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의 눈물 책꾸러기 13
다지마 신지 지음, 계일 옮김, 박미정 그림 / 계수나무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숲책 / 환경책 읽기 2024.11.26.

숲책 읽기 231


《여우의 눈물》

 다지마 신지 글

 박미정 그림

 계일 옮김

 계수나무

 2012.5.25.



  이 삶이 즐거우려면 여러 길이 있습니다. 첫째로, 언제나 손수 그리고 짓고 가꾸고 일구면서 푸른숲을 품는 길입니다. 둘째로, 차분하면서 곱게 마음을 들여다보는 하루를 누리면서 나답게 나로서 나를 사랑하는 길입니다. 셋째로, 별빛을 온몸에 담아서 파란하늘빛으로 깨어나서 꿈씨앗을 심는 길입니다. 이밖에 여러 기쁨길이 있을 텐데, 기쁨길이란 ‘남 아닌 나’를 바라보면서 사랑하는 길입니다.


  다만 ‘남 아닌 나’란 ‘나만’이 아닙니다. ‘나만 보기’는 ‘나사랑’하고 멉니다. ‘나보기’는 ‘나만 보기’일 수 없습니다. ‘나보기·나사랑’은 다 다른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차분히 참하게 차근차근 새기면서, 오늘 이 길을 걷는 사람은 ‘남 아닌 나’인 줄 알아보는 살림살이입니다.


  숨을 쉬는 이는 바로 나입니다. 수저를 쥐고서 밥을 먹는 이는 바로 나입니다. 똥오줌을 누고 잠자리에 드는 이는 늘 나예요. 걷고 달리고 앉고 서는 이는 언제나 나입니다. 내가 나를 나로서 나답게 바라볼 때라야 ‘내 곁에 있는 너’를 알아차려요.


  《여우의 눈물》은 다지마 신지 님이 여민 《가우디의 바다》라고 하는 꾸러미에서 한 자락을 따로 여민 작은이야기입니다. 《가우디의 바다》는 1990년에 처음 한글판이 나왔는데 영 사랑받지 못 하고서 자취를 감추었어요. 1990년 무렵 ‘매캐(공해)’를 둘러싼 걱정거리가 조금 고개를 내밀기는 했으나, 숱한 사람들은 ‘매캐를 걱정하기보다 돈(경제발전)이 먼저!’라고 소리높였어요. 오늘날에도 이 얼거리는 그리 안 다릅니다. 허울은 ‘친환경·재생에너지’라고 내세우지만, 막상 ‘친환경·재생에너지’는 어마어마하게 커다란 돈을 들이부으면서 들숲바다를 몽땅 까뒤집는 또다른 삽질로 흐르기만 합니다.


  어린이부터 읽는, 또는 어린이를 무릎에 앉히고서 어른이 함께 읽는 《여우의 눈물》입니다. 이 작은이야기는 ‘아이 여우’하고 ‘엄마 여우’가 나오고, ‘서울사람(도시 회사원·사장)’이 나란히 나옵니다. 그리고 ‘서울사람을 부러워하면서 여우살림을 버린 슬픈 넋’이 함께 나오지요.


  처음에는 엄마 여우가 눈물을 흘립니다. 아이 여우는 엄마 여우가 왜 눈물을 흘리는지 못 알아볼 뿐 아니라, 엄마가 흘리는 눈물조차 안 보고서 쌩하니 서울로 달려갑니다. 서울에서 일자리를 얻어서 더는 ‘숲에서 먹이사냥’을 안 해도 가게에서 손쉽게 고기를 사다먹을 수 있는 아이 여우는 꽤나 서울살이가 마음에 든다지요. 그렇다면 아이 여우는 왜 뒤늦게 눈물을 흘릴까요? 왜 아이 여우는 처음부터 더 깊고 넓게 안 헤아린 채 탈바꿈(사람으로 몸을 바꾸기)을 해버리고 말았을까요? 뒤늦게 눈물을 흘린 뒤부터 새롭게 걸어갈 꿈길을 그리려는 마음은 왜 없을까요?


  막다른 벼랑으로 스스로 치달렸기에 끝장나지 않습니다. 뒤돌아서서 숲으로 가면 됩니다. 다시 여우몸을 찾을 길이 없다면, 사람몸으로 서울을 숲빛으로 갈아엎거나 바꾸는 꿈씨앗을 심을 수 있습니다.


