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가 저지른 성추행·막말을 잊었나요?

― 최영미 시인을 헐뜯는 이승철 시인한테




  지난 2016년 11월 30일에 쓴 글이 하나 있습니다. 다음 주소로 들어가면 그 글을 살필 수 있습니다. 그 글에 붙인 이름은 “술은 여자가, 없으면 젊은 사내가 따라야”입니다. 저는 그 글을 쓰기까지 열 몇 해 동안 속을 삭이면서 마음앓이를 했습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65579


  때린 사람은 잊었을는지 모르지요. 더듬고 삿대질하고 막말을 퍼부은 사람은 참말로 까맣게 잊었을는지 몰라요. 그러나 맞은 사람은, 더듬질을 받고 삿대질을 받으며 막말을 받은 사람은 좀처럼 못 잊습니다. 저는 이태 앞서 그 글을 쓸 적에 ‘사내이면서 사내를 더듬고 입맞춤을 하려고 한 그분 이름’을 굳이 안 밝혔습니다. 그분이 요즈막에 페이스북에 글을 쓰신 그대로, ‘가해자가 옛날얘기 때문에 오늘날에 피해를 안 받도록’ 하려는 뜻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그분 이름을 밝혀야겠구나 싶습니다.



최영미 시인이 갑자기 떴다. 미투라고 했다. JTBC 손석희ㅡ최영미 인터뷰를 보면서 내내 심기가 불편했다. 문단에 만연한 성추행이라니, 최영미는 참으로 도발적인 발언을 아무렇지 않게 자신의 잣대로 마치 성처녀처럼 쏟아냈고, 천하의 손석희는 한국문단이 "아 이럴수가 있나" 하며, 통탄하고 있었다. 메이저 출판사와 무소불위의 평론가들의 묵계를 강조하면서 그녀는 피해자 코스프레를 남발했다. 최영미의 그런 발언에 대해 절실성이 느껴지지 않았지만, 그래도 왠지 내가 그녀의 가해자가 된듯 나도 모르게 안절부절하고 있었다. 최영미 인터뷰는 한국문단이 마치 성추행집단으로 인식되도록 발언했기에 난 까무라치듯 불편했다. 왜 그녀가 이 시점에서 자기 체험을 일반화해서 문단 전체에 만연한 이야기로 침소봉대해 쏟아내는지 조금 의아했다. (2018.2.7. 이승철 시인 페이스북)



  맞은 사람이 맞은 그자리에서 왜 때리느냐고 따질 적에, 때린 사람은 그자리에서 곧장 고개를 숙이면서 뉘우칠까요? 또는 맞은 사람이 왜 때리느냐고 따질 수 있을 만한 자리였을까요?


  잘 생각해 봐요. 때리는 사람은 권력이 있습니다. 맞는 사람은 권력이 없습니다. 성추행을 저지르는 사람은 권력이 있습니다. 성추행을 받아야 하는 사람은 권력이 없습니다.


  더 생각해 봐요. 예전에는 맞은 사람이 목소리를 낼 자리가 없었어요. 예전에는 맞은 사람이 목소리를 내도 그저 파묻혀 버렸어요. 목소리를 냈다가 더 얻어맞기까지 했어요. 때린 사람은 때리고 나서도, 또는 성추행을 저지르는 사람은 성추행을 저지르고 나서도, 하늘을 우러러 한 조각 부끄러움이라도 품으면서 ‘맞아서 아픈 이’를 달래거나 다독여 보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한 마디 덧붙이자면, 최영미 시인이 쓴 글을 놓고서 “심기가 불편했다”고, “최영미 인터뷰는 한국문단이 마치 성추행집단으로 인식되도록 발언했기에 난 까무라치듯 불편했다. 왜 그녀가 이 시점에서 자기 체험을 일반화해서 문단 전체에 만연한 이야기로 침소봉대해 쏟아내는지 조금 의아했다.”고 말씀하신 이승철 시인이 이녁보다 열세 살 어린 저를(제 나이 서른 살 무렵) 껴안고 쓰다듬고 입맞추고 엉덩이와 허벅지를 주무르고 했던 일을 잊으셨는지 묻고 싶어요. 아니, 그런 짓을 저질렀던 지난날을 떠올려 보실 수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최영미 발언이 용기 있다고 한다. 어허 그렇다면 한국문학의 상징, 우리 En시인은 어찌할꼬나. 물론 En 시인의 기행에 대해서 숱한 얘기를 들은적 있지만 먼먼 소싯적 얘기를 현재 진행형하여 매도하는 건 조금 납득할 수 없다. 남자의 성적 욕망이란게 얼마나 무서운가. 그리고 그 욕망의 피해자가 받는 고통은 또 얼마나 지속적이고 치유 불가능한가. 그걸 최영미 발언을 통해서 확인해본다. (2018.2.7. 이승철 시인 페이스북)



  먼먼 옛날얘기를 오늘날 섣불리 휘두르기는 어렵겠지요. 그런데 일제강점기를 우리가 왜 되새기는가를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왜 친일부역이나 독재부역을 따지는가를 헤아려 보면 좋겠습니다. 먼먼 옛날얘기로 잘못을 묻는다고 하소연하기 앞서, 먼먼 옛날얘기를 얼마나 뉘우치면서 고개를 숙였는가를 먼저 털어놓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승철 시인 스스로도 아는 듯한데 “남자의 성적 욕망이란게 얼마나 무서운가”를 참말 아신다면, 함부로 말하지 말고 함부로 움직이지 말아야겠지요? 이승철 시인이 2004년 무렵 저한테 들려준 말씀 몇 가지를 옮겨 보겠습니다. 제 머리에서 아직도 지우지 못한 이승철 시인 말씀입니다.



