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약


  서울 시내를 다니는 버스는 ‘서울버스’입니다. 광주 시내를 다니는 버스는 ‘광주버스’이고, 시골을 다니는 버스는 ‘시골버스’예요. 다른 곳을 안 거치고 바로 가는 버스라면 ‘바로버스’이고, 여러 곳을 돌고 돌아서 가는 버스라면 ‘도는버스’이지요. 바로버스는 ‘직행버스’라 하기도 하고, 도는버스는 ‘완행버스’라 하기도 해요. 서울에서 다니는 버스는 2003년부터 네 가지 빛깔로 옷을 새롭게 입혔어요. 처음에는 ‘그린(G)·옐로(Y)·블루(B)·레드(R)’처럼 온통 영어만 썼는데, 이제는 ‘풀빛(푸름)·노랑·파랑·빨강’ 같은 한국말을 써요. ‘풀빛버스’보다는 ‘초록버스’라는 이름을 쓰는 분이 있는데, ‘초록’은 ‘풀빛’을 가리키는 중국 한자말이에요. 일본 한자말로는 ‘녹색’이 있어요. 그러고 보면, 빛깔말을 쓰는 ‘빨간약’이 있습니다. 다치거나 까진 생채기에 바르는 약이에요. 이 약에는 ‘머큐로크롬’이라는 긴 이름을 있지만, 흔히 손쉽게 ‘빨간약’이라고 해요.


+


빙글걸상


  다리가 아프면 걸상에 앉고, 바닥에 털썩 주저앉기도 해요. 여러 사람이 앉을 만하도록 긴 걸상이 있어서, 이를 ‘긴걸상’이라 해요. 혼자 앉을 만한 걸상은 그냥 ‘걸상’이라 할 텐데 ‘홑걸상’이라 해 볼 수 있어요. 앉으면 폭신한 걸상이라면 ‘폭신걸상’이 되고, 다리가 바닥에 단단히 버티지 않아서 흔들흔들거리는 걸상이라면 ‘흔들걸상’이 돼요. 앉는 자리가 동그랗다면 ‘동글걸상’이나 ‘동그라미걸상’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고, 네모난 자리를 마련하면 ‘네모걸상’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어요. 걸상이 빙그르르 돌아간다면 ‘빙글걸상’이나 ‘빙그르르걸상’이 될까요? 어른들은 빙글빙글 도는 걸상을 가리켜 ‘회전의자’라 하고, 빙글빙들 돌면서 드나드는 문은 ‘회전문’이라 하는데, 빙글빙글 도는 문은 ‘빙글문’이라 하면 한결 알아듣기 쉬우리라 생각해요. 밥상을 빙글빙글 돌릴 수 있으면 ‘빙글밥상’이 되지요. 일본밥을 파는 가게에 가 보면 ‘빙글초밥’이 있어요.


+


막대기, 작대기


  가늘고 긴 것이 있으면 ‘작대기’라 해요. 이 작대기가 나무라면 ‘나무작대기’이고, 쇠라면 ‘쇠작대기’예요. 가늘고 긴 것이라 할 테지만 작대기보다 짧으면 ‘막대기’이지요. 작대기를 토막으로 낸다면 막대기라고 할 만합니다. 작대기를 쓰면 높은 곳에 매달린 것을 따거나 움직일 수 있어요. 도랑이나 냇물에 빠진 것을 건지려면 작대기를 쓰지요. 낚싯대는 바로 작대기이고, 마당에 빨랫줄을 드리운 뒤에 받치는 바지랑대도 작대기예요. 창문을 가리는 천을 드리우려고 벽과 벽 사이에 높이 가로지르는 길다란 것도 작대기이지요. 막대기는 짧은 것을 가리키는데, 빵집에서 흔히 파는 바게트라고 하는 빵이 바로 ‘막대기’를 닮은 빵이에요. 그래서 바게트빵은 ‘막대기빵’이나 ‘막대빵’이라 할 만해요. 길이가 짧으면서 덩어리가 진 것은 ‘토막·도막’이라 하는데, 토막은 크고 두툼한 것을 가리키고, 도막은 작고 도톰한 것을 가리켜요. 장난감으로 삼는 ‘나무도막’은 작고 도톰하지요. ‘나무토막’이라고 하면 난로에 불을 땔 만큼 제법 큰 나무입니다.


+


동무


  우리가 사는 이 나라는 슬프거나 아픈 일을 숱하게 겪으면서 말까지 슬프거나 아픈 일을 겪었어요. 남녘하고 북녘이 서로 다른 나라로 갈리면서 남녘말하고 북녘말이 갈리기도 하는데, ‘동무’라고 하는 낱말을 두고도 남·북녘이 뿔뿔이 갈렸지요. 그렇지만 〈동무 생각〉 같은 노래는 그대로 부르고, 〈어깨동무 노래〉 같은 오래된 놀이노래는 고이 흘러요. 아무리 정치와 사회가 찢기거나 갈리더라도 사람들 가슴에 깃든 오래된 사랑이나 살가운 숨결을 억지로 끊지는 못한다고 할까요. 오래된 놀이노래인 〈어깨동무 노래〉를 살피면 ‘어개동무·가게동무·씨동무·보리동무·천동무·만동무·머리동무(머리카락 동무)·개동무(날씨 개는 동무)·해동무(해님 같은 동무)’ 같은 동무 이름이 나와요. 이런 여러 동무 말고도 ‘길동무·책동무·글동무·일동무·놀이동무·소꿉동무’가 있고, ‘책동무·생각동무·마음동무·밥동무·이야기동무·이웃동무’가 있으며, ‘꿈동무·만화동무·노래동무·춤동무·배움동무·그림동무·사진동무·영화동무’가 있어요. 비슷한 또래로 가까이 지내는 사이를 가리키는 ‘벗’이라는 낱말도 있고, ‘동무님·벗님’처럼 쓰기도 해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