  눈물은 빗물하고 같습니다. 뜨겁게 온몸을 녹여서 스스로 허물을 씻어내고서 나비로 거듭나는 날개돋이 구실을 하는 눈물입니다. 눈물에 젖어서 허물씻이부터 하고 난 뒤에 새롭게 일어설 줄 안다면, 이제부터 참삶으로 나아갈 만합니다.


  그리고 이슬과 빗물은 시골이나 숲뿐 아니라 서울에도 찾아옵니다. 모든 곳에는 새벽이슬과 밤이슬이 내려요. 모든 곳에는 비가 오고 눈이 옵니다. 달래고 씻은 뒤에는 살리고 북돋울 일입니다.


ㅅㄴㄹ


‘칫! 여우가 심사숙고를 해?’ 하고 비웃지 마십시오. 여우도 고민할 때에는 고민하고, 울어야 할 때에는 ‘캐앵’ 하고 울기도 하면서 힘든 세상을 살아가고 있으니까요. (7쪽)


작년 가을, 산이 반으로 잘리더니 골프장이 들어섰습니다. “멋있다! 부러워!” 곤키치는 골프를 치는 사람들을 넋을 잃고 바라보았습니다. 그들은 대부분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회사원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말끔한 정장 차림으로 출근을 합니다. 그러나 주말이 되면 한껏 멋을 부리고는 초록빛 가득한 산에 가서 하얀 공을 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하지요. (8쪽)


“더 이상 여우로 살기 싫어!” 그 소리는 들을 지나 산을 넘고 머나먼 바다 건너 지구를 한 바퀴 돌아 메아리가 되어 다시 곤키치에게 돌아왔습니다. “나는 사람이 될 거야, 사람이…….” (13쪽)


좋아서 어쩔 줄 모르는 곤키치를 엄마 여우는 말없이 보고만 있었습니다. 한 방울, 두 방울 ……. 엄마 여우의 두 눈에서 소리 없이 눈물이 흘러내렸습니다. (18쪽)


“아아…….” 곤키치는 길게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나는 여우가 될 수 없어. 설사 여우로 돌아간다고 해도 더는 산에서 살아갈 수 없어. 나는 진짜 사람이 되어 버렸으니까.” (59쪽)


《여우의 눈물》(다지마 신지/계일 옮김, 계수나무, 2012)


#田島伸二 #コンキチ #人間になってみたキツネ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1.23. 부산이웃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부산에서 마실하는 이웃을 맞이하기 앞서 책숲을 신나게 치웁니다. 한나절을 꼬박 들여서 책더미 여럿을 제자리를 찾아서 꽂아 놓고, 잔뜩 쌓인 종이꾸러미도 조금쯤 끌러서 한켠에 쌓습니다.


  오늘 고흥에서 꾸리는 ‘이응모임(새롭게 있고, 찬찬히 읽고, 참하게 잇고, 느긋이 익히고)’은 네 가지 ㅇ(있·읽·잇·익)을 놓고서 따르 밑글을 마련하지 않습니다. 〈숲노래 책숲〉에 건사한 이오덕 어른 책을 자리에 몇 더미로 쌓아 놓으면서 엽니다. 이오덕 어른 책을 이렇게 수북수북 건사해서 읽은 사람은 몇쯤 될까요?


  다만, 종이책만 훑기에 ‘읽는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첫줄부터 끝줄까지 죽 훑을 적에는 ‘훑다’라고 합니다. ‘읽다’라는 낱말은 한 줄을 읽건 쉰 벌을 되새기건, 우리가 눈을 거쳐서 마음으로 스민 이야기를 우리 몸으로 녹이고 풀어서 우리 삶으로 펼쳐서 사랑으로 밝히고 살림으로 가꾸는 길을 가리킵니다. ‘있’기에 ‘읽’는데, ‘이으’면서 ‘익히’는 하루예요.


