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471 : 안목으로 보다



긴 안목으로 본다면

→ 길게 본다면

→ 길게 보는 눈이라면

→ 길게 볼 수 있다면

→ 길게 내다본다면

→ 길게 바라본다면


안목(眼目) : 사물을 보고 분별하는 견식

견식(見識) : 견문과 학식

견문(見聞) 1. 보고 들음 2.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한자말 ‘안목’은 “보고 분별하는 견식”을 가리킨다는데, ‘견식 = 견문 + 학식’이라 하고, ‘견문’은 “보고 들음”이나 “보거나 들어서 얻은 지식”을 가리킨다고 해요. 그러니 ‘안목 = 보고 분별하는 견식 = 보고 분별하는 + (보거나 들어서 얻은 지식) + 학식’인 셈이에요. 겹말풀이입니다. 더욱이 ‘眼目’이라는 한자말은 ‘눈 + 눈’이거나 ‘보다 + 보다’인 얼거리예요. 그러니 “긴 안목으로 본다”처럼 쓸 적에는 겹말이 돼요. “길게 본다면”이나 “길게 볼 수 있다면”으로 손질합니다.  다만 ‘보다’를 “눈으로 알다”가 아닌 “생각하다·살피다”라는 뜻으로 썼다면 “안목으로 보다”는 겹말이 아니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헷갈리거나 겹말이 되기 쉬우니 ‘안목’이라는 한자말을 쓰려 한다면 “긴 안목으로 생각한다면”이나 “긴 안목으로 살핀다면”으로 손질합니다. 2016.9.14.물.ㅅㄴㄹ



전후 시대의 지성사를 좀더 긴 안목으로 본다면

→ 전후 시대 지성사를 좀더 길게 내다본다면

→ 전쟁이 끝난 뒤 지성사를 좀더 길게 본다면

→ 전쟁 뒤 지성 역사를 좀더 길게 보는 눈이라면

《대니얼 기어리/정연복 옮김-C. 라이트 밀스》(삼천리,2016) 2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