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호소 呼訴
절실한 호소에 → 애타는 하소연에
통증을 호소하면서 → 아프다고 외치면서
살려 달라고 호소했지만 → 살려 달라고 외쳤지만
호소력 짙은 목소리 → 확 사로잡는 목소리
억울하다고 호소하다 → 하소하다 / 하소연하다
‘호소(呼訴)’는 “억울하거나 딱한 사정을 남에게 하소연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하소연’은 “억울한 일이나 잘못된 일, 딱한 사정 따위를 말함 ≒ 하소”를 뜻해요. 사전은 겹말풀이인 얼거리입니다. ‘호소’은 ‘하소연·하소’로 고쳐쓰면 됩니다. 사전 보기글은 “억울하다고 호소하다”는 겹말이지요. 말뜻을 제대로 짚지 않으면 이처럼 겹말을 씁니다. 흐름을 살펴서 ‘외치다’나 ‘말하다’나 ‘밝히다’로 손볼 수 있고, ‘호소력’을 쓴 자리는 ‘사로잡다’나 ‘끌어당기다’로 손볼 만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호소’가 네 가지 더 나옵니다만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2018.1.5.쇠.ㅅㄴㄹ
호소(虎嘯) : 1. 범의 휘파람이라는 뜻으로, 범의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이르는 말 2. 영웅들의 활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소(湖沼) : = 소호(沼湖)
호소(號召) : 1. 불러내거나 불러옴 2. 어떤 일에 참여하도록 마음이나 감정 따위를 불러일으킴
호소(縞素) : 흰 빛깔의 비단
그의 만화가 생명의 소중함을 호소하는 내용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리라
→ 그이 만화가 생명이 아름답다고 외치는 줄거리로 곧게 흐르는 일은 마땅하리라
→ 그분 만화가 목숨이 아름답다고 밝히는 줄거리로 고이 흐르는 일은 마땅하리라
《아톰의 철학》(사이토 지로/손상익 옮김, 개마고원, 1996) 61쪽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 괴롭다고 하는 일이 잦은데
→ 괴롭다고 말하는 일이 잦은데
→ 괴롭다고 하소하는 이가 많은데
→ 괴롭다고 밝히는 이가 많은데
《에콜로지스트 가이드, 푸드》(앤드류 웨이슬리/최윤희 옮김, 가지, 2015) 52쪽
도움을 호소할 필요조차 없는 경우도 많다
→ 도움을 바랄 일조차 없는 때도 잦다
→ 도와 달라 말할 일조차 없는 때도 잦다
《나무 수업》(페터 볼레벤/장혜경 옮김, 이마, 2016) 22쪽
답답함을 호소하는 질문을
→ 답답하다며 하소연하는 말을
→ 답답하다며 하소하는 말을
→ 답답하다며 묻는 말을
→ 답답하다고 하는 말을
《동사의 삶》(최준영, 푸른영토, 2017) 7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