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군내버스에서 읽은 책 2017.12.12.
보성중학교에 가려고 새벽길을 나선다. 서울 같은 고장은 어떠할는지 모르겠는데, 보성이나 고흥 같은 시골에서는 작은 중학교 푸름이한테 ‘시골에 살며 여러 갈래에서 일하는 어른’이 직업적성 길잡이 노릇을 하기도 한다. 나는 시골에서 살며 한국말사전을 새로 짓는, 참으로 한국에서 드문 일을 하는 터라, 시골 푸름이한테 좀처럼 느끼거나 생각하기 어려운 일을 왜 어떻게 하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다. 생각해 보면 이런 이야기는 시골 푸름이뿐 아니라 서울 푸름이도 듣기 어렵겠지. 아마 나중에는 서울 같은 큰도시에서도 나를 불러서 ‘한국말사전을 짓는 일이란 무엇이고, 우리도 이런 일을 할 수 있나요?’ 하고 물을는지 모르겠다. 오늘은 보성에서 푸름이를 만난 뒤에 광주를 거쳐서 서울로 가려 한다. 한번 바깥일을 나오려면 길에서 꽤 오래 지내야 하기에 한 가지 일만 보고 들어가자면 하루가 다 가고 만다. 가방에 시집이며 책을 잔뜩 챙겼다. 이 가운데 황선하 님이 쓴 《이슬처럼》을 맨 먼저 읽는다. 아직 해가 뜨지 않아 시린 들녘에서 군내버스를 기다리며 읽는다. 경상도 작은 마을에서 나고 자라서 경상도 작은 마을에서 푸름이를 가르치는 일을 하면서 시를 썼다는 황선하 님은 꽤 느즈막히 첫 시집을 냈다고 한다. 살짝 투박한 멋이 흐르면서도, 가만히 이 땅을 보듬고픈 따스한 숨결이 흐르는 시로구나 싶다. 하늘을 좋아하는 마음을 시에 담고, 하늘바라기를 하는 나무를 좋아하는 마음을 시에 담네. 하늘바라기를 하는 나무를 좋아하는 아이를 즐겁게 웃으며 지켜보는 눈길을 또 시에 담고. 어쩌면 시란 하늘바라기를 하는 살림에서 태어난다고 할 만하다. 참으로 시란 사랑바라기를 하려는 포근한 흙내음에서 비롯한다고 할 만하다.
(숲노래/최종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