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1166 : 용도로 사용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 다른 곳에 쓰지 않고

→ 달리 쓰지 않고


용도(用途) : 쓰이는 길. 또는 쓰이는 곳

사용(使用) : 1. 일정한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 씀 2. 사람을 다루어 이용함. ‘부림’, ‘씀’으로 순화



  “쓰이는 곳”을 가리키는 한자말 ‘용도’이고, “쓰다”를 가리키는 한자말 ‘사용’입니다.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라는 보기글은 “다른 쓰임새로 쓰지 않고”라는 뜻이기에 겹말이에요. 한자말을 쓰더라도 둘 가운데 하나를 골라야 옳습니다. “다른 용도로 삼지 않고”나 “다른 데에 사용하지 않고”로 고쳐써야지요. 더 마음을 쓸 수 있다면 “다른 곳에 쓰지 않고”나 “달리 쓰지 않고”나 “다른 쓰임새로 삼지 않고”나 “딱히 쓰지 않고”로 손볼 만해요. 2017.4.4.불.ㅅㄴㄹ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놔두면 부패하지 않고

→ 다른 곳에 쓰지 않고 그대로 놔두면 썩지 않고

→ 다른 데에 안 쓰고 그대로 놔두면 썩지 않고

《정환욱과 자연주의 출산 엄마 아빠들-모든 출산은 기적입니다》(샨티,2017) 15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