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대지 大地
대지에 뿌리 박은 나무 → 이 땅에 뿌리 박은 나무
대지가 봄비에 촉촉이 젖는다 → 온누리가 봄비에 촉촉이 젖는다
풍요로운 대지의 냄새를 맡고 있으면 → 넉넉한 이 땅에서 나는 냄새를 맡으면
선산이 대지인 것을 자랑하고 → 조상 무덤이 좋은 자리라고 자랑하고
‘대지(大地)’는 “1. 대자연의 넓고 큰 땅 2. 좋은 묏자리”를 가리킨다고 하는데, 둘째 뜻으로 쓰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으레 첫째 뜻으로 쓰는데 “너른 땅”이나 “어머니 땅”으로 손볼 만하고, ‘땅’이나 ‘흙’이라고만 손볼 수 있으며, ‘온누리’나 “이 땅”으로 손보면 되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대지’가 열세 가지 나옵니다만, 집터인 땅은 ‘집터’나 ‘집땅’이라 하면 되고, 빌려주는 땅은 “빌린 땅”이라 하면 되며, 다른 한자말은 사전에서 털어낼 만합니다. 2017.10.17.불.ㅅㄴㄹ
대지(大地) : [문학] 1931년에 미국의 작가 벅(Buck)이 지은 장편 소설
대지(大旨) : = 대의(大意)
대지(大志) : 마음에 품은 큰 뜻 ≒ 홍지(鴻志)
대지(大指) : = 엄지손가락
대지(大智) : 매우 지혜로움
대지(代指) : [한의학] = 생인손
대지(垈地) : 집터로서의 땅 ≒ 대(垈)
대지(帶紙) : 지폐, 서류 따위의 가운데를 감아 매는 좁고 긴 종이 오리
대지(貸地) : 세를 받고 땅을 빌려줌. 또는 그 땅
대지(對地) : 공중에서 지상의 목표물을 상대함
대지(對持) : 서로 대립되는 양쪽이 버티고 꼼짝하지 않음
대지(臺地) : [지리] 주위보다 고도가 높고 넓은 면적의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지형
대지(臺紙) : 그림이나 사진 따위의 뒤에 붙여 그 바탕이 되게 하는 두꺼운 종이
매일같이 새롭게 자연을 담아내는 하늘에서 구름은 새벽바람을 따라 골짜기를 건너가며 아침을 알리는 대지의 언어로 피어난다
→ 날마다 새롭게 숲을 담아내는 하늘에서 구름은 새벽바람을 따라 골짜기를 건너가며 아침을 알리는 온누리 말로 피어난다
→ 늘 새롭게 숲을 담아내는 하늘에서 구름은 새벽바람을 따라 골짜기를 건너가며 아침을 알리는 너른 땅 말로 피어난다
《하늘에 수놓은 구름 이야기》(임소혁, 대원사, 2006) 6쪽
미국을 대표하는 음식이 대지나 바다가 아니라 공장에서 나왔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 미국에서 손꼽히는 먹을거리가 땅이나 바다가 아니라 공장에서 나온 대목은 눈여겨볼 만합니다
→ 미국을 말하는 먹을거리가 흙이나 바다가 아니라 공장에서 나온 대목은 눈여겨볼 만합니다
《10대와 통하는 요리 인류사》(권은중, 철수와영희, 2014) 202쪽
봄비에 대지가 촉촉하게 젖은 날
→ 봄비에 흙이 촉촉하게 젖은 날
→ 봄비에 온누리가 촉촉하게 젖은 날
→ 봄비에 온 땅이 촉촉하게 젖은 날
《초록비 내리는 여행》(오치근·박나리·오은별·오은솔, 소년한길, 2015) 76쪽
남편이 말한 자연이 지상의 식물과 동물과 대지라면
→ 남편이 말한 자연이 지구에 있는 식물과 동물과 땅이라면
→ 남편이 말한 자연이 지구에 있는 식물과 동물과 흙이라면
《토성 맨션 5》(이와오카 히사에/송치민 옮김, 세미콜론, 2015) 19쪽
이렇듯 이 대지가 새롭게 거듭나려 하는 가장 중요한 순간에 살고 있으니
→ 이렇듯 이 땅이 새롭게 거듭나려 하는 가장 대단한 때에 사니
→ 이렇듯 이 너른 땅이 새롭게 거듭나려 하는 가장 대단한 때에 사니
→ 이렇듯 이 땅덩이가 새롭게 거듭나려 하는 가장 커다란 때에 살아가니
《지구빙해사기》(타니구치 지로/장지연 옮김, 미우, 2016) 86쪽
대지도 황폐해지고
→ 땅도 메마르고
→ 흙도 메마르고
《가와구치 요시카즈의 자연농 교실》(아라이 요시미·가가미야마 에츠코/최성현 옮김, 정신세계사, 2017) 1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