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통찰 洞察


 밝은 이성에 의한 깊은 통찰 → 밝은 이성에 따라 깊이 꿰뚫는 눈

 그 사실을 통찰하게 되었다 → 그 사실을 꿰뚫어보게 되었다

 흐름을 재빨리 통찰하며 → 흐름을 재빨리 꿰뚫으며


  ‘통찰(洞察)’은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예리(銳利)하다’는 “관찰이나 판단이 정확하고 날카롭다”를 가리킨다 하고, ‘관찰력(觀察力)’은 “사물이나 현상을 주의하여 자세히 살펴보는 능력”을 가리킨다고 해요. 그러니 ‘날카롭게 살펴보는 눈’이라든지 ‘꿰뚫어서 보는 눈’이 바로 ‘통찰’이라고 할 만해요. 아직 한 낱말로 한국말사전에 오르지는 못하지만 ‘꿰뚫어보다’로 써 볼 만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은 ‘통찰(通察)’이라는 한자말을 실으며 “= 통람(通覽)”으로 풀이하는데, 두 한자말 모두 쓰임새가 없지 싶어요. 2016.10.9.해.ㅅㄴㄹ



티베트에서 나온 최근의 정보는 중국이 티베트인에게 부여한 간접세의 징수에 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 티베트에서 요즈음 나온 정보는 중국이 티베트사람한테 매긴 간접세와 얽혀 깊이 꿰뚫어보게 한다

→ 티베트에서 요즈음 나온 정보는 중국이 티베트사람한테 물린 간접세와 얽혀 깊이 생각해 보도록 한다

《폴 인그램/홍성녕 옮김-티베트, 말하지 못한 진실》(알마,2008) 122쪽


부분이 아닌 전체를 꿰뚫어보는 통찰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작은 곳이 아닌 모두를 꿰뚫어보는 눈을 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조각이 아닌 모두를 꿰뚫어보는 눈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강호진-10대와 통하는 사찰벽화 이야기》(철수와영희,2014) 22쪽


교육적인 통찰이나 이론, 사상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 교육을 꿰뚫는 눈이나 이론, 사상이 있어야 하지도 않다

《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원마루 옮김-아이들의 이름은 오늘입니다》(포이에마,2014) 193쪽


문학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통찰할 수 있는 좋은 시다

→ 문학이 맡은 몫이 무엇인지를 헤아릴 수 있는 좋은 시다

→ 문학이 맡은 구실이 무엇인지를 꿰뚫어볼 수 있는 좋은 시다

《정인경-과학을 읽다》(여문책,2016) 1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