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벽촌/벽지 僻村/僻地


 전깃불도 없는 벽촌 → 전깃불도 없는 외딴마을

 벽지 주민 → 외딴곳 주민 / 외딴마을 주민



  ‘벽촌(僻村)’은 “외따로 떨어져 있는 궁벽한 마을”이라 하고, ‘벽지(僻地)’는 “외따로 뚝 떨어져 있는 궁벽한 땅.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교통이 불편하고 문화의 혜택이 적은 곳을 이른다”고 합니다. 한국말사전에는 ‘벽읍(僻邑)’이라는 한자말도 나오고, “외지고 먼 곳에 있는 고을”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한국말로는 ‘외딴곳·외딴집·외딴섬·외딴길’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외딴곳’은 한자말 ‘벽지’하고 뜻이나 쓰임새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곳’하고 뜻이나 쓰임새가 아주 비슷한 ‘데’를 붙이는 ‘외딴데’는 한국말사전에 없어요. ‘외딴마을’이나 ‘외딴고을’도 한국말사전에 없군요. 이러면서 ‘외딴고을’을 가리키는 한자말 ‘벽읍’은 한국말사전에 있습니다. 앞으로는 ‘외딴-’을 앞가지로 삼아서 ‘외딴자리’나 ‘외딴방’이나 ‘외딴마을’쯤은 한국말사전에 실을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4348.11.10.불.ㅅㄴㄹ



20세대 정도의 벽촌이었다

→ 스무 세대쯤 되는 외딴 마을이었다

→ 스무 세대 남짓인 외진 마을이었다

《이로카와 다이키치/박진우 옮김-메이지의 문화》(삼천리,2015) 58쪽


이런 산골 벽지까지

→ 이런 산골 외딴곳까지

→ 이런 멧골 외딴마을까지

《이로카와 다이키치/박진우 옮김-메이지의 문화》(삼천리,2015) 59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