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350) 이방의


 이방 사람 → 다른 고장 사람 / 다른 나라 사람

 이방 민족 → 다른 겨레


  한자말 ‘이방’은 두 가지 가운데 하나입니다. 첫째, ‘異方’이 있으며 “풍속이나 습관 따위가 다른 지방”을 가리킵니다. 둘째, ‘異邦’이 있으며 “= 이국”을 가리킵니다. ‘이국(異國)’은 “인정, 풍속 따위가 전혀 다른 남의 나라”를 가리킵니다.


  간추려 말하자면, 이 이방이건 저 이방이건 “다른 고장”이나 “다른 마을”이나 “다른 나라”를 가리킵니다. 어렵게 이런저런 한자를 붙여서 쓸 까닭이 없습니다. 알쏭달쏭한 한자말이기에 묶음표를 쳐서 한자를 밝혀야 하지 않습니다. 쉽고 또렷한 한국말을 쓰면 됩니다. 4348.9.25.물.ㅅㄴㄹ



타국에서 전해지는 낯선 이방의 냄새가 묻어 있었다

→ 다른 나라에서 퍼지는 낯선 냄새가 묻었다

→ 다른 나라에서 흐르는 낯선 땅 냄새가 있었다

→ 다른 나라에서 건너온 낯선 나라 냄새가 났다

《헤르만 헤세/두행숙 옮김-그리움이 나를 밀고 간다》(문예춘추사,2013) 137쪽


이방의 언어는 아무리 잘하려고 노력해도 영원히 외국어로 남아 있다

→ 외국어는 아무리 잘하려고 애써도 늘 외국말로 남는다

→ 외국말은 아무리 잘하려고 애써도 언제나 외국말로 남는다

→ 다른 나라 말은 아무리 잘하려고 애써도 그저 외국말로 남는다

→ 다른 겨레 말은 아무리 잘하려고 애써도 끝까지 외국말로 남는다

《정수복-도시를 걷는 사회학자》(문학동네,2015) 33쪽


3세기 동안 이방의 기마민족에게 휘둘렸다면

→ 3세기 동안 다른 기마민족한테 휘둘렸다면

《프리먼 다이슨/김학영 옮김-과학은 반역이다》(반니,2015) 13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