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의 역사 - 최초의 아내 이브부터 <인형의 집> 노라까지, 역사 속 아내들의 은밀한 내면 읽기
매릴린 옐롬 지음, 이호영 옮김 / 책과함께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따뜻한 삶읽기, 인문책 162



‘집일’ 하는 몸종인가 ‘곁님’ 같은 사랑인가

― 아내의 역사

 매릴린 옐롬 글

 이호영 옮김

 책과함께 펴냄, 2012.5.11. 28000원



  아무리 더운 여름이어도 밥을 짓고 빨래를 합니다. 아무리 추운 겨울이어도 밥을 하고 청소를 합니다. 아무리 힘든 하루여도 아이들을 돌보고 씻기고 먹이고 재웁니다. 아주 자그마한 말 한 마디여도 아이들이 고스란히 받아들여서 배우니, 어버이로서 아주 짤막한 말 한 마디라 하더라도 더 마음을 기울여서 쓰려고 합니다.


  더운 날씨이기에 밭일을 안 해도 되지 않습니다. 바쁜 하루이기에 아이들을 돌보지 않아도 되지 않아요. 밥을 먹으려면 밥을 차려야지요. 밥을 먹은 뒤에는 밥상을 치워야지요. 밥을 차리려면 먹을거리를 장만해야 하고, 먹을거리는 손수 밭에서 기르거나 저잣거리에서 사들여야 합니다. 밥상맡에 앉아서 수저만 드는 사람이라면 ‘제때에 밥이 오르기를 바랄’ 테지만, 밥상을 차리는 사람으로서는 밭짓기랑 저자마실을 비롯해서 철이나 날을 따라 다 다른 밥차림을 올리려고 온힘을 쏟기 마련입니다.



돈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다면, 잘생긴 외모나 훌륭한 인품은 여기에 날개를 달아 주는 것이었다. 여성에게는 처녀성이 요구되었고, 남성에게는 예의 바르고 믿음직하며 활력이 넘칠 것이 요구되었다. (58쪽)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남편과 아내의 역할은 안정적인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었다. (82쪽)



  요새는 옷 한 벌을 퍽 손쉽게 가게에서 돈을 치러서 살 수 있습니다. 신이나 모자도 손쉽게 살 수 있어요. 이불이나 담요도 돈으로 쉽게 장만할 만합니다. 그런데 옛날에는 이 모두를 집집마다 손수 바느질을 하거나 뜨개질을 해서 지어야 했어요. 옷도 이불도 손수 지었고, 버선도 갓도 손수 지었지요. 짚신이든 미투리이든 모두 손수 삼습니다. 더구나 바느질이나 뜨개질을 하려면 실하고 바늘도 손수 지어야 하지요. 물레를 잣고 베틀을 밟습니다. 풀줄기에서 실을 얻기까지 길고 고된 나날을 거쳐야 하고요.


  그런데 말이지요, 가만히 살피면, 옷짓기나 밥짓기하고 얽힌 일은 으레 가시내가 도맡았습니다.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여러 나라도, 유럽이나 미국도 모두 매한가지예요. 힘을 무척 많이 써야 하는 일일 텐데 뜻밖에도 이런 일을 사내가 좀처럼 안 하려고 했습니다.



도시 바깥에 사는 농부의 아내들은 식사를 준비하고 집을 청소하며, 소젖을 짜고 닭과 돼지에게 먹이를 주고 채마밭을 가꾸고 우물이나 개울에 가서 물을 길어 오고 집 근처의 연못이나 개울가에 나가 빨래를 하고, 물레로 실을 잣고 바느질을 하면서 하루하루를 보냈다. 게다가 강보에 싸인 갓난아기를 기르는 한편 좀 더 큰 아이들을 보살피고 아픈 이들과 노인들까지 돌보아야 했다. 또한 밭에 나가 괭이질, 제초, 추수, 그리고 추수 후의 이삭줍기를 도왔다. 이 모든 일을 하는 데 자식 이외에는 그 누구의 도움도 받을 수 없었다. (124쪽)



  매릴린 옐롬 님이 쓴 《아내의 역사》(책과함께,2012)라는 책을 읽으며 ‘아내’가 어떤 사람인가 하고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이 책 《아내의 역사》는 고대와 근대와 현대를 가로지르면서 유럽과 미국에서 ‘아내’라는 자리에 있던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했는가를 짚습니다. 서양도 동양(또는 한국)하고 엇비슷하게 ‘아내’는 집안에서 온갖 집일을 도맡으면서 쉴 겨를이 거의 없다시피 한 나날을 보냈다고 해요. 이러면서 아이들을 보살피는 몫에다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몫까지 온통 가시내가 도맡았다고 합니다. 더 헤아려 본다면, ‘아내’인 가시내는 아이도 낳지요. 아이를 낳는대서 집일을 쉬거나 걸러도 되지 않아요.