  이런 여러 ㅇ을 돌아보면서 ‘가고 오는’으로 쪽글을 씁니다. 이윽고 ‘단맛 쓴맛’을 놓고서도 쪽글을 써요. 어디로 가고 어디로 오는지, 누가 가고 누가 오는지, 무엇이 달고 쓴지, 이 삶은 얼마나 달콤하면서 씁쓸한지 하나씩 짚고 살피면서 구름 짙은 고흥밤을 포근히 누립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화염폭풍



 화염폭풍이 전부 집어삼켰다 → 불바다가 다 집어삼켰다

 갑자기 발생한 화염폭풍은 → 갑자기 불바람이 일어


화염폭풍 : x

화염(火焰) : 타는 불에서 일어나는 붉은빛의 기운. ‘불꽃’으로 순화

폭풍(暴風) : 1. 매우 세차게 부는 바람 2. [지구] 풍력 계급 11의 몹시 강한 바람. 10분간의 평균 풍속이 초속 28.5~32.6미터이며, 육지에서는 건물이 크게 부서지고 바다에서는 산더미 같은 파도가 인다 = 왕바람



  불이 나기에 ‘불·불꽃·불티’라고 합니다. ‘불나다·불내다·불붙다·불지르다’라고도 하지요. 불이 크게 일 적에는 ‘불덩이·불더미·불공’이라 할 만합니다. 불이 확 번지며 바람을 일으키기에 ‘불바람·불바다’라 하지요. 이때에는 ‘큰불·센불’이기도 합니다. ㅅㄴㄹ



일련의 화재를 유발했고, 화염 폭풍을 일으켰다

→ 불을 잇달아 일으키고, 불바람을 일으킨다

《휴머니티》(조나단 글로버/김선욱 옮김, 문예출판사, 2008) 128쪽


화염폭풍을 일으키며 확산

→ 불바다를 일으키며 퍼짐

→ 큰불을 일으키며 번짐

《마오 2》(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0) 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환형동물



 강의 환형동물을 조사한다 → 냇물 마디벌레를 살핀다

 주변의 환형동물로는 → 둘레 마디살이로는


환형동물(環形動物) : [동물] 환형동물문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체절동물

환형동물문(環形動物門) : [동물] 후생동물의 한 문. 몸은 여러 개의 환절(環節)로 되어 있고 가늘고 길며, 마디마다 다리가 있는 종류도 있다. 몸 표면은 각피로 덮여 있고 점액샘이 발달되어 있다. 배설 기관은 신관이며 폐쇄 혈관계와 사다리 신경계를 가졌다. 지렁이, 거머리 따위가 있다 ≒ 체절동물문



  마디가 있는 몸으로 살아가기에 ‘마디벌레’예요. ‘마디살이’이지요. ‘마디짐승’이라고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환형동물인 지렁이는 온몸으로 감각한다는 점에서

→ 마디살이인 지렁이는 온몸으로 느끼기에

→ 마디짐승인 지렁이는 온몸으로 느끼기에

《무한한 하나》(김대성, 산지니, 2016) 188쪽


환형동물의 지렁이류는 우리나라에 100여 종이 기록되어 있다

→ 마디살이인 지렁이붙이는 우리나라에 온 갈래 남짓 있다

《화살표 물속생물 도감》(권순직·전영철·김명철, 자연과생태, 2017) 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위성도시



 위성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 옆마을에 사는 사람한테

 거대도시 주변에 위치한 위성도시 → 큰고장 둘레마을 / 큰고을 옆 이웃고을

 위성도시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 둘레고을 노릇을 한다


위성도시(衛星都市) : [건설]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면서 대도시와 유기적인 종속 관계를 가지는 중소 도시. 기능에 따라 위성 주택 도시, 위성 공업 도시 따위로 나누는데, 서울 주위에 있는 성남시·과천시·안양시 따위가 그 예이다



  큰고을 옆에 있으면 ‘옆마을·옆고을·옆고장’입니다. ‘옆·옆구리·옆자리·옆칸’이나 ‘달고을’이라 할 만합니다. ‘둘레고을·둘레고장·둘레마을’이라 할 수 있고, ‘이웃’이기도 합니다. ‘이웃꽃·이웃하다·이웃길’이나 ‘이웃마을·이웃고을·이웃고장’이라 해도 어울려요. ㅅㄴㄹ



위성도시에 파견된

→ 이웃마을로 보낸

→ 달고을로 맡긴

《무한한 하나》(김대성, 산지니, 2016) 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