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한정 限定


 한정 수량 → 몇몇 수량 / 얼마 안 남은 수량

 한정 인원 → 몇몇 사람 / 몇 사람 / 얼마 안 되는 사람

 한정 판매 → 한동안 팔기 / 조금 팔기 / 몇 가지만 팔기

 전공자에 한정된다 → 전공자만 된다 / 전공자로 좁힌다

 돈 문제에만 한정되는 게 아니다 → 돈 문제에만 그치지 않는다

 이곳에서 나는 자원은 석탄으로 한정된다 → 이곳에서 나는 자원은 석탄뿐이다

 주거는 직장과 자택으로 한정되어 있다 → 사는 곳은 일터와 집일 뿐이다

 대상을 서울 시내로 한정하였다 → 대상을 서울 시내로 좁혔다

 자격을 한정하였다 → 자격을 좁혔다 / 자격을 따로 두었다


  ‘한정(限定)’은 “1. 수량이나 범위 따위를 제한하여 정함 2. [논리] 어떤 개념이나 범위를 명확히 하거나 범위를 확실히 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제한하다(制限-)’는 “일정한 한도를 정하거나 그 한도를 넘지 못하게 막다 ≒ 한제하다”를 가리킨다 하며, ‘한도(限度)’는 “일정한 정도. 또는 한정된 정도”를 가리킨다고 해요. 말풀이가 빙글빙글 돕니다. 여러모로 헤아리자면 “한정·제한·한도”는 “넘지 못하도록 하는”이나 ‘좁히다’나 ‘몇몇’을 나타낼 적에 쓰는구나 싶어요. 그래서 이 같은 말로 알맞게 손질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한정’을 다섯 가지 싣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2018.1.14.해.ㅅㄴㄹ



한정(寒庭) : 겨울빛이 가득 차서 쓸쓸해 보이는 뜰

한정(閑丁) : 1. 국역(國役)에 나가지 않는 장정 2. [북한어] 특별히 하는 일이 없는 한가한 장정

한정(閑庭) : 조용하거나 한적한 정원

한정(閑情) : 한가로운 심정

한정(閑靜) : 오래도록 한가하고 평안함



편의점의 계절한정 도시락이라든가

→ 편의점 제철 도시락이라든가

《다카스기 家의 도시락 3》(야나하라 노조미/채다인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1) 24쪽


저기 있는 한정된 도구와 재료만으로 늘 지금처럼 어떻게든 요리의 형태로 만들 수 있어?

→ 저기 있는 몇몇 연장과 재료만으로 늘 오늘처럼 어떻게든 밥을 지을 수 있어?

→ 저기 있는 얼마 안 되는 연장과 재료만으로 늘 이렇게 어떻게든 밥을 할 수 있어?

《은빛 숟가락 3》(오자와 마리/노미영 옮김, 학산문화사, 2013) 95쪽


시골 마을보다도 더 한정된 작은 지역 안에서 일생을 보낸다

→ 시골 마을보다도 더 좁은 작은 곳에서 죽을 때까지 보낸다

→ 시골 마을보다도 더 막힌 작은 곳에서 내내 산다

《여기, 뉴욕》(엘윈 브룩스 화이트/권상미 옮김, 숲속여우비, 2014) 39쪽


하루 여섯 그릇 한정인 국수를 먹게 됐으니

→ 하루 여섯 그릇만 파는 국수를 먹으니

→ 하루 여섯 그릇만 파는 국수를 먹을 수 있으니

《심야 식당 12》(아베 야로/장지연 옮김, 미우, 2014) 54쪽


그렇다면 그 한정된 에너지를 무거운 장비들을 나르는 데 전부 쓸 것인가

→ 그렇다면 그 힘을 무거운 짐을 나르는 데 모두 쓰려는가

→ 그렇다면 그 기운을 무거운 짐을 나르는 데 모두 쓰려는가

《빛, 제스처, 그리고 색》(제이 마이젤/박윤혜 옮김, 시그마북스, 2015) 56쪽


독자 대상을 아주 좁게 한정했으니까요

→ 읽을 분을 아주 좁게 보았으니까요

→ 읽어 주실 분을 아주 좁혔으니까요

《일본 1인 출판사가 일하는 방식》(니시야마 마사코/김연한 옮김, 유유, 2017) 4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