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수학 受學/修學


 수학의 열의를 불태웠다 → 배우려는 열의를 불태웠더

 언어학을 수학했었다 → 언어학을 배웠다 / 언어학을 익혔다

 음악 수학을 위해 → 음악을 배우려 / 음악을 익히려


  한자말 ‘수학’은 여러 가지인데, 이 가운데 ‘수학(受學)’은 “학문을 배우거나 수업을 받음”을 뜻하고, ‘수학(修學)’은 “학문을 닦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학문을 닦는다고 하는 일도 한국말로는 ‘배우다’나 ‘익히다’로 가리켜요. 그리고, “닦는다”고 한다면 ‘닦는다’라는 한국말로 쓸 때가 가장 나을 테지요.


  그러니까 학문을 배운다면 ‘배운다’고 하면 됩니다. 학문을 닦는다면 ‘닦는다’고 말하면 되고요. 순수한 학문을 ‘粹學’이라고 한다는데, 이런 말을 알아듣는 사람이 있을까요? 이런 말을 쓰는 사람은 있을까요? 한국말사전을 살피니 “여윈 학”을 ‘瘦鶴’이라 한다고 나오는데, 여윈 학이면 말 그대로 “여윈 학”일 뿐입니다. “먹이를 찾지 못한 수학 한 마리”라고 말할 때, 어느 누가 이 말을 알아들을까요? 새를 살피는 학자들도 이런 말은 못 알아들으리라 봅니다.


  한자말 ‘수학’을 쓰는 자리를 살피면 대학교에서 배우는 일을 놓고 ‘수학’이라는 말을 흔히 쓰는구나 싶으나, 대학교이든 초등학교이든 우리는 언제나 가르치고 배울 뿐입니다. 4348.12.16.물.ㅅㄴㄹ



공과대학에서 수학했고

→ 공과대학에서 배웠고

→ 공과대학을 다녔고

→ 공과대학에서 학문을 닦았고

《최봉림-에드워드 슈타이켄, 성공신화의 셔터를 누르다》(디자인하우스,2000) 17쪽


대학교에서 수학하면서

→ 대학교에서 배우면서

→ 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 대학교를 다니면서

《데이비드 바사미언-시대의 양심 20인, 세상의 진실을 말하다》(시대의창,2006) 186쪽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한 것 이외에

→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배운 것 말고

→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익힌 것 빼고

《손관승-그림 형제의 길》(바다출판사,2015) 64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