* 스스로 문단 어른이라 밝힌 이승철 시인이 나한테 들려준 말 *

ㄱ. 여자가 없으면 젊은 사내가 술을 따라야지, 너 뭐하니?

ㄴ. 술김에 쓰다듬고 뽀뽀하자는데 뭐 어때? 너도 좋잖아?

ㄷ. 여자가 없으니 너를 쓰다듬고 뽀뽀하자는데 왜 그래?

ㄹ. 니가 뭔데 ××야, 나이도 어린 게 입 닥쳐! 이 ×××야 얼른 자리에 앉아! 술이나 따라!

ㅁ. 왜? 뭐가 잘못됐어? 술은 이렇게 마셔야지!

ㅂ. 이 ×××아, 너 앞으로 문단에 나오기만 해 봐, 아예 문단에 못 들어오게 할 테니까. 어린 놈이 어디 건방지게 굴어!

ㅅ. 어디 가? 다시 여기 앉아서 술 대접 해! 어린 ××가 어른한테 술 대접도 안 하고 어딜 도망가려고 해!



  58년 개띠인 이승철 시인은 열 몇 해 앞서 어떤 젊은 사내한테 퍼부은 말을 까맣게 잊으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무렵 스스로 ‘문단 어른’이라고 일컬으면서 제 허리 엉덩이 허벅지를 실컷 쓰다듬고 주무르던 그 손길을 몽땅 잊으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지 말라고, 아무리 술김이라도 그러시면 안 된다고 손사래치니, 오히려 갖은 욕에다가 삿대질을 저한테 퍼부으셨고, 마지막에는 “문단에 못 들어오게 할 테니까” 하고 덧붙인 말씀을 하얗게 잊으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때 성추행이랄까 성폭력이랄까, 끔찍한 일을 겪어야 한 저로서는 열 몇 해가 지나도록 마치 그림처럼 그날 그 일이 떠오릅니다. 추행하고 폭력을 일삼는 분으로서는 아무것이 아닌 일일 수 있지만, 추행하고 폭력을 받아야 한 사람으로서는 ‘아무것이 아닌’ 일이 아니며, 아무리 긴 나날이 지나도 씻기가 어렵습니다.


  아실는지요? 느껴 보셨는지요? 생각해 본 적이 있는지요?



1994년이던가? 소설가 이문열이 <시인>이란 소설로 En를 매도하다가 자신의 소설을 폐기처분한 바 있는데, 이제 최영미가 다시 등장했다. 난 미투가 두렵진 않다. 나도 한때는 여자사람을 좋아했는데 누가 나를 이십년, 삽십년 전 일로 미투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잠시 옛날을 되돌아 본다. 타인의 불행이 더이상 나의 행복은 아니다. 허나 미투 투사들에 의해 다수의 선량한 문인들이 한꺼번에 도매금으로 매도되는 현실이 되지 않기를 바랄뿐이다. (2018.2.7. 이승철 시인 페이스북)



  ‘착한 문인’이 한꺼번에 손가락질을 받는 일이란 슬픕니다. 얼결에 착한 문인까지 싸잡혀 손가락질을 받을 수 있으리라 봅니다. 그런데 있잖아요, 성추행이나 성폭력은 거의 모두 사내가 가시내한테 합니다. 같은 사내로서 부끄러운 줄 알면서, 같은 사내로서 앞으로 이런 일이 더는 불거지지 않도록 슬기를 모으고 마음을 고쳐먹을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그리고 우리는(피해자는) “미투 투사”이겠지요. 여태 짓밟히고 숨죽이며 살았으니, “이제는 말해야겠다”고 머리띠를 질끈 동여매고 일어서는 싸울아비입니다. 부디 고개 숙일 줄 알기를 바라요. 부디 상냥한 입으로, 글로, 손으로, 말로, 이야기로, 거듭나시기를 바라요. 이녁이 참말로 “문단 어른”이라면 이녁 두 손으로 앞으로 어떤 일을 하는 길을 걸어야 할는지를 곰곰이 차분히 조용히 생각해 보시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겨울이 저물고 새로 찾아오는 봄날, 페이스북을 끄고 두 손에 호미를 쥐신 다음, 밭자락을 일구는 하루를 땀흘려 지으시기를 빕니다. 2018.2.11.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