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습관 習慣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가지다 → 일찍 일어나는 버릇이 있다

 나쁜 습관을 고치다 → 나쁜 버릇을 고치다

 절약하는 습관이 몸에 배었다 → 아끼는 버릇이 몸에 배었다

 습관대로 30분 먼저 나가서 → 버릇대로 30분 먼저 나가서

 저녁마다 아주 습관이 된 → 저녁마다 아주 버릇이 된


  ‘습관(習慣)’은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을 뜻한다 하고, “≒ 염습(染習)” 같은 비슷한말이 한국말사전에 나옵니다. ‘염습’은 “= 습관”으로 풀이합니다. 그런데 ‘염습’ 같은 한자말을 쓸 일이 있을까요? 한국말로 ‘버릇’을 쓰면 넉넉하지 않을까요? 2016.6.15.물.ㅅㄴㄹ



어리석고 거짓된 습관에서 하는 짓이라고 본다

→ 어리석고 거짓된 버릇에서 하는 짓이라고 본다

→ 어리석고 거짓된 매무새로 하는 짓이라고 본다

→ 어리석고 거짓된 삶이기에 하는 짓이라고 본다

《이오덕-우리 문장 쓰기》(한길사,1992) 558쪽


오래고 단단한 문화와 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있음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 오래고 단단한 문화와 버릇이 있는 사람들이 있는 줄 헤아려햐 한다

→ 오래고 단단한 살림과 버릇으로 살아온 사람들이 있는 줄 살펴야 한다

《강분석-씨앗은 힘이 세다》(푸르메,2006) 226쪽


사물을 습관처럼 보지 않겠다는 선한 의지

→ 사물을 버릇처럼 보지 않겠다는 착한 뜻

→ 무엇이든 똑같이 보지 않겠다는 착한 마음

《앤소니 드 멜로/이현주 옮김-행복하기란 얼마나 쉬운가》(샨티,2012) 128쪽


자연스럽게 습관처럼 몸으로 익혀 나간다

→ 자연스럽게 버릇처럼 몸으로 익혀 나간다

→ 자연스럽게 몸으로 익혀 나간다

《이장환-독수리사냥》(삼인,2013) 31쪽


평소의 습관에서 가늠해 보고

→ 평소 버릇에서 가늠해 보고

→ 여느 때 버릇에서 가늠해 보고

→ 여느 때 모습에서 가늠해 보고

《우니타 유미/김진희 옮김-푸르게 물드는 눈 2》(애니북스,2016) 16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