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씨개명된 우리 풀꽃 - 잘못된 이름으로 불리는 우리 풀꽃 속의 일제 잔재
이윤옥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조선식물향명집>을 자꾸 왜곡하면 안 된다

'참고'를 '토대'로 바꾼 번역은 잘못이다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이라는 책을 쓴 이윤옥 님은 <조선식물향명집>이라는 책이 '조선총독부 사전'과 '일본 식물학자 도감' 두 가지를 "토대로 삼아서 쓴 책"이라는 주장을 그분 책에서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은 제가 쓴 글에 반박글을 붙이면서 다시금 밝혔습니다.


그런데 이윤옥 님은 크게 잘못 생각하십니다. <조선식물향명집>에 적힌 "여기 기재된 것이 중요한 것이다"라고 하는 대목은 이 말 그대로입니다. "여기 기재된 것이 중요한 것이다"와 같이 머리말을 썼다고 해서, 이러한 말이 "이 책을 토대로 했다"는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게다가 이윤옥 님 스스로 쓴 반박글에도 나오듯이, <조선식물향명집>을 쓴 한국 식물학자는 '조선총독부 사전'과 '일본 식물학자 도감'만 "참고로 삼지" 않았습니다. 향약채집월령, 향약본초, 동의보감, 산림경제, 제중신평, 방약합편고적 같은 책도 "참고로 삼았"을 뿐 아니라, '정태현'이라는 한국 식물학자가 함께 엮은 조선삼림수목요감이라는 책도 함께 "참고로 삼았"습니다.




이윤옥 님께 여쭙겠습니다. 이윤옥 님 스스로 반박글에서도 밝히셨듯이, <조선식물향명집> 머리말에는 여러 가지 자료를 "참고로 했다"고 적었습니다. 이는 이윤옥 님도 스스로 쓰신 반박글에 또렷이 나옵니다. 게다가, 이윤옥 님이 쓰신 반박글에도 "3년간 100여 차례 만나서 수집한 방언을 토대로 하고"라는 대목이 나옵니다.


네, 이것뿐입니다. 한국 식물학자는 1930년대라고 하는 서슬 퍼런 일제강점기에 "한국 시골에서 쓰던 풀이름"을 샅샅이 모으려고 땀을 흘렸고, 이 시골말(방언)을 바탕(토대)으로 삼아서 <조선식물향명집>을 엮었습니다. 그리고 "전기문헌을 참고로" 했지요.


이윤옥 님 스스로 이러한 앞뒤 사정을 잘 알면서, 왜 '토대'와 '참고'를 무시하는지 아리송합니다. 일제강점기 무렵 한국 식물학자는 한국 시골에서 쓰던 풀이름을 '토대'로 하면서 여러 책을 '참고로' 삼았는데, 왜 갑자기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이라는 책에서는 이 말을 바꾸어야 했을까요? 그리고 이윤옥 님이 쓰신 반박글에서도 이러한 오류가 고스란히 드러나는데, 왜 이러한 주장을 자꾸 하셔야 할까요?


토대(土臺) : 어떤 사물이나 사업의 밑바탕이 되는 기초와 밑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고(參考) : 살펴서 도움이 될 만한 재료로 삼음


일제강점기 한국 식물학자는 그야말로 힘들게 애써서 <조선식물향명집>을 엮었습니다. '국명'이 아닌 '향명'이라는 이름도 어렵게 붙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조선이 일본 식민지였기에 '國'이라는 말조차 못 쓰고 '鄕'이라는 이름을 썼습니다.


그러니, 거의 독립운동을 하듯이 <조선식물향명집>을 엮은 한국 식물학자 땀방울을 깎아내리는 주장일 수밖에 없는 "조선총독부 사전과 일본 식물학자 도감 두 가지만 토대로 해서 조선식물향명집을 엮었다"고 주장하는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이라고 하는 책은 심각하게 한국 식물학자들 명예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느낍니다.




그무렵 조금 더 슬기롭게 한국 풀이름을 못 붙인 대목이 있습니다. 틀림없이 있습니다. 이러한 풀이름은 오늘 우리가 슬기롭게 바로잡거나 가다듬으면 됩니다. 그러나, 한국(식민지에서는 조선) 식물학자는 피땀을 흘려서 '시골 풀이름'을 모았고, 이 시골 풀이름을 바탕(토대)으로 삼아서 멋진 책을 엮었습니다. 일본 학자나 총독부 입김이 아닌, 한국 식물학자 힘으로 엮었습니다.


