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대기 大氣


 신선한 대기를 들이마셨다 → 싱그러운 바람을 들이마셨다

 아침의 싸늘한 대기 → 싸늘한 아침바람

 상쾌한 대기 가운데서 여행을 계속했다 → 시원한 바람을 쐬며 여행을 이었다

 대기오염이 심각하다 → 하늘이 매우 더러워지다 / 하늘이 몹시 매캐하다


  ‘대기(大氣)’는 “1. ‘공기(空氣)’를 달리 이르는 말 2. [지리] 천체(天體)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라 하고, ‘공기(空氣)’는 “1.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하층부를 구성하는 무색, 무취의 투명한 기체”라 하는군요. ‘대기·공기’는 바로 ‘바람’을 가리킵니다. ‘대기오염’이라 할 적에는 ‘하늘’을 가리키고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대기’를 열네 가지 싣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2018.1.23.달.ㅅㄴㄹ



대기(大己) : [불교] 승려들이 자기보다 계(戒)를 받은 나이가 오 년 이상인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대기(大忌) : 몹시 꺼리거나 싫어함

대기(大?) : [역사] 1. 중국에서 존비귀천을 나타내던 구기(九旗) 가운데 교룡(交龍)을 그린 기 2. = 대오방기

대기(大起) : = 한사리

대기(大朞) : = 대상(大祥)

대기(大期) : = 해산달

대기(大旗) : [역사] = 대오방기

대기(大器) : 1. 큰 그릇 2. 큰일을 할 만한 뛰어난 인재 3. = 신기(神器)

대기(大機) : 1. 천하의 정권 2. 중대한 계기 3. [불교] 대승의 가르침을 들을 만한 근기(根機) 4. [불교] 대법(大法)의 묘기(妙機)라는 뜻으로, 종문의 법체를 이르는 말

대기(大饑) : 크게 기근이 듦

대기(待期) : = 대기(待機)

대기(隊旗) : [북한어] 어떤 대(隊)를 나타내는 기

대기(對棋/對碁) : [운동] = 맞바둑

대기(對機) : [불교] 1. 설법자의 상대편 2. 선가(禪家)에서, 스승이 학인(學人)의 물음에 대답함



뜨거운 여름날에도 대기를 참을 수 있을 정도로 서늘하게 만들어 준다

→ 뜨거운 여름날에도 바람을 참을 수 있을 만큼 서늘하게 해 준다

→ 뜨거운 여름날에도 참을 수 있을 만큼 서늘하게 식혀 준다

《나무 수업》(페터 볼레벤/장혜경 옮김, 이마, 2016) 290쪽


숲속의 대기와 숲 밖의 대기가 서로 부딪쳐서 내는 휘파람 소리 같은

→ 숲속 바람과 숲 밖 바람이 서로 부딪쳐서 내는 휘파람 소리 같은

《섬》(박미경, 봄날의책, 2016) 6쪽


맑은 대기 속에서 몸을 움직이며 태양의 온기 덕에 살아가는 기쁨을

→ 맑은 바람에 몸을 움직이며 햇볕을 쬐며 살아가는 기쁨을

→ 맑은 바람을 마시고 몸을 움직이며 따순 햇볕을 쬐며 살아가는 기쁨을

《가와구치 요시카즈의 자연농 교실》(아라이 요시미·가가미야마 에츠코/최성현 옮김, 정신세계사, 2017) 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