꾸러미, 이른바 책도 있습니다만, 과자를 까먹고 남은 빈 껍데기도 ‘이야기를 길어올리는 꾸러미’입니다. 중·고등학교를 다니며 치른 시험마다 시험종이를 건사했는데 이 시험종이도 이야기꾸러미입니다. 종이버스표나 우표뿐 아니라 영수증 하나하나도 지난살림을 보여주는 이야기꾸러미가 되고요. 책이란 꼴로 있는 종이꾸러미는 눈으로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을 읽으면서 바로 이야기를 느낍니다. 몽당연필이나 다 쓴 공책이나 수첩이라면, 길에서 뿌리는 전단지라면, 어느 때에 어떤 사람이 어떤 하루를 보내었는가를 되새기는 이야기를 찬찬히 느껴요. 《세상을 만든 책과 기록》은 종이꾸러미인 책을 바탕으로 ‘남기는 이야기’ 흐름을 짚습니다. ‘남긴다’는 대목에서 담벼락에 새긴 고래 그림을 첫머리에서 짚는데요, 붓종이가 없더라도 사람들은 숱한 이야기를 남겼어요. 수수한 살림에 남겼고, 흙을 짓는 연장이나 풀로 이은 집에도 남기지요. 숲정이로 돌보는 나무에도, 풀꽃에 붙이는 이름에도 온갖 이야기를 남겨요. 다시 말해, 종이꾸러미만 파면 외려 책을 놓칩니다. 풀꽃나무 비바람도 모두 책인걸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이 좋아요 좋아요 떠나요 1
김남길 글, 김동영 그림 / 바우솔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382


《숲이 좋아요》

 김남길 글

 김동영 그림

 바우솔

 2011.11.15.



  스스로 살아 볼 적에 비로소 말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뻐한 적이 없다면 누가 기뻐할 적에 어떤 마음인가를 알기 어렵고, 슬퍼한 적이 없다면 누가 슬퍼할 적에 어떤 느낌인가를 알기 힘들어요. 가난한 적이 없다면 누가 가난할 적에 어떤 살림인가를 헤아리기 어렵고, 가멸찬 적이 없다면 누가 가멸찰 적에 어떤 하루인가를 읽기 힘들지요. 갓 태어난 무렵부터 어버이가 모는 자가용을 타고 돌아다닌 아이라면 버스를 알기 어려울 뿐 아니라, 걷거나 자전거를 달리는 길을 모르기 쉽습니다. 갓 태어날 즈음부터 풀밭을 맨발로 기고 나무를 안으면서 논 아이라면 마음으로 풀꽃나무하고 이야기할 줄 알아요. 《숲이 좋아요》는 숲을 이룬 온갖 나무 가운데 몇 가지를 추려서 이 나무가 어떠한 숨결이며 뜻이고 이름으로 우리 곁에 있는가를 들려줍니다. 상냥한 그림책이지요. 나무랑 숲 이야기를 꽤 가벼우면서 재미나게 보여줍니다. 숲을 꼭 돌보거나 지켜야 한다고 외치기보다는, 이 땅에서 나무한테 이름을 붙인 길을 돌아보면서 ‘아이들아, 나무하고 동무하면서 놀자’ 하고 부르는 듯한 얼개예요. 다만 이름에 너무 매이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자칫 엉뚱한 풀이를 달기도 하거든요. ‘오리나무’는 “물가 오리”에서 딴 나무가 맞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ゆき (ほるぷ創作繪本) (大型本)
きくち ちき / ほるぷ出版 / 2015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381


《ゆき》

 きくちちき

 ほるぷ出版

 2015.11.10.



  여름에는 비, 겨울에는 눈, 이렇게 철마다 다르게 퍼지는 구름입니다. 봄가을에는 눈도 비도 섞이면서 여름겨울 사이를 갈마드는 구름꽃이 되고요. 하늘눈은 몸눈하고 꽃눈에 잎눈하고 맞닿습니다. 눈이란 피어나는 숨결입니다. 포근히 덮으면서 꿈꾸는 빛이에요. 하늘비는 마당비랑 잇닿습니다. 비란 쓸거나 씻는 숨결입니다. 시원히 쓸거나 씻으면서 살리는 빛이지요. 《ゆき》는 눈송이가 아이들 눈망울에서 얼마나 환하게 빛나면서 푸나무한테서 새롭게 잎이며 꽃으로 돋아나는가 하는 이야기를 그림결로 넉넉히 보여줍니다. 눈송이란, 얼마나 눈부실까요. 눈망울이란, 얼마나 맑을까요. 싹눈이란, 얼마나 싱그러울까요. 이 눈이 덮어 주는 땅은 겨우내 고이 잠들어요. 새근새근 꿈을 지핍니다. 눈이 모두 녹아 흙으로 스며들어 땅에 폭신폭신 녹으면 바야흐로 빗방울로 바뀌는 구름송이가 하늘을 환하게 씻어 주면서 우리 마음마다 파랗게 틔우는 바람을 베풉니다. 파랗게 일렁이는 바람을 머금으니 푸르게 춤추는 숲이 깨어나는 셈인가요. 이 눈을 손바닥에 얹으면서 내 눈으로 널 바라봅니다. 이 비를 혀로 톡톡 받으면서 네 눈은 나를 쳐다봅니다. 눈비가 섞이면서 푸른별이 산뜻합니다. 비눈이 어우러지면서 파란별이 새롭습니다. ㅅㄴㄹ



#숲노래그림책 #그림책시렁 #그림책읽기 #그림책비평 #그림책 #책노래 #눈그림책 #기쿠치치키 #숲노래아름책 #숲노래추천책 #ゆき #きくちちき #ほるぷ出版 #ゆき きくちちき ほるぷ出版

.

