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비판적


 비판적 태도를 보일 필요가 있다 → 비판해야 한다 / 비판해 주어야 한다

 매사에 너무 비판적이다 → 모든 일에 너무 꼬치꼬치 따진다

 비판적 사고 → 판가름하는 생각 / 따질 줄 아는 생각

 비판적 독해 → 판가름 독해 / 판가름하기

 비판적 담론 → 비판 담론 / 판가름 담론

 비판적 읽기 → 밝게 읽기 / 판가름 읽기 / 파헤쳐서 읽기


  ‘비판적(批判的)’은 “사물의 옳고 그름을 가리어 판단하거나 밝히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판단(判斷)’은 “사물을 인식하여 논리나 기준 등에 따라 판정을 내림”을 뜻한다 하고, ‘판정(判定)’은 “판별하여 결정함”을 뜻한다 하며, ‘판별(判別)’은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여 구별함”을 뜻한다 합니다. ‘구별(區別)’은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남. 또는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을 뜻한다 해요. ‘판단→판정→판별→판단’으로 빙글빙글 도는 말풀이입니다.


  한국말에 ‘판가름’이 있고, 이 낱말은 “사실의 옳고 그름이나 어떤 대상의 나음과 못함, 가능성 따위를 판단하여 가름”을 뜻한다고 합니다. ‘판단·판정·판별’은 바로 한국말 ‘판가름’을 가리키는 셈입니다. ‘비판’이나 ‘비판적’ 같은 한자말을 꼭 쓰고 싶다면 쓸 수밖에 없을 테지만, 한국말에 ‘판가름’이 있고, 때와 곳을 살펴서 ‘따지기’나 ‘밝히기’나 ‘파헤치기’ 같은 낱말을 쓸 만하며, ‘비판적이다’는 ‘날카롭다’나 ‘나무라다’나 ‘못마땅하게 여기다’나 ‘싫어하다’나 ‘차분하다’나 ‘차갑다’를 가리키는 자리에 끼어들기도 합니다. 4348.12.24.나무.ㅅㄴㄹ



비판적인 눈으로 응시하지는

→ 따가운 눈으로 바라보지는

→ 매서운 눈으로 바라보지는

→ 날카로운 눈으로 바라보지는

→ 내키지 않는 눈으로 바라보지는

→ 못마땅해 하는 눈으로 보지는

《페스탈로찌/홍순명 옮김-린하르트와 겔트루트》(광개토,1987) 161쪽


비판적인 자세로 수용해야 합니다

→ 비판 자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 꼼꼼히 살펴서 받아들여야 합니다

→ 찬찬히 따져서 받아들여야 합니다

→ 곰곰이 판가름하며 받아들여야 합니다

→ 옳고 그름을 가려서 받아들여야 합니다

→ 잘잘못을 가리며 받아들여야 합니다

→ 잘 살펴서 받아들여야 합니다

《김남주-시와 혁명》(나루,1991) 34쪽


비판적으로 읽도록

→ 따져서 읽도록

→ 파헤쳐서 읽도록

→ 판가름하며 읽도록

→ 옳고 그름을 가리면서 읽도록

→ 속 깊이 살피며 읽도록

《헨리 지루/이경숙 옮김-교사는 지성인이다》(아침이슬,2001) 52쪽


크리슈나무르티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크리슈나무르티를 비판한다

→ 크리슈나무르티를 나무라는 쪽에 선다

→ 크리슈나무르티한테 무엇이 잘못인가를 말한다

→ 크리슈나무르티가 무엇을 잘못하는가를 밝힌다

《전사섭-장충동 김씨를 위한 책 이야기》(시공사,2003) 68쪽


거울 속의 얼굴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비웃듯이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손가락질하듯이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나무라듯이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꾸짖듯이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씁쓸히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쓰겁게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쓰디쓰게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쓸쓸히 바라본다

→ 거울에 비친 얼굴을 차갑게 바라본다

《존 버거,장 모르/김현우 옮김-행운아》(눈빛,2004) 227쪽


비판적으로 바라봄으로써

→ 비판 어린 눈으로 바라보면서

→ 차분히 돌아보면서

→ 잘하고 못한 대목을 짚으면서

《이숙의-이 여자, 이숙의》(삼인,2007) 23쪽


그런 관행들에 비판적이었기 때문이다

→ 그런 관행들을 비판했기 때문이다

→ 그런 관행들을 따졌기 때문이다

→ 그런 관행들을 나무랐기 때문이다

→ 그런 관행들을 꾸짖었기 때문이다

《마저리 쇼스탁/유나영 옮김-니사》(삼인,2008) 47쪽


비판적 사고는 부정적 사고가 아닙니다

→ 비판하는 생각은 나쁘게 보는 생각이 아닙니다

→ 비판 어린 생각은 나쁜 생각이 아닙니다

→ 판가름하기는 나쁘게 보는 눈길이 아닙니다

《손석춘-10대와 통하는 사회 이야기》(철수와영희,2015) 39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