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
질베르 리스트 지음, 최세진 옮김 / 봄날의책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뜻한 삶읽기, 인문책 144



경제성장을 바라보다가 놓친 삶·살림·사랑

― 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

 질베르 리스트 글

 최세진 옮김

 봄날의책 펴냄, 2015.11.20. 15000원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봄날의책,2013)을 쓰기도 한 질베르 리스트 님은 《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봄날의책,2015)을 선보입니다. 두 가지 책 모두 ‘환상’을 다룹니다. 문득 궁금해서 한자말 ‘환상’ 말풀이를 찾아봅니다. “현실적인 기초나 가능성이 없는 헛된 생각이나 공상”을 뜻한다고 합니다. “헛된 생각”은 알겠으나 ‘공상’이라는 한자말이 다시 궁금해서 찾아보니,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실현될 가망이 없는 것을 막연히 그리어 봄”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알맹이가 없으며 이루어질 수 없을 만한 덧없는 생각을 가리켜 ‘환상’이라고 하는구나 싶습니다.


  그렇다면, ‘발전’이나 ‘경제학’을 놓고 어떤 “덧없는 생각”이 흐른다는 이야기일까요? 발전이 끝없으리라는 생각은 왜 덧없고, 경제학이 과학(과학적)이라는 생각은 왜 부질없을까요?



다른 학문 분야와 마찬가지로 경제 ‘과학’ 분야도 학계나 행정부, 국제기구에서 명망 있는 일자리를 차지하려는 권력 싸움 때문에 골치가 아픈데, 소위 ‘노벨 경제학상’을 받으려는 경쟁이 그 절정을 이룬다. (37쪽)


주류 경제학은 ‘경제적’이기는커녕 낭비를 부추길 수밖에 없는데, 대부분의 ‘경제적 부’가 생태를 빈곤화시키며 축적되었다는 사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49쪽)



  질베르 리스트 님은 이녁 책에서 ‘경제학’은 모든 바탕을 ‘지구자원을 캐내서 돈을 더 끌어모으는 길’을 다루기 때문에, 어느 경제학이든 ‘지구를 무너뜨리는 길’로 달릴 수밖에 없다고 밝힙니다. 지구자원을 더 캐낼 수 없을 때에는, 또 지구자원을 캐내는 1차산업에 몸을 바치는 일꾼이 없을 때에는, 발전도 경제학도 이루어질 수 없는 셈이겠지요.


  그러고 보면, 발전이나 경제학 모두 쓰레기는 헤아리지 않습니다. 언제나 ‘산업’하고 ‘경제성장율’을 헤아릴 뿐입니다.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면서 비닐을 쓰고, 온갖 포장종이를 쓰기에, 이 모두가 ‘소비를 마친 뒤에 쓰레기’로 바뀌어도 딱히 걱정을 하거나 마음을 쓰지 않아요. 비닐 쓰레기가 온누리를 뒤덮어도, 아파트를 허물어 나오는 시멘트 쓰레기를 곳곳에 파묻어도, 발전이나 경제학 이론에서는 이에 마음을 기울이지 않아요.


  이리하여 경제학은 “낭비를 부추긴다”고 여길 만해요. 쓰레기가 늘고, 지구자원이 사라지며, 환경이 무너지더라도, 생산과 소비가 끝없이 이어지면 모두 발전이나 경제성장이라는 이름이 붙거든요. 경제를 다루는 공무원과 학자 모두 성장율이라고 하는 숫자를 살필 뿐, 삶자리도 마을도 보금자리도 둘러보지 않는다고 할 만해요. 돈이 더 되느냐 안 되느냐만 책상맡에서 살피는 경제학이라고 할 만하지요.



경제행위의 ‘합리성’은 19세기 유럽에서는 노동자 투쟁을 탄압하며 강요했고, 세계 대부분에 대해서는 식민화를 통해 강요했으며, (64쪽)


시장 제도에서는 ‘한몫 잡았다’고 허풍을 떠는 게 금지되어 있지 않다. ‘한몫 잡았다’는 말은 자신이 받은 것에 비해 상대방에게 적게 주었으며, 거래 당사자의 이익에 맞서서 자신의 이익을 주장할 줄 안다는 의미이다 … 이윤의 유혹에 빠진 시장 논리는 주는 기쁨을 모른다. (89쪽)



  《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은 경제학이 말하는 ‘시장 제도’가 무엇인가를 찬찬히 보여줍니다. 모든 경제학은 ‘이윤 추구’로 나아가기 마련인데, ‘이윤 추구’란 ‘돈이 되도록 하기’이고 ‘돈이 되는 길 좇기’입니다. 돈이 되도록 하거나 돈을 모으려고 하면, ‘돈이 남한테 가기보다 나한테 오도록 해야’ 하고, ‘남은 이익을 덜 거두거나 못 거두도록 하면서, 바로 내가 더 많이 이익을 거두어야 합’니다. ‘시세 차익’이라고 하듯이, ‘더 남겨야’ 돈이 돼요. 그러니까, 질베르 리스트 님이 “시장 논리는 주는 기쁨을 모른다(89쪽)” 하고 말할 만합니다. 남한테서 더 가로채거나 가져와야 ‘돈이 되는(이익이 되는)’ 얼거리로 나아가는 경제학일 테니까요.


