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수정 受精


 식물의 수정 → 꽃가루받이 / 가루받이

 자가수정 식물 → 제꽃가루받이 식물 / 제가루받이 식물

 인공수정 → 인공 씨받이


  ‘수정(受精)’은 “[생물] 암수의 생식 세포가 하나로 합쳐져 접합자가 됨. 또는 그런 현상. 동물은 정자와 난자가 합쳐져 수정란을 이루고, 종자식물에서는 암술의 씨방 안의 난핵과 수술의 정핵이 결합하여 수정란을 만든다 ≒ 정받이”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정받이(精-)’는 “[생물] = 수정(受精)”으로 풀이합니다. 한국말사전에는 ‘수정·정받이’를 나란히 다루지만 ‘씨받이’는 함께 안 다룹니다. ‘씨앗받이’는 아예 사전에 없습니다. 풀꽃나무라면 ‘가루받이·꽃가루받이’를 쓸 노릇이고, 사람이며 뭇짐승이라면 ‘씨받이·씨앗받이’를 쓰면 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수정’을 열두 가지 더 싣는데, 광물을 가리키는 낱말(水晶)을 빼고는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바로잡을 적에는 ‘바로잡다’라 하면 되고, 고칠 적에는 ‘고치다’라 하면 됩니다. 2018.3.26.달.ㅅㄴㄹ



수정(手錠) : → 수갑(手匣)

수정(水亭) : 물가나 물 가운데에 지은 정자

수정(水程) : = 물길

수정(水精) : 1. 물의 정령(精靈). 또는 물속에 사는 요정 2. ‘달’을 달리 이르는 말 3. [광업] ‘수정’을 달리 이르는 말

수정(守貞) : [가톨릭] 동정을 지키는 일

수정(修正) : 바로잡아 고침

수정(修訂) : 글이나 글자의 잘못된 점을 고침

수정(修整) : 1. 고치어 정돈함 2. [미술] 복제(複製)할 때에 복제를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원도(原圖)에 에어브러시를 써서 수정하는 일 3. [연영] 사진술에서, 인화(印畵)를 선명하게 하거나 또는 수식할 목적으로 음화(陰?)에 수정 바니시를 칠하여 연필로 화상(畵像)을 수정하는 일

수정(授精) : 정자를 난자에 결합시키는 일 ≒ 매정(媒精)

수정(綏定) : 나라를 안정시킴

수정(綏靖) : 나라와 백성을 편안하게 함

수정(輸情) : 1. 자기 나라의 내부 형편을 적국에 알려 줌 2. 죄인이 범죄 사실을 낱낱이 실토



식물의 수정을 돕는 곤충이 꿀벌만 있는 것은 아니에요

→ 식물한테 가루받이를 돕는 벌레가 꿀벌만 있지 않아요

→ 꽃가루받이를 돕는 벌레가 꿀벌만 있지 않아요

《꿀벌》(보이치에흐 그라이코브스키·피오트르 소하/이지원 옮김, 풀빛, 2017) 16쪽


한 시간 정도 얼굴을 내밀고는 수정을 마치고 그대로 진다

→ 한 시간쯤 얼굴을 내밀고는 꽃가루받이를 마치고 그대로 진다

→ 한 시간 즈음 얼굴을 내밀고는 가루받이를 마치고 그대로 진다

《옛 농사 이야기》(전희식, 들녘, 2017) 18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