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830/pimg_7051751241267244.jpg)
‘의사소통’이 아닌 글쓰기
모든 말에는 마음이 깃든다. 먼먼 옛날, 말이 처음 태어나던 때부터 모든 말에는 마음이 깃든다. 그런데, 말을 하거나 다루는 사람들이 삶을 짓지 않은 채 권력을 짓거나 이름값을 짓거나 돈을 지으려고 하는 계급 사회가 되거나 신분 사회가 되거나 현대 물질문명 사회가 되면서 ‘말에 깃들던 마음’이 사라진다. 저마다 삶을 지으면서 어깨동무하던 삶에서는 어느 말이든 ‘마음이 깃드는 말’이었으나, 계급이나 신분이나 돈으로 굴러가는 사회나 정치나 경제나 문화나 교육이 되는 곳에서는 ‘마음이 없는 말’이 된다. 이런 사회에서는 ‘의사소통’만 하면 되는 말일 뿐이다.
마음이 깃드는 말이란 삶을 살찌우는 말이면서, 삶을 밝히는 말이요, 삶을 가꾸는 말이다. 마음이 깃들지 않는 말이란 삶하고 동떨어진 말이면서, 삶을 억누르는 말이기도 하고, 삶을 잊거나 잃게 하는 말이다.
오늘날 말은 ‘의사소통을 하는 기호’에 그치기 일쑤이다. 이리하여, 어느 한쪽에서는 아무 말이나 함부로 쓰고, 어느 한쪽에서는 외곬로 흐르며, 어느 한쪽에서는 장난과 겉치레가 판친다. 말에 사랑을 담아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하는 사람은 차츰 줄어든다.
어머니가 아이한테 아무 말이나 함부로 쓸까? 어머니가 아이한테 외곬로 흐르는 말을 쓸까? 어머니가 아이한테 장난이나 겉치레로 말을 할까? 어머니는 아이한테 ‘마음을 담는 말’을 들려주고, 아이는 어머니한테 ‘사랑을 실은 말’을 돌려준다. 이러한 얼거리로 먼먼 옛날부터 ‘낡지도 닳지도 않으면서 한결같이 빛나는 말’이었지만, 오늘날은 그야말로 ‘곧 낡고 빨리 닳으면서 유행처럼 떠돌다가 스러지는 바보스러운 시사상식 같은 지식으로 굴러떨어지는 말’이 된다.
의사소통이 나쁘지 않다. 뜻을 알아차리도록 나누는 말이 나쁠 까닭이 없다. 그렇지만, 의사소통은 기호만 있어도 되고, 몸짓으로도 넉넉하다. 말이 ‘기호’나 ‘몸짓’이 아닌 ‘말’인 까닭은, 서로 마음을 나누고 삶을 북돋우는 길을 여는 슬기로운 말이 될 때에 비로소 사랑이 깨어나기 때문이다. 4348.8.30.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삶과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