.

.

夏には雨、冬には雪、こうやって季節ごとに廣がる雲です。 春と秋には雪も雨も混じり、夏と冬の間を變える雲の花になります。 天の雪は體目と花の芽に葉の芽と觸れ合います。 雪 目 芽は吸く息遣いです。 暖かく覆いながら夢見る光です。 空は庭の雨とつながります。 ビとは、掃いたり洗ったりする息遣いです。 きれいに掃いたり、洗ったりしながら生かす光ですね。 『ゆき』は、雪片が子供たちの瞳でどんなに明るく輝き、草木から新たに葉っぱになり、花として生えてくるかというスト―リ―を描き上げてくれます。 雪の房とは、どんなにまぶしいのでしょう。 瞳とは、どんなに澄んでいるのでしょう。 芽とは、いかにさわやかでしょう。 この雪が覆ってくれる土地は冬の間ずっと眠ります。 すやすやと夢を消します。 雪がすべて溶けて土にしみこみ、地面にふわふわ溶けると、雨粒に變わる雲が空をきれいに洗い流し、心ごとに靑くする風をします。 靑い風に吹かれると、靑く踊る森が目覺めるわけです。 この目を手のひらにのせながら私の目で君を眺めます。 この雨を舌でポンポン受けながら君の目は私を見ます。 雪雨が混ざりながら靑い星が爽やかです。 雨雪が交わって草綠い星が新しいで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끼의 의자
고우야마 요시코 글, 가키모토 고우조 그림, 김숙 옮김 / 북뱅크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379


《토끼의 의자》

 고우야마 요시코 글

 가키모토 고우조 그림

 김숙 옮김

 북뱅크

 2010.11.30.



  나무를 놓고서 오래오래 흐르는 이야기가 있어요. 어린나무일 적에는 듬직하게 자라는 모습으로 반갑고, 아름드리로 선 다음에는 그늘이며 열매를 베풀어 고맙고, 짙푸른 잎바람으로 시원하게 마을을 감싸니 살갑더니, 집을 짓거나 세간을 짤 줄기랑 가지를 줄 뿐 아니라, 땔감도 되고 소꿉살림이 될 뿐더러, 그루터기에 앉아서 쉬도록 모두 내어주며 웃고는 가만히 씨앗을 싹틔워 새 나무가 자라도록 한다지요. 나무 곁에서는 누구나 넉넉합니다. 나무를 마주하니 모두 느긋합니다. 자, 이런 나무를 아이들한테 베풀면 어떤 일이 새롭게 생길까요? 《토끼의 의자》는 나무로 소꿉살림을 가꾸는 토끼가 척척 짜맞춘 걸상 하나로 어우러지는 숲노래를 들려줍니다. 토끼는 즐겁게 살림하는 손길로 걸상을 짰대요. 이 걸상을 혼자 누리기보다는 누구나 누리기를 바랐대요. 걸상이 되어 준 나무 곁에 나무걸상을 덩그러니 놓습니다. 이 나무걸상은 나무 곁에서 숱한 숲짐승을 만나면서 갖은 숲얘기를 길어올립니다. 고작 나무 한 그루나, 기껏 나무토막 몇이 아니에요. 사랑스러운 손길을 타면서 새롭게 피어나는 살림꽃입니다. 어린이는 오늘 두 손으로 무엇을 만지나요? 푸름이는 오늘 너른 가슴으로 무엇을 품나요? 이제 나무를 심고 바라보아요. ㅅㄴㄹ


#香山美子 #どうぞのいす #柿本幸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 음악가 폭스트롯 별둘 그림책 1
헬메 하이네 글 그림, 문성원 옮김 / 달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시렁 374


《어린 음악가 폭스트롯》

 헬메 하이네

 문성원 옮김

 달리

 2003.11.10.



  굳이 ‘직업’을 찾아야 하지 않습니다. 마음껏 뛰놀고 무럭무럭 자라면서 푸른철로 접어들 즈음 ‘스스로 하루를 짓는 길’을 찾으면 된다고 여겨요. 직업훈련·직업교육이 나쁘지 않겠지만, ‘일자리 찾기’보다 ‘삶자리 사랑하기’를 제대로 바라보고 누리도록 이끌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린 음악가 폭스트롯》은 어린이한테도 푸름이랑 어른한테도 눈부신 이야기라고 느껴요. 여우로 태어났기에 꼭 작은 짐승을 사냥해서 먹어야 할까요? 여우로 태어났지만 어미 여우하고 다르게, 아니 스스로 마음을 사로잡는 즐거운 길을 갈 수 있지 않을까요? 어린 여우는 고요한 보금자리에서 자랐지만, 처음 바깥소리를 마주한 날 ‘숲을 감싸는 숱한 소리’가 노랫가락으로 스며들었다지요. 아무도 안 가르쳤지만 스스로 숲한테서 노래를 배운다지요. 누구도 안 가르치지만 스스로 숲이라는 길잡이를 곁에 두고서 새롭게 노래를 부른다지요. 어미 여우하고 다른 어린 여우가 짓는 새길이 태어난다면, 이 어린 여우가 어른이 된 다음에는, 또 어떤 새길이 태어날 만할까요? ‘노래하는 여우(폭스트롯)’가 낳아서 돌보는 아이는 어미 여우하고 또 다르면서 즐겁게 새길을 닦을 만하겠지요? 우리는 저마다 하늘을 품고 숲을 사랑하는 숨결이니까요. ㅅㄴㄹ


#Foxtrote #HelmeHein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