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기 2018.2.5.


《거룩한 허기》

전동균 글, 랜덤하우스, 2008.2.25.



  겨울이니 물이 얼겠지. 우리 집에 깃들거나 찾아오는 마을고양이한테 주는 물그릇도 얼고, 마당에 넌 빨래도 언다. 사흘거리로 추위랑 포근함이 오갔다는 이야기는 그야말로 옛일이 되고, 추위도 포근함도 그저 길게 이어지는 나날이다. 이처럼 달라진 날씨는 우리한테 어떤 뜻을 속삭이는 셈인가 하고 헤아려 본다. 아침을 열고 낮을 보내며 저녁을 맞이하는 하루란 우리한테 무엇이 될 만한가 하고 돌아본다. 꿈을 짓는 하루인가, 쳇바퀴로 되풀이하는 하루인가, 새롭게 배우는 하루인가, 배울 틈이 없이 밀리거나 휩쓸리는 하루인가. 그림놀이를 하는 아이 곁에서 《거룩한 허기》라는 시집을 읽는다. 글쓴이가 아버지를 그리며 쓰는 시라든지, 가까운 이웃을 생각하며 쓰는 시에는 군더더기가 없다. 곁사람 이야기가 아닌 머릿속으로 엮어서 내놓는 시에는 군더더기가 있다. 무엇보다 시집 끝자락에 붙는 풀이글은 온통 군더더기이지 싶다. 왜 거의 모든 시집은 끝자락에 군더더기라 할밖에 없이 늘어지고 딱딱하며 따분한 풀이글을 문학평론가한테서 받을까? 우리가 이렇게 읽든 저렇게 읽든 대수롭지 않으니, 터무니없이 군더더기인 풀이글은 치워버리면 좋겠다. 군더더기 풀이글을 실을 자리를 비우거나 시를 열 꼭지 더 싣는다면 좋겠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