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310) -의 : 출판사의 분


필자를 방문한 출판사의 분이 필자에게

→ 글쓴이를 찾아온 출판사 분이 글쓴이한테

→ 나를 찾아온 출판사 일꾼이 나한테

《정광-한글의 발명》(김영사,2015) 9쪽


  ‘필자(筆者)’는 ‘글쓴이’로 손질하고, ‘방문(訪問)한’은 ‘찾아온’으로 손질합니다. ‘분’은 매인이름씨(의존명사)이기에 이 보기글처럼 쓸 수 없습니다. 그런데 “출판사의 사람”이나 “출판사의 관계자”로 적어도 좀 어설픕니다. “출판사 사람”이나 “출판사 관계자”로 적어야 올바릅니다. ‘-의’를 잘못 쓴 버릇이 오래되어 “가게의 주인”이나 “동네의 아이”처럼 말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지만, “가게 주인”이나 “동네 아이”처럼 ‘-의’ 없이 써야 올바릅니다.


졸저의 서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이 책 이야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내가 쓴 책을 따라서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책에서 흐르는 이야기를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책 흐름을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정광-한글의 발명》(김영사,2015) 91쪽


  ‘졸저(拙著)’는 “솜씨 없는 책”이나 “못난 책”을 뜻합니다. 다만, “내가 손수 쓴 책”을 남 앞에서 내세우지 않으려고 쓰는 말이기도 한데, “제가 쓴 책”처럼 ‘제’를 넣으면 내 말을 듣는 사람을 높입니다. 그리고, 내 책이든 다른 사람 책이든 “이 책”처럼 쓰면 되기도 합니다. “졸저의 서술(敍述)을 중심(中心)으로”는 “이 책 이야기를 중심으로”나 “이 책 이야기를 따라”로 손볼 만합니다. ‘고찰(考察)하고자’는 ‘살펴보고자’로 손질합니다.


아빠의 고향이면 우리들 고향

→ 아빠 고향이면 우리들 고향

→ 아버지 고향이면 우리들 고향

→ 아버지네 고향이면 우리들 고향

《김명수-산속 어린 새》(창비,2005) 98쪽


  아기한테 하는 말이 아니면 ‘아버지’로 적어야 옳습니다. 아무튼 “아빠 고향”이나 “아빠네 고향”처럼 쓰면 돼요. 앞말에 이어 나오는 뒷말에서는 ‘-의’ 없이 “우리들 고향”으로 적습니다. 이 말마디를 잘 헤아리면 “아빠 고향”으로만 적으면 되는 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든 활용법을 찾아보려 시작한 것이 빈집의 활용이다

→ 어떻게든 살려 쓰려고 찾아보며 한 것이 빈집 살리기이다

→ 어떻게든 살려 보려고 찾아본 것이 빈집 되살리기이다

《모타니 고스케·NHK히로시마 취재팀/김영주 옮김-숲에서 자본주의를 껴안다》(동아시아,2015) 220쪽


  ‘활용법(活用法)’는 “살리는 법”이나 “살리기”나 “살려쓰기”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찾아보려 시작(始作)한 것이”는 “찾아보려 한 것이”나 “찾아본 것이”로 다듬습니다. 4348.8.15.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