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다드 카페 UE (무삭제 확장판) - 아웃케이스 없음
퍼시 애들론 감독, 마리안느 제게 브레히트 외 출연 / 에이나인미디어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바그다드 까페

Out Of Rosenheim, Bagdad Cafe, 1987



  네 식구가 함께 볼 만한 영화란 무엇일까 하고 헤아리면서 〈바그다드 카페〉를 본다. 그런데 이 영화는 ‘열다섯 살부터’ 볼 수 있다는 딱지가 붙는다. 알쏭달쏭하다. 왜? 영화를 보니 할배 그림쟁이가 아줌마를 그림으로 그릴 적에 젖가슴이 나오기도 하고, 처음에 아줌마가 마음속으로 그리는 모습에서 젖가슴이 나오기도 한다. 이 때문인가? 아무튼 나는 이 딱지를 못 본 척하기로 하면서 여덟 살 다섯 살 두 아이하고 나란히 이 영화를 본다.


  로젠하임을 떠나 바그다드 아닌 미국 ‘바그다드 카페’에 똑 떨어진 아줌마는 가야 할 곳이 없으며 갈 곳도 없다. 그러나, 아줌마는 뚜벅뚜벅 걷는다. 다른 신도 없이 뾰족구두 한 켤레뿐이지만 이 구두로 그야말로 씩씩하게 걷는다. 아줌마를 사막과 같은 곳에 내버린 채 자동차를 몬 아저씨는 어떤 마음일까?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그렇지만, 사람은 성이 나면 그야말로 바보가 된다. 성이 나는 바람에 스스로 사람다움을 잃고 바보짓을 한다.


  〈바그다드 카페〉에서 모든 일을 혼자 짊어져야 한다고 여기는 아줌마도 늘 성이 난 마음이요 몸이다. 늘 성을 부리면서 살아야 하니, 성을 내고 난 뒤에 눈물을 흘리고, 성을 내고 나니 기운이 없어서 아무 일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늘 똑같은 성풀이랑 괴로움이랑 눈물이 되풀이된다. 남이 풀어 줄 수 없는 실타래인데 어디부터 어떻게 꼬였는가를 모르는 채 늘 바보짓을 하고야 만다.


  땅은 드넓지만 사람들이 머물 자리는 너무 좁다. 할 일은 많다지만 정작 아무도 어떤 일부터 손에 잡아야 하는지 모른다. 알뜰한 살림살이인지 아니면 쓰레기인지조차 살피지 않으면서 그저 쌓는다. 버려야 하는지 건사해야 하는지 들여다보지 않으면서 그저 내팽개친다. 이러한 자리에 독일 아줌마가 들어온다. 독일 아줌마로서는 삶도 죽음도 아닌 하루이지만, 아니 하루하루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나날이지만, 문득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는 줄 알아차린다. 삶은 성을 내기만 해서는 도무지 풀 수 없는 줄 느낀다. 이제부터 모든 일을 스스로 찾고 즐기면서 살자는 생각을 천천히 피운다. 그래, 그렇지. 마치 꽃을 피우듯이 생각을 피운다. 모든 꽃이 스스로 씨앗을 퍼뜨려 스스로 햇볕과 바람과 빗물과 흙을 먹으면서 깨어나듯이, 독일 아줌마는 스스로 꽃이 되어 찬찬히 깨어난다. 그리고 이 독일 아줌마가 스스로 꽃이 되어 피어날 적에 이 독일 아줌마 둘레에 있는 사람들도 꽃내음을 함께 맡으면서 천천히, 그야말로 모두들 천천히, 그렇지만 고운 꽃내음을 풍기는 새로운 숨결로 거듭난다.


  웃으려 하기에 웃는다. 노래하려 하기에 노래한다. 아주 쉽다. 울려고 하니 울고, 성을 내려고 하니 성을 낸다. 자, 우리는 우리 삶에서 무엇을 하면 될까? 4348.10.14.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영화읽기/영화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