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오시몬 연구실 2 - 완결
다이스케 테라사와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만화책 즐겨읽기 594



보는 눈, 아끼는 눈, 가꾸는 눈

― 나오시몬 연구실 2

 테라사와 다이스케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 2015.12.25. 4500원



  밤이 깊을수록 별빛이 밝습니다. 밤이 지나고 새벽으로 접어들 즈음이면 차츰 동이 트면서 별빛이 흐려요. 어느덧 저 먼 하늘이 차츰 밝아지면서 해가 올라올 즈음이라면 별빛은 거의 모두 사라집니다. 새로 떠오르는 해님은 햇살을 잔뜩 퍼뜨리면서 온누리에 무지개빛을 새삼스레 일으킵니다. 나는 새벽녘에 이를 무렵이면 마지막 별빛을 마음에 담으려고 곧잘 마당에 내려서서 찬바람을 쐽니다.



“요즘도 가끔 고향에 내려가면 유품을 수선하니?” “응. 하지만 아무리 유품을 복원해도 죽은 사람이 살아 돌아오진 않으니까.” (13쪽)


“하지만 고작 손잡이 하나에 그렇게 공을 들이면 남는 게 없어서.” “남는 것 없고 품이 많이 드는 일이라도 그걸 찾아서 수십 년을 드나드는 손님이 있습니다. 그런 것들이 오래도록 이 가게의 자산이 된다는 걸 알아 주셨으면 좋겠군요.” (23∼24쪽)



  테라사와 다이스케 님이 빚은 《나오시몬 연구실》(학산문화사,2015) 둘째 권을 읽습니다. 이 만화책은 두 권으로 마무리짓습니다. 짧게 끝맺는 이야기입니다. 고고학 연구를 하는 주인공은 일본에서 언젠가 꼭 공룡뼈를 찾아내겠다는 다짐으로 일해요. 그런데 공룡뼈를 캐내는 일을 하려면 일꾼이나 심부름꾼을 많이 두어야 하고 오랫동안 땀흘려야 하니까 목돈이 들지요. 만화책에 나오는 주인공은 목돈을 모으려고 ‘오래된 물건을 손질하는 일’을 합니다. 이른바 ‘옛 문화재 되살리기’이지요.



“미안, 아빠. 난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이네.” “그래서, 그렇게 정성들여 만든 이 테이프는, 그 녀석의 보물이었을 거야.” (40쪽)


“아쉽지만 그런 대형 수리업체에는 일 잘하는 장인이나 재료를 쓰지 않고 안 보이는 부분을 대충 때워 비용만 싸게 매기는 곳도 많아.” “처음부터 진짜 장인에게 맡길걸. 내가 몇 푼 아끼겠다고 욕심을 부려서.” (96쪽)



  만화책 주인공은 ‘옛 문화재 되살리기’라는 일감을 맡을 적에 언제나 ‘오래된 살림살이를 손질한다’고 여깁니다. 그냥 옆에 놓고 눈으로만 쳐다보는 값지거나 값비싼 보물이 아닌, 늘 손으로 쓰다듬고 만지고 다루는 살림살이로 여겨서 손질해요.


  ‘손질’하고 ‘되살리기’는 다르지요. 손질을 한다고 할 적에는 ‘다시 쓴다’는 뜻입니다. 되살리기를 한다고 할 적에는 ‘그대로 모신다’는 뜻입니다.


  때로는 박물관 같은 데에 모시려고 유물이나 문화재를 건사하겠지요. 그런데, 어떤 살림살이가 유물이나 문화재가 된다고 하더라도, 모든 유물이나 문화재는 맨 처음에는 수수한 살림살이였어요. 임금님이 쓰던 왕관이나 노리개 따위를 뺀, 이를테면 돌칼이나 민무틔흙그릇 같은 유물은 모두 살림살이입니다. 민속박물관에서 건사하는 문화재나 유물도 처음에는 모두 살림살이예요.



“제례용 신여는 많은 사람이 짊어지고 이리저리 흔들면서 온 마을을 돌지. 그래야 신이 기뻐한다며 일부러 거칠게 다루거나 바다에 던져 버리기도 해. 당연히 끼워 맞춘 부분은 헐거워지고, 금구는 녹슬고 칠은 벗겨질밖에! 그걸 다시 쪼이고 금구에 다시 광을 내고 칠을 다시 해 가며 수십 수백 년을 쓰는 게 바로 신여란 말씀!” (106쪽)


“어떻게 된 겁니까? 어떻게 어르신들이 그렇게 쉽게 신여를 멜 수 있죠?” 호흡이 딱딱 맞으니까! 축제 신여는 모두의 마음이 한데 모이면 가볍게 들려 올라가거든!” (119쪽)



  수백 해에 걸쳐서 손질을 새롭게 하면서 쓰는 ‘제례용 신여’ 이야기를 읽으면서 가만히 생각을 기울입니다. 한국에서는 이런 ‘문화재 살림살이’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아이들이 손으로 만지면서 물려받아서 아낀 뒤, 다시 새로운 아이들한테 물려줄 만한 ‘문화재 살림살이’를 찾아보기 어려워요.


  일제강점기나 한국전쟁이나 새마을운동이나 경제성장 따위가 흐르면서 그만 사라지거나 짓밟혔다고 할 수 있습니다만, 우리 스스로도 마을살림이나 집살림을 알뜰히 건사하려는 마음을 잃었다고 할 만해요. 더 빠르거나 더 남다르다고 하는 새 물건을 장만하는 길에 마음을 빼앗겼다고 할 만해요.


  새 자전거도 좋습니다만, 오래된 자전거를 꾸준히 손질해서 물려줄 만한 살림살이(문화)가 우리한테 있을까요? 다시 말해서 자동차를 꾸준히 손질해서 쉰 해나 백 해를 건사할 만할까요? 집 한 채를 꾸준히 손질해서 삼백 해나 오백 해를 건사할 만할까요?



“우리가 만드는 칠기는 사람이 쓰라고 있는 게야. 장식용으로 찬장에 모셔두기나 할 바엔 아예 안 만들고 말지. 나는 지금까지 이 그릇들을 소중히 써 온 사람을 위해, ‘나오시몬’으로 평생을 마칠 셈이다.” (186쪽)


‘할아비는 언제나 자연을 잘 관찰한단다. 보는 눈을 키워야 좋은 그림을 그릴 수 있거든.’ (207쪽)



  보는 눈, 아끼는 눈, 가꾸는 눈, 이렇게 세 가지 눈을 돌아봅니다. ‘보는 눈’이 ‘보는 눈’으로만 그치면 문화재를 만듭니다. 지식을 만들지요. 보는 눈이 ‘아끼는 눈’으로 거듭나면 이야기를 짓습니다. 노래가 흐르지요. 아끼는 눈이 새롭게 ‘가꾸는 눈’으로 거듭날 수 있다면 사랑을 짓습니다. 사랑스러운 손길로 살림을 지어요.


  먼저 볼 수 있어야 하고, 본 다음에는 아낄 수 있어야 하며, 아끼는 손길에 이어 가꾸는 숨결로 다시 태어나야지 싶습니다. 보고 아끼며 가꾼다고 하겠습니다. 바라보는 데에서 그치면 ‘비평’이나 ‘품평’은 할 테지만, 이래서는 아무것도 짓지 못해요. 맨 먼저 ‘보는 눈’부터 기를 노릇이요, 이 눈길을 키워서 손길과 몸짓을 갈고닦을 수 있어야 합니다. 만화책 《나오시몬 연구실》은 이 같은 이야기를 알뜰살뜰 잘 들려줍니다. 4349.2.3.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