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위의


 바느질 위의 인생 → 바느질하는 삶 / 바느질로 지은 삶

 풀밭 위의 점심 식사 → 풀밭에서 먹는 점심 / 풀밭 점심

 벼랑 위의 포뇨 → 벼랑에 사는 포뇨 / 벼랑집 포뇨 / 벼랑에 선 포뇨

 언덕 위의 하얀 집 → 언덕에 있는 하얀 집 / 언덕에 선 하얀 집

 나무 위의 고양이 → 나무를 탄 고양이 / 나무에 앉은 고양이


  “도로 위에 서다”라든지 “밥상 위의 반찬”이라든지 “지도 위의 인문학”이라든지 “얼음판 위의 놀이”라든지 “눈 위의 발자국”이라든지 “구름 위의 산책”이라든지 “마루 위의 낮잠”처럼 쓰는 ‘위 + 의’는 얼마나 올바를까요? 영어에서는 ‘on’을 쓸 테고, 이를 일본사람은 ‘上’이라는 한자를 빌어서 옮깁니다. 이러한 말투가 고스란히 한국말에 스며들어서 걸핏하면 “무엇 위”나 “무엇 위 + 의” 같은 일본 번역 말투가 나타납니다.


  한국말은 “길에 서다”이고 “밥상에 올린 반찬”이며 “지도를 걷는 인문학/지도에 그린 인문학/지도로 보는 인문학”입니다. “얼음판 놀이”나 “눈에 찍힌 발자국/눈에 찍은 발자국/눈길에 난 발자국”이나 “구름을 걷는 산책/구름 마실”이라 적어야 올바릅니다. “마루에서 자는 낮잠”이나 “마루에서 누리는 낮잠”으로 적어야 알맞아요.


  고양이는 “나무 위”에 있을 수 있을까요? 고양이가 아닌 새라면 “나무 위”를 날지요. 새나 나비라면 “길 위를 날”지요. 영어 ‘on’하고 일본 말투로 쓰는 한자 ‘上’은 한국말 ‘위’하고 쓰임새가 아주 다릅니다. 2016.2.24.물.ㅅㄴㄹ



위의 경우와 똑같은 사건

→ 이 경우와 똑같은 사건

→ 이와 똑같은 일

→ 이때와 똑같은 일

《H.웨이신저·N.롭센즈/임한성 옮김-불완전한 인간》(청하,1986) 20쪽


위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 이 보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 이에서도 알 수 있듯이

→ 이처럼

→ 이와 같이

《나카네 지에/양현혜 옮김-일본 사회의 인간관계》(소화,1996) 31쪽


소파 위의 뚱보 하인처럼

→ 소파에 앉은 뚱보 하인처럼

《마야꼬프스끼/석영중 옮김-광기의 에메랄드》(고려대학교 출판부,2003) 1쪽


무대 위의 상황

→ 무대에서 벌어지는 상황

→ 무대에서 일어나는 상황

→ 무대에서 펼쳐지는 상황

→ 무대 상황

→ 무대 흐름

《안치운-추송웅, 배우의 말과 몸짓》(나무숲,2004) 28쪽


네 살 위의 여학생

→ 네 살 위 여학생

→ 네 살 위인 여학생

→ 네 살 많은 여학생

《고바야시 데루유키/여영학 옮김-앞은 못 봐도 정의는 본다》(강,2008) 52쪽


무명천 위의 노랑 은행들

→ 무명천에 놓은 노랑 은행들

→ 무명천에 놓인 노랑 은행들

→ 무명천에 둔 노랑 은행들

→ 무명천에 올린 노랑 은행들

《황선미-바람이 사는 꺽다리 집》(사계절,2010) 9쪽


위의 책들은

→ 이 책들은

→ 이런 책들은

→ 이 같은 책들은

→ 이와 같은 책들은

《김미라-책 여행자》(호미,2013) 23쪽


마침내 위의 내용을 담은 편지가 작성됐고

→ 마침내 이 줄거리를 담은 편지를 썼고

→ 마침내 이러한 얘기를 담은 편지를 썼고

《피터 싱어/김상우 옮김-모든 동물은 평등하다》(오월의봄,2013) 229쪽


위의 표에서

→ 이 표에서

→ 이러한 표에서

→ 앞서 든 표에서

《이수열-이수열 선생님의 우리말 바로 쓰기》(현암사,2014) 32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