  ‘아내를 둔’ 사내는 어떤 바깥일을 하면서 살았을까요? 집일을 온통 가시내한테 맡기면서 수천 해를 살았다는 사내는 집 바깥에서 어떤 살림을 지었을까요? 왜 서양이나 동양(또는 한국)에서 사내는 집일을 등지고 집살림을 안 맡으며 아이키우기에 손을 놓았을까요?



여자 노예들은 농장에서 이 일 저 일 닥치는 대로 했다. 들판에서 일하는 여자 노예들은 쟁기질과 괭이질에다 목화 따기, 심지어 장작을 패는 일까지 했다. 집 안에서 일하는 여자 노예들은 요리, 바느질, 빨래, 다림질, 젖 주기, 아이들 보살피기, 나아가 안주인과 주인의 개인적인 요구까지 일일이 챙겨야 했다. 그들은 비누를 만들고 염색을 했으며 바구니를 짰고 심부름을 했다. 그러고 나면 정작 자기 남편과 아이들을 위해 쓸 시간이 없었다. (322쪽)



  문득 드는 생각인데, 동양이든 서양이든 ‘혼인 제도’에서 가시내는 ‘아내’라는 이름을 받으면서 거의 ‘몸종’처럼 살아야 한 셈이었구나 하고 느낍니다. 이름은 아내이지만 막상 도맡아야 하는 수많은 일은 거의 ‘종’을 부리는 모습이라고 할 만합니다.


  가시내(아내)는 사내바라지(남편바라지)를 해야 하는 정치·사회·문화·교육 얼거리인 셈이라고도 할 만하지 싶어요. 오늘날에는 이 틀이 많이 깨지거나 바뀌었다고 할 텐데, 그래도 제법 많은 여느 집이나 사회에서도 ‘가시내’ 자리는 ‘아내’여야 한다고 여긴다고 느껴요.


  바깥일을 하는 가시내라 하더라도 집으로 돌아오면 집일을 거의 도맡아야 하는 얼거리는 좀처럼 안 깨지는구나 싶어요. 이 대목을 더 따져 본다면, 오늘날 학교교육에서는 아이들(사내와 가시내 모두)한테 집일을 가르치지 않아요. 학교에서는 아이들한테 밥짓기나 옷짓기나 집짓기를 가르치지 않아요.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직업인이 되어 돈을 잘 버는 길만 가르쳐요. 아이들이 스스로 살림을 짓거나 꾸리도록 이끌거나 북돋우지 못하는 학교예요.



대공황 때는 일하는 아내가 “남자의 직업을 뺏는다”는 이유로 공공연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면, 이제는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일하는 아내가 칭송되었다. (483쪽)


직장 여성이 남자 아내를 가진다는 것은 여전히 매우 드문 일이다. 대부분의 아내들은 힘겹게 두 개의 장소에서 두 개의 ‘교대 근무’를 그때그때 적당히 해 나가면서 살아가고 있다. (574쪽)


기혼 여성들이 일을 하고 싶어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제일 큰 이유는 남편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579쪽)



  시골집에서 모든 집안일을 도맡으면서 바깥일까지 하는 아버지(사내)로서 《아내의 역사》라는 책을 찬찬히 읽습니다. 이러면서 우리 사회 모습을 가만히 헤아립니다. 집안일하고 바깥일을 함께 하자면 그야말로 등허리가 휘어요. 새벽부터 밤까지 살짝이나마 쉴 겨를을 내기란 몹시 어렵습니다. 여기에 아이들을 돌보거나 가르치는 몫도 맡으니 ‘내 한 몸으로 얼마나 많은 일을 하는가’ 하고 놀라기도 합니다. 그런데 말이지요, 나는 옛사람이 아니라서 물레잣기나 베틀밟기를 하지는 않습니다. 손빨래가 고되면 기계(세탁기)가 도와줄 수 있습니다. 정 고단해서 밥상을 차리기 어렵다면 읍내에 가서 한끼를 사다가 먹을 수 있습니다. 요새는 고기 한 점 먹기도 수월해서 읍내 가게에서 고기 한 점을 사서 집에서 쉽게 구워먹을 수 있기도 해요. 옛날처럼 소나 돼지나 개나 닭을 집에서 손수 잡아서 손질해야 비로소 얻는 고기가 아닌 흐름입니다.


