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1.23. 부산이웃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부산에서 마실하는 이웃을 맞이하기 앞서 책숲을 신나게 치웁니다. 한나절을 꼬박 들여서 책더미 여럿을 제자리를 찾아서 꽂아 놓고, 잔뜩 쌓인 종이꾸러미도 조금쯤 끌러서 한켠에 쌓습니다.


  오늘 고흥에서 꾸리는 ‘이응모임(새롭게 있고, 찬찬히 읽고, 참하게 잇고, 느긋이 익히고)’은 네 가지 ㅇ(있·읽·잇·익)을 놓고서 따르 밑글을 마련하지 않습니다. 〈숲노래 책숲〉에 건사한 이오덕 어른 책을 자리에 몇 더미로 쌓아 놓으면서 엽니다. 이오덕 어른 책을 이렇게 수북수북 건사해서 읽은 사람은 몇쯤 될까요?


  다만, 종이책만 훑기에 ‘읽는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첫줄부터 끝줄까지 죽 훑을 적에는 ‘훑다’라고 합니다. ‘읽다’라는 낱말은 한 줄을 읽건 쉰 벌을 되새기건, 우리가 눈을 거쳐서 마음으로 스민 이야기를 우리 몸으로 녹이고 풀어서 우리 삶으로 펼쳐서 사랑으로 밝히고 살림으로 가꾸는 길을 가리킵니다. ‘있’기에 ‘읽’는데, ‘이으’면서 ‘익히’는 하루예요.


  이런 여러 ㅇ을 돌아보면서 ‘가고 오는’으로 쪽글을 씁니다. 이윽고 ‘단맛 쓴맛’을 놓고서도 쪽글을 써요. 어디로 가고 어디로 오는지, 누가 가고 누가 오는지, 무엇이 달고 쓴지, 이 삶은 얼마나 달콤하면서 씁쓸한지 하나씩 짚고 살피면서 구름 짙은 고흥밤을 포근히 누립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