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 귀향의 날
소녀는 매일같이 물을 주며 귀향의 날을 기다린다
→ 소녀는 날마다 물을 주며 고향에 갈 날을 기다린다
→ 소녀는 늘 물을 주며 고향에 돌아갈 날을 기다린다
《박노해-다른 길》(느린걸음,2014) 107쪽
‘귀향(歸鄕)’이라는 한자말을 살리고 싶다면 “귀향하는 날”로 적고, 이 한자말을 쉽게 풀어내려면 “고향에 갈 날”이나 “집에 돌아갈 날”로 손볼 만합니다. ‘매일(每日)같이’는 ‘날마다’나 ‘늘’로 손질합니다.
그들의 일하는 방식이 아주 기분 좋았습니다
→ 그들이 일하는 방식이 아주 신났습니다
→ 그들이 일하는 얼거리가 아주 즐거웠습니다
《스즈키 뎃페이·야마시로 도오루/문희언 옮김-여행하는 채소 가게》(하루,2016) 21쪽
“그들의 일하는 방식(方式)”이 아닌 “그들이 일하는 방식”으로 적어야 올발라요. 더 헤아려 보면 “그들이 일하는 모습”이나 “그들이 일하는 얼거리”로 손볼 수 있어요. “기분(氣分) 좋았습니다”는 ‘신났습니다’나 ‘즐거웠습니다’로 손질해 줍니다.
첫날은 쪽의 밭으로 안내를 받았습니다
→ 첫날은 쪽밭으로 안내를 받았습니다
→ 첫날은 쪽밭을 보여주었습니다
《스즈키 뎃페이·야마시로 도오루/문희언 옮김-여행하는 채소 가게》(하루,2016) 108쪽
“쪽의 밭”은 아주 일본 말투입니다. 쪽을 심어 기르는 밭은 ‘쪽밭’이에요. 이와 마찬가지로 ‘배추밭·무밭·감자밭’이지요. ‘배추의 밭·무의 밭·감자의 밭’은 한국말이 될 수 없어요. “안내(案內)를 받았습니다”는 그대로 두어도 되고, ‘보여주었습니다’로 손볼 수 있어요.
보이지 않는 뭔가의 공격을 받고
→ 보이지 않는 뭔가한테서 공격을 받고
→ 보이지 않는 뭔가가 공격을 하고
《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경계의 린네 21》(학산문화사,2016) 7쪽
“뭔가의 공격을 받고”는 두 가지로 손볼 만해요. 첫째, “‘뭔가가’ 공격을 하고” 꼴로 손봅니다. 다음으로 “‘뭔가한테서’ 공격을 받고” 꼴로 손볼 수 있어요. 2016.11.13.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