  곰곰이 돌아봅니다. 《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이라는 책에서 밝히지 않더라도, 경제발전에서는 수입보다 수출이 커야 한다 밝히지요. 즐거운 삶이나 아름다운 삶을 말하거나 살피거나 따지지 않아요. 수입도 수출도 없이 자급자족을 하는 사회나 삶은 이야기하지 않아요. ‘경제 행위’가 되려면, 남한테 뭔가를 내다 팔아서 돈을 벌어야 합니다. 남한테 아무것도 안 팔고, 남한테서 아무것도 안 사면서 조용하게 살림을 꾸릴 적에는 어떤 경제학도 나타나지 않아요.



전통사회에서 사람들은 할 수 있을 때도 더 많은 것을 바라거나 더 축적하기를 바라지 않고, 수수하고 검소하게 살아간다는 사실이다 … 그들에게 삶의 목표는 소비가 아니다 … 노동보다는 서로 잡담을 나누거나 족장이나 노인들이 해주는 옛날이야기와 창조 신화와 관련된 이야기를 듣거나 잔치 준비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 개인적인 풍요는 언제나 질투와 폭력의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109쪽)


우리는 전자제품, 전화기, 의약품 같은 것들 없이 지내며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는다. (178쪽)



  아스라히 먼 옛날부터 모든 사람은 스스로 삶을 지었습니다. 밥이나 옷이나 집을 누구나 스스로 지었습니다. 게다가 즐겁게 지었어요. 전문가나 학자라는 사람은 따로 없었고, 누구나 ‘모든 것’을 다루고 살피고 알고 나누면서 살았어요. 사내랑 가시내를 따로 가르는 삶이나 살림이 아니라, 서로 아끼며 돕는 삶이나 살림이었다고 할 수 있어요.


  밥짓는 전문가나 옷짓는 전문가나 집짓는 전문가를 따로 두지 않던 지난날이에요. 공부만 하는 전문가라든지, 교육자 노릇을 하는 전문가라든지, 행정 서류를 도맡는 전문가가 굳이 없어도 되던 지난날입니다. 누구나 씨앗을 심고, 누구나 풀을 건사하며, 누구나 나무랑 숲을 아끼던 지난날이었다고 느껴요. 지난날에는 쓰레기가 나올 턱이 없으며, 지구자원을 파헤쳐서 망가뜨리는 일이 없지요. 권력자나 족장이 나서기 앞서까지는 싸움이나 전쟁조차 일어나지 않았겠지요. 전쟁무기 따위는 생각하지 않고 살림살이만 지었을 테고요.


  그런데, ‘남는 것’을 거두는 사회가 되면서, ‘남는 것’을 다스리거나 더 그러모으려는 권력자가 나타나고, 이 권력 흐름이 깊어지면서 더 큰 정치권력이 되려고 하는 몸짓이 불거져요.



GDP 지표는 실제로는 그 체제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의 생존이 아니라, 그 ‘체제’ 자체의 생존에 훨씬 더 중요하다. 성장을 멈춘 기업, 다시 말해 더 이상 이윤을 축적하지 못하는 기업은 성장하지 못하면 사라진다는 사회진화론의 원리에 의해 시장에서 곧 배제된다. (155쪽)


경제 ‘과학’이 처음으로 모습을 갖춰 가던 19세기 초에는 자연의 혜택이 무한하다고 오해했기 때문에, 자연의 혜택이나 천연자원이 유한하다는(혹은 재생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갖기 어려웠다. (210쪽)



  오늘날 우리는 운전만 하는 삶을 보내거나, 기계만 다루는 삶을 보내거나, 컴퓨터만 만지는 삶을 보내거나, 부엌일만 하는 삶을 보내거나, 아이들을 키우는 일만 하는 삶을 보내거나 하면서 지냅니다. 가게에서 이것저것 사다가 쓰면서, 내 손에 쥐는 것들이 어디에서 어떻게 태어났는가 하는 대목을 돌아보지 않을 뿐더러, 돌아볼 겨를조차 없습니다.


  내가 짓는 삶에서 길어올리는 이야기를 스스로 나누는 삶이 잊힙니다. 남이 짓는 삶에서 길어올리는 이야기를 책이나 영화나 방송이나 인터넷에서 찾아보는 삶으로 바뀝니다.


  오늘 우리는 아이들한테 무엇을 보여주거나 가르칠 만할까요? 아이들이 앞으로 자라서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되어 돈을 잘 벌도록 한다든지, 한두 가지 재주를 키워서 전문 직업인이 되도록 하는 길 말고, 스스로 삶을 짓고 살림을 가꾸는 사랑을 보여주거나 가르칠 만할까요? 돈이 아니어도 삶을 가꾸면서 사랑을 키우는 꿈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더 비싼 자동차나 아파트나 옷이나 전자제품을 장만해야 하는 살림이 아니라, 즐겁게 이야기꽃을 피우면서 평등한 살림살이를 북돋우는 꿈을 가르칠 수 있을까요?


  《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이라는 책은 이 사회에서 우리가 새롭게 나아갈 길까지 들려주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경제학이 외치는 숫자나 지표나 통계나 전망이나 이론에 감춰진 속내를 찬찬히 밝혀 줍니다. 경제성장이나 발전에 목을 매다가는 삶·살림·사랑을 잊어버릴 수 있다는 대목을 찬찬히 밝혀 줍니다. 우리가 스스로 잊거나 잃었지만, 스스로 찾거나 살려야 할 삶·살림·사랑을 이제부터 새롭게 바라보자고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4349.2.5.쇠.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