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209] 칼질



  칼을 손에 쥐고 무나 배추를 썰 수 있어요. 칼로 봉투를 열거나 종이를 자를 수 있어요. 칼로 당근이나 고구마를 채썰기를 해 볼 수 있고, 칼로 골판종이를 잘 도려서 종이인형을 빚을 수 있어요. 자를 적에 쓰는 ‘칼’이에요. 칼로 자르는 일을 가리켜 ‘칼질’이라 해요. 그런데 어른들은 이 칼을 놓고 좀 엉뚱한 몇 가지 말을 써요. 먼저 ‘부엌칼’이라 안 하고 ‘식도·식칼’이라 하기도 하는데, ‘식도’에서 ‘식(食)’은 ‘밥’을 뜻하고, ‘도(刀)’는 ‘칼’을 뜻하는 한자예요. 그러니 ‘밥칼’이라는 뜻으로 ‘식도’라 하는 셈이지만, 한국말은 ‘부엌칼’이에요. 빵집이나 햄버거집에서는 어린이가 빵이나 햄버거를 먹기 좋도록 칼로 잘라서 주기도 하는데, 이때에 ‘커팅칼’로 자른다고 흔히 말해요. ‘칼’은 자를 적에 쓰고 ‘커팅(cutting)’은 ‘오리다’나 ‘자르다’를 뜻하는 영어예요. 그러니 “자름칼(자르는 칼)로 빵을 자른다”고 말하는 셈이니 어딘가 얄궂지요. 그냥 ‘칼’이라고 하든지 ‘빵칼’이라고 해야 올발라요. 칼로 무엇을 자르는가를 살펴서 알맞게 칼 이름을 붙일 노릇이에요. 4349.1.28.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