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황량 荒


 황량하고 을씨년스러운 → 거칠고 을씨년스럽다 / 거칠고 쓸쓸하다

 황량하고 적막하다 → 거칠고 고요하다 / 거칠고 쓸쓸하며 고요하다

 그 밭은 황량하기 이를 바 없다 → 그 밭은 거칠기 이를 바 없다


  ‘황량(荒)하다’는 “황폐하여 거칠고 쓸쓸하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황폐(荒弊)’는 “거칠고 피폐함”을 가리키고, ‘피폐(疲弊)’는 “지치고 쇠약하여짐. ‘황폐’로 순화”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쇠약(衰弱)’은 “힘이 쇠하고 약함”을 가리킨다는데, ‘쇠(衰)하다’는 “힘이나 세력이 점점 줄어서 약해지다”를 가리킵니다. ‘약(弱)하다’는 ‘여리다’를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황량 = 황폐 + 거칠고 쓸쓸하다 = 거칠고 피폐하다 + 거칠고 쓸쓸하다 = 거칠고 + 황폐 + 거칠고 쓸쓸하다 = 거칠고 + 거칠고 피폐 + 거칠고 쓸쓸하다’처럼 끝없이 이어지는 꼴입니다. ‘쇠약’이라는 한자말도 ‘쇠약 = 쇠하다 + 약하다 = 약하다 + 약하다 = 여리다 + 여리다’인 셈이고요. 이래저래 살피면 ‘황량하다’는 “거칠고 쓸쓸하다”나 ‘거칠다’로 손볼 만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황량(黃粱)’을 “= 메조”로 풀이하며 싣지만, ‘메조’는 ‘메조’로 쓰면 넉넉할 뿐입니다. 2016.7.5.불.ㅅㄴㄹ



계속 춤을 추며 황량한 들판을 지나

→ 자꾸 춤을 추며 거친 들판을 지나

→ 자꾸 춤을 추며 거칠고 쓸쓸한 들판을 지나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와사키 치히로/이지연 옮김-빨간 구두》(소년한길,2002) 22쪽


보다 척박하고 황량한

→ 더 메마르고 거친

→ 더 메마르고 쓸쓸한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권영주 옮김-나는 어떻게 번역가가 되었는가》(씨앗을뿌리는사람,2004) 17쪽


황량한 숲과 쌓인 눈과 매서운 추위 속에서

→ 거친 숲과 쌓인 눈과 매서운 추위에서

《로라 잉걸스 와일더/김석희 옮김-초원의 집 1》(비룡소,2005) 39쪽


이 황량하고 척박한 사막에서

→ 이 거칠고 쓸쓸한 사막에서

→ 이 거칠고 쓸쓸하며 메마른 사막에서

《이일우-내 인생의 첫 번째 포트폴리오》(팝콘북스,2006) 124쪽


온통 눈 덮인 황량한 고원

→ 온통 눈 덮인 쓸쓸한 고원

→ 온통 눈 덮인 거칠고 쓸쓸한 고원

《곽효환-슬픔의 뼈대》(문학과지성사,2014) 8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