이러한 대목을 자꾸 깎아내리거나 무시하면서 <조선식물향명집>을 나쁘게 보려는 주장을 하신다면, 이는 한국 문화와 역사를 북돋우는 길에도 그리 도움이 되리라 못 느낍니다. 부디 조금 더 차분하게 <조선식물향명집>을 바라보아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우리 풀이름을 '학문으로 붙이는 이름'으로뿐 아니라, 스스로 이 풀을 아름다운 나물과 고마운 풀숲을 이루는 이웃으로 여기는 마음이 되어 마주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덧붙입니다. 이윤옥 님은 책으로만 풀이름을 살펴보신 듯합니다. 풀이름을 책으로만 살피지 않고, 1930년대 한국 식물학자처럼 전국을 두루 다니면서 ‘시골말(방언)’을 손수 모아 보셔요. 왜냐하면, “창씨개명되지 않은 우리 풀이름”은 먼먼 옛날부터 시골에서 쓰던 풀이름이기 때문입니다. <조선식물향명집〉에 실린 풀이름이 ‘제대로 된 번역’인지 ‘엉뚱한 번역’인지 ‘고심한 흔적’인지 따지지 마시고, 손수 시골마을을 돌면서 풀이름을 모아 보시기 바랍니다.


이윤옥 님은 ‘봄까지꽃’이나 ‘코딱지나물꽃’ 같은 이름을 들어 보셨는지요? 반박글을 읽어 보니, 아무래도 처음 들으신 듯합니다. 그런데, 시골에서는 이런 이름을 흔히 씁니다. ‘쇠별꽃’을 두고도 식물도감에 나오는 이름보다 ‘콩버무리’ 같은 이름을 널리 씁니다. 부디 책에 너무 기대지 마십시오. 일제강점기에 <조선식물향명집>을 엮은 뜻있는 한국 식물학자는 저마다 시골마을을 골라서 찾아다닌 뒤 바지런히 풀이름을 그러모았습니다.


‘봄까지꽃’이라는 이름이 안 어울린다고 반박글에 쓰셨지요? 그러면 생각해 보셔요. 왜 ‘봄까치꽃’이라는 이름이 퍼졌을까요? 이해인 수녀님은 왜 ‘봄까지꽃’을 ‘봄까치꽃’으로 잘못 적은 시를 쓰셨을까요?


까치가 놀러 나온 / 잔디밭 옆에서 // 가만히 나를 부르는 봄까치꽃 …… (이해인-봄까치꽃)


시골에서 ‘봄까지꽃’이라는 이름을 쓰는 할매와 할배가 있기 때문에 이해인 수녀님은 이러한 풀이름을 들으셨으리라 느낍니다. 그런데 ‘봄까지’를 ‘봄까치’로 잘못 듣거나 생각하셨으니 이렇게 시를 쓰셨으리라 느낍니다. ‘봄까지꽃’이라는 이름이 없었다면 ‘봄까치꽃’처럼 이 풀이름을 잘못 쓸 일이 없습니다. 이를테면 “울릉도 호박엿”과 같은 꼴입니다.




울릉도에는 ‘호박엿’이 없었습니다. 요즈음은 “울릉도 호박엿”을 따로 곤다고도 하지만, 울릉도에서 ‘호박엿’을 곤 지는 얼마 안 되었습니다. 왜 그러할까요? 울릉도를 비롯한 한국 남녘 바닷마을에서는 먼 옛날부터 ‘후박나무 껍질과 열매’를 얻어서 엿을 고았습니다. 뱃사람이 뱃멀미를 하지 않도록 ‘후박엿’을 먹었습니다. 그렇지만, 섬과 바닷마을이 아닌 뭍(내륙)사람은 ‘후박나무’를 모르지요. 따뜻한 남녘 바닷마을에서만 자라는 나무인 후박나무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뭍사람이나 서울사람은 이를 ‘호박엿’으로 잘못 알아듣고는 이 잘못된 이름을 퍼뜨렸습니다. ‘봄까지꽃’이 ‘봄까치꽃’으로 잘못 퍼진 까닭도 이러한 얼거리하고 같습니다.


일본 식물학자가 붙인 이름으로 얼룩진 “창씨개명된 풀이름”뿐 아니라, “오늘날 한국사람 스스로 시골마을 풀과 나무를 제대로 몰라서 엉뚱하게 잘못 붙이는 풀이름”을 함께 살펴야 하지 않을는지요?


광대나물이 왜 광대나물인지 제대로 모르는 채 “일본 식물학자가 붙인 ‘부처자리’로 이름을 붙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윤옥 님입니다. 한국 식물학자가 멀쩡하게 잘 지은 풀이름을 왜 “창씨개명을 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시는지 아리송합니다. 한국 식물학자가 제 나름대로 잘 빚은 ‘광대나물’을 쓰거나, 시골마을에서 널리 쓰는 ‘코딱지나물’이라는 이름을 쓸 노릇이지요.


일본말에 얼룩진 자국을 지우는 일은 틀림없이 뜻이 있습니다만, <조선식물향명집>을 자꾸 깎아내리면서, 이 책에 나온 ‘참(사실)’을 비트는(왜곡) 일은 그만두시기 바랍니다.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 식물학자를 깎아내리는 짓은 무슨 보람이 있을까요?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