  그렇지만 아무리 기계가 있고 시설을 갖추었어도, 기계나 시설을 다루는 몫은 사람이 합니다. 세탁기이든 청소기이든 사람이 다루어야지요. 아이들을 마주할 적에도 사람이 마주해요. 세탁기가 빨래를 해 주어도, 널고 말리고 개고 건사하는 몫은 오로지 사람이 맡습니다.


  그러니까 이러한 하루살림을 고된 일거리로 바라본다면 집안일은 언제나 고될밖에 없구나 싶어요. 우리 보금자리를 즐겁게 가꾸자는 마음이 되어 아이한테 심부름도 시키고, 이모저모 가르치고 나 스스로도 새롭게 배우면서 건사한다면 재미난 집안살림(집안‘일’이 아닌 집안‘살림’)으로 거듭날 만하지 싶어요.



많은 여성들이 지난 이삼십 년 동안 배운 것이 있다면 아내가 되는 것이 유일한 선택지는 아니라는 사실이다. (593쪽)



  집안일은 가시내만 해야 하지 않다고 느낍니다. 그리고 집안일은 사내가 더 해야 한다고도 느끼지 않습니다. 집안일을 일보다 살림으로 느껴서 집안살림을 함께 꾸리고 가꾸며 돌볼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사내도 가시내도 ‘아내’나 ‘남편’이라는 이름에서 한 걸음 나아가 ‘살림꾼’이 되거나 ‘살림지기’가 되거나 ‘살림님’이 될 수 있으면 즐거울 만하리라 생각해요.


  한국말사전에서 ‘아내’라는 낱말을 찾아보면 “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로 풀이합니다. 이와 맞서는 낱말로는 한자말 ‘남편(男便)’이 있습니다. 사내한테는 한자말로 이름을 붙여 준다면, 가시내한테도 한자말로 이름을 붙여서 ‘여편(女便)’을 쓸 듯하지만, 정작 ‘남편·여편’처럼 쓰는 일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여편 + 네’ 꼴인 ‘여편네’는 혼인한 가시내를 낮잡을 적에 쓰는 낱말이 되어요.


  이밖에 한국말로는 ‘안사람·바깥사람’이라는 낱말이 있어요. 이는 가시내를 ‘집 안쪽’에 머물면서 일하는 사람으로 바라보고, 사내를 ‘집 바깥쪽’으로 나돌면서 일하는 사람으로 바라봅니다. 이 같은 ‘안팎’을 놓고 한자말로 ‘내외(內外)’를 쓰기도 해요.


  혼인을 해서 두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로서 부름말을 살피니 어느 하나도 내키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는 내 나름대로 새로운 말을 짓기로 합니다. 가시내하고 사내를 따로 가르기보다는 서로 스스럼없이 어깨동무하는 삶벗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곁님’이라는 이름을 지어 봅니다. 곁에 있는 님, 곁에서 돌보는 님, 곁에서 서로 어깨동무하는 님, 곁에서 즐겁게 살림을 함께 짓는 님, 이런 여러 가지 뜻을 실어서 ‘곁님’이라는 이름으로 ‘아이 어머니’를 부릅니다. 그러면 ‘아이 어머니’도 나(아이 아버지)를 곁님으로 부를 수 있어요.



아내가 된다는 것은 명예의 배지를 다는 일이 아니지만 불행의 배지를 다는 일도 아니다. (17쪽)



  새로운 이름을 지어 보는 까닭은 앞으로 집살림도 새로운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성평등이라는 틀에서도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즐거운 살림’과 ‘기쁜 보금자리’로 거듭날 때에 아름다운 삶이 되리라 생각해요. 이럴 때에 우리는 비로소 “아내의 역사”가 아니라 “함께 짓는 살림”을 누릴 테고, 지난 수천 해에 걸쳐서 동양과 서양 모두 ‘아내’를 ‘몸종’처럼 부리던 굴레를 씩씩하게 떨쳐내면서 ‘사랑하는 두 사람’이라고 하는 새로운 길로 노래하며 걸어갈 만하리라 봅니다.


  가시내도 ‘살림님’이 되고, 사내도 ‘살림지기’가 될 수 있기를 꿈꾸어요. 너랑 나랑 다 같이 ‘살림벗’이 되어, 우리 보금자리를 우리가 스스로 사랑할 수 있기를 꿈꾸어요. 2016.7.31.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