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친숙 親熟
친숙한 주제를 다루었다 → 익숙한 주제를 다루었다
무척 친숙한 사이 → 무척 익숙한 사이 / 무척 가까운 사이
친숙하게 대화를 나누었다 → 허물없이 얘기를 나누었다
‘친숙(親熟)’은 “친하여 익숙하고 허물이 없음”을 가리킨다고 해요. 그런데 ‘허물없다’는 “서로 매우 친하여, 체면을 돌보거나 조심할 필요가 없다”를 가리키니, ‘친숙’을 풀이한 말마디는 겹말이에요. 아무튼 한자말 ‘친숙하다’는 ‘익숙하다’나 ‘허물없다’나 ‘가깝다’로 손볼 만합니다. 때로는 ‘살갑다’나 ‘도탑다’나 ‘쉽다’나 ‘늘’이나 ‘흔히’
로 손볼 수 있어요. 2016.10.21.쇠.ㅅㄴㄹ
친숙하지 않은 일일 것입니다
→ 낯익지 않은 일일 것입니다
→ 익숙하지 않은 일이 됩니다
《게리 스나이더/이상화 옮김-야생의 실천》(문학동네,2015) 66쪽
여러분이 친숙하게 만날 수 있는
→ 여러분이 익숙하게 만날 수 있는
→ 여러분이 가깝게 만날 수 있는
→ 여러분이 쉽게 만날 수 있는
→ 여러분이 늘 만날 수 있는
→ 여러분이 흔히 만날 수 있는
《구민정·국찬석·권재원·김병호·신동하-사회가치 사전》(고래이야기,2016) 5쪽
밥심은 우리에게 너무나 일상적이고도 친숙한 말이다
→ 밥심은 우리한테 아주 흔하고도 가까운 말이다
→ 밥심은 우리한테 매우 흔하고도 익숙한 말이다
《한성우-우리 음식의 언어》(어크로스